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윤석열, 동지에서 숙적으로…또 다른 ‘한국의 베켓’ 누가 될까 [사색(史色)]
국왕 헨리2세와 대주교 베켓
‘빛의 순간’이 찾아왔습니다. 권력의 최정상에 오르면서였습니다. 순풍을 탄 배만큼이나 개혁은 완성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그러나 자리는 사람을 오염시키기 마련인 걸까요. 기득권이라는 열매가 ‘개혁의 형제 사이’를 갈라놓았습니다. 의견은 충돌했고, 드잡이하는 일도 잦아집니다. “권력욕에 사로잡힌 부패한 세력”이라고 서로를 비난하기도 했었지요. 우정의 맹세는 저주의 언어로 바뀌고, 서로를 바라보는 신뢰의 눈빛은 이제 경멸로 가득합니다. 주인공은 12세기 잉글랜드 왕 헨리 2세와 대주교 토머스 베켓입니다.
오래 전 잉글랜드의 얘기만은 아닙니다. 형제와 같던 개혁의 동지들이 적으로 마주하는 일은 900년의 시차를 두고 이 땅에서도 재현됩니다. 유럽의 옛이야기를 애써 꺼내는 이유입니다.
가톨릭과 유럽 왕실과의 권력이 불화한 배경입니다. 종교를 향한 믿음이 강할수록 왕권은 약화하는 ‘제로섬’ 게임이었지요. 우리에게 잘 알려진 ‘카노사의 굴욕’ 역시 정치와 종교 간의 불화로 인한 파열음이었습니다.
헨리 2세는 영리한 지도자였습니다. 묘수를 고안해 냈지요. 잉글랜드에서 가장 높은 가톨릭의 자리인 캔터베리 대주교, 이 자리에 자기 사람을 임명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재판관 출신 토머스 베켓이 그 주인공이었지요.
토머스 베켓은 귀족 집안의 자제로 1119년 태어났습니다. 그의 집안은 프랑스 노르망디 출신으로 왕실의 믿음을 받고 있었습니다(잉글랜드 왕조 역시 노르망디의 영주 출신이기 때문입니다). 당시 귀족 집안은 아들 중 한명을 성직자로 키웠기에, 토머스 베켓도 어린 시절부터 성직 수업을 받았지요.
두 사람이 본격적으로 우정을 나눈 건 1155년이었습니다. 헨리 2세가 재 자리에 토머스 베켓을 낙점하면서였습니다. 일머리가 빠른데다 제법 존경받는 종교인이었기 때문이었지요. 또 집안도 자신과 같은 노르망디 귀족 출신이었고요. 국가와 왕과 관련된 일을 맡기기에 최적의 인물이었습니다.
시작부터 합이 좋은 ‘콤비’였습니다. 왕이 하고자 하는 개혁을 베켓은 훌륭하게 소화해냈지요. 100을 주문하면 200을 소화하는 그런 인재였습니다. 국정을 돌볼 때도, 사냥을 나갈 때도, 술을 마실 때도 두 사람은 늘 함께였습니다. 헨리 2세가 자신들의 자녀를 베켓의 집안에 보내 교육을 시켰을 정도였으니까요.
1161년, 캔터베리 대주교 테오발드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캔터베리 대주교는 잉글랜드 남부 교구를 총관할하는 종교의 핵심적인 자리. 수도 런던까지 담당했기에 왕과 버금가는 권력을 누리는 자리였습니다.
헨리 2세는 기회를 포착합니다. 캔터베리 대주교 자리에 자기 사람 ‘토마스 베켓’을 앉히려는 계획을 세웠지요. 왕권을 위협하는 종교 권력에 자신의 심복을 심으려는 속셈이었습니다. 1162년 6월 2일, 토머스 베켓은 캔터베리 대주교가 되었습니다. 잉글랜드의 모든 사람은 생각했습니다. “이제 잉글랜드의 교회는 모두 헨리 2세의 것이겠군”
헨리 2세는 토머스 베켓이 자기 사람이라 믿었습니다. 가톨릭 캔터베리 대주교가 되어서도 왕권에 힘을 실어줄 것이라 확신했지요. 기대는 산산이 부서집니다. 대주교가 된 베켓이 철저히 교회의 이익에 봉사하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재상 시절 화려한 옷을 입고 왕과의 우정을 과시하던 베켓은 더 이상 없었습니다. 성직자의 소박한 옷을 입고 고행을 마다하지 않는 종교인의 모습만이 보였습니다. 헨리 2세의 불안감은 커집니다. “내가 알던 베켓이 아니야.”
