병사들 “군에서 1천만원 모아 제대 뒤 여행하고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부터 병사 봉급이 병장 기준 월 125만원으로 오른 가운데 병사들이 군 생활 동안 1천만원 이상 목돈 마련을 계획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군 생활 저축 목표액'을 묻는 질문에 설문에 참여한 병사 중 313명(62.5%)은 1천만~2천만원이라고 답했다.
18년 전 복무한 병사의 경우 군대 생활 전체 월급이 현재 병장 한달 월급보다 적었던 것이다.
병사들이 군 생활 동안 돈을 모아 전역 후에 하고 싶은 일로는 여행이 164명(32.7%)으로 가장 많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과 봉급이 오른 걸 생각하면 전역까지 1천만원 이상 모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육군 1101공병단 길아무개 일병)
“지금은 매달 40만원씩 저축하긴 빠듯하지만, 상병 때부터는 매달 80만원씩 모아서 1천만원을 달성할 겁니다.”(육군 2포병 여단 최아무개 일병)
올해부터 병사 봉급이 병장 기준 월 125만원으로 오른 가운데 병사들이 군 생활 동안 1천만원 이상 목돈 마련을 계획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병사들은 이렇게 모은 돈으로 전역 후 여행을 가장 하고 싶어했다.
국방홍보원이 발행하는 국방일보는 이달 13~16일 501명의 현역 병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결과 이런 답변을 받았다고 29일 밝혔다.
‘군 생활 저축 목표액’을 묻는 질문에 설문에 참여한 병사 중 313명(62.5%)은 1천만~2천만원이라고 답했다. 이어 500만~1천만원이 82명(16.4%), 300만~500만원이 53명(10.6%)이었다.
국방홍보원 관계자는 “2019년에도 병사 399명을 대상으로 같은 내용을 조사했는데, 당시 351만~400만원을 모으겠다는 병사가 73명(18.3%)으로 가장 많았고 451만~500만원이 54명(13.5%)으로 뒤를 이었다. 5년 새 병사들의 저축 목표액이 2배 이상 늘었다”고 말했다.
병사들의 저축 목표액이 늘어난 것은 병사 봉급 인상과 맞물려 있다. 올해 병 한달 봉급은 이병 64만원, 일병 80만원, 상병 100만원, 병장 125만원으로 2019년(이병 30만6100원, 일병 33만1300원, 상병 36만6200원, 병장 40만 5700원)의 배 이상 늘었다. 지난 2006년 국방일보는 이등병 시절부터 모은 봉급 전액을 기부한 병사의 미담 기사를 보도했는데, 당시 병사가 기부한 금액은 110만원이었다. 18년 전 복무한 병사의 경우 군대 생활 전체 월급이 현재 병장 한달 월급보다 적었던 것이다.
병사들이 군 생활 동안 돈을 모아 전역 후에 하고 싶은 일로는 여행이 164명(32.7%)으로 가장 많았다. 병사들은 한정된 부대 울타리 안에서 24시간 생활하는 병사들의 상황 등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학비에 보태겠다는 답변이 57명(11.4%)으로 2위였으며, 쇼핑(53명·10.6%)이 3위였다. 병사들은 사고 싶은 물건으로 노트북·피시·휴대폰 등 전자기기를 주로 꼽았고, 중고차 등 자동차 구매를 꼽는 병사도 많았다. 다음으로 독립 자금(42명·8.4%), 가족선물(37명·7.4%), 자기계발(35명·7%)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검찰, 실제 교통사고도 거짓말이라 기록”…미투 6년 서지현의 시간
- 경찰 “배현진 공격 중학생 PC 분석중…부모 법조인 아냐”
- 윤 대통령-한동훈 오찬…‘김 여사 명품백’ 논의?
- 북, ‘잠수함 발사’ 전략순항미사일 쐈다…“핵무장 절박”
- [단독] ‘류희림 방심위’ 제재 93%는 정권비판 보도 찍어내기
- ‘양승태 수사팀장’ 한동훈, 1심 무죄에 “사실상 대법원 수사의뢰로 진행”
- ‘최고의 외교관’ 푸바오, 중국과 사이 좋아지면 다시 돌아올까요
- 친이란 민병대 공격에 미군 3명 사망…중동 확전 우려 커졌다
- 호텔 난동 ‘수노아파’ 일부 집행유예…법원 “최대한 선처” 왜?
- 스스로 실패하려고 애쓰는 대통령 [강준만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