두 사람이 정면충돌한 건 ‘클라레든 칙령’을 두고서였습니다. 당시 유럽에서 성직자는 세속 법정 대신에 교회 법정에서 재판을 받는 특권을 누렸습니다. 헨리 2세는 이를 마뜩잖아했지요. 이를 폐지하는 내용을 담은 법안이 클라레든 칙령이었습니다. 가톨릭 개혁의 핵심이자, 왕권 강화를 위한 숙원 사업이었지요.
헨리 2세는 무력과 회유를 통해 다른 주교들의 찬성을 얻어냅니다. 그리고 마지막 남은 반대파 한 사람. 얄궂게도 캔터베리 대주교 토머스 베켓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명백히 ‘신의 사람’임을 증명했습니다. 최종 거부권을 행사하면서였습니다. 교회의 권한을 축소한다는 건 신앙인인 그에게 있을 수 없는 일이었지요. 그는 헨리2세의 동반자가 아닌 영락 없는 ‘교회의 아들’이었습니다.
헨리 2세는 분노에 차 그에게 추방을 명하지만 소용없는 일이었습니다. 교황 알렉산데르 3세가 이를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이지요.
토머스 베켓의 이름을 말하지도 않았고, 직접 살인을 명령하지도 않았습니다. 주위에 있던 네 명의 기사는 그의 본심을 알아챕니다. 무장한 채로 캔터베리 성당으로 향합니다. 토머스 베켓이 보입니다. 해진 옷을 입고 하나님을 향해 기도를 올리는 중이었습니다. 기사들은 칼을 꺼내, 그의 목을 잘랐습니다. 신의 성당에서, 켄터베리 대주교를 죽인 만행이었습니다. 그 유명한 ’대성당에서의 살인‘. 두 사람의 우정은 파국으로 끝난 셈입니다.
헨리 2세의 왕권은 이제 강화됐을까요. 그렇지 않았습니다. 토머스 베켓의 살인은 전 유럽을 달궜습니다. 대성당에서 미사를 올리는 대주교를 살해하는 건 결코 절대 용서받을 수 없는 일이었기 때문입니다. 궁지에 몰린 건 헨리 2세였지요. 토머스 베켓은 신의 뜻을 지키기 위해 권력에 저항한 인물로 추앙받습니다. 캔터베리 대성당으로 전 유럽인들이 순례를 왔을 정도였으니까요. 교황 알렉산데르 3세는 그를 즉각 성인품에 올렸습니다. 인간 베켓은 죽었지만, 그는 영원한 성인(Saint)으로서 부활한 것이었습니다.
라이벌 국가였던 프랑스 역시 잉글랜드를 공격하는 데 여념이 없었지요. 쏟아지는 비난에 헨리 2세는 정치 위기를 맞았습니다. 베켓의 무덤에서 흰 옷에 맨발로 공개 참회를 선언한 배경입니다. 밤샘 기도를 올리는 그에게 주교들이 와서 공개 채찍을 때렸습니다. 헨리 2세는 그저 입을 다물면서 고통을 참아야만 했습니다. 이후에는 교회가 반대하면 어떤 법안도 도입할 수 없을 정도로 권력을 잃어갑니다. 왕권은 약해지고 교회의 권위는 더욱 올라갔습니다. 죽은 베켓이 산 헨리를 곤경에 빠뜨린 것이었습니다.
2024년 대한민국은 또 다시 정치적 격변기에 섰습니다. 권력에 의해 희생당함으로써, 거물로 부활할 ‘베켓’이 또 다시 등장할까요. 독자 여러분의 상상에 맡깁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세금 1900억 써서 짓더니 철거에 또 수백억?…케이블카의 운명은 [방방콕콕] - 매일경제
- “북한, 울고 싶은데 뺨 때린 격 될라”…우리 군, 육상 완충구역 훈련 일단 보류 - 매일경제
- “다음주 일본 여행가는데 어쩌지?”…“천장에 매달린 전등 크게 흔들려” 도쿄서 4.8 지진 - 매
- 황당유언에 온집안 ‘발칵’…“손자는 0원, 반려견에 100억 줘라” [Books] - 매일경제
- [단독] “두 달 굶은듯” 요양병원 보낸 아빠 의식 잃고 중태… 자식들 ‘날벼락’ - 매일경제
- 일론 머스크의 ‘한국 예언’ 현실화 임박…출생아수 8년 만에 반토막 났다 - 매일경제
- “왜 내가 고른 건 늘 맛이 없지?”…성경에 200번 이상 언급된 이 술, 고르는 법 [기술자] - 매일
- “한국인 114만명이 돌아섰다”…할인전에도 힘 못 쓰는 제주, 어쩌나 - 매일경제
-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우울한 나라”…미국 유명 작가의 솔직한 여행기 - 매일경제
- 亞컵서 단 1번도 이겨본 적 없는 사우디, 역대 전적은 ‘우승 후보’ 클린스만호의 16강 ‘광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