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취임 한달…당정갈등 불씨 속 ‘공천 뇌관’ 2차 시험대

2024. 1. 28. 18:2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잠룡 입지 각인에도 당 지지율은 정체
31일 수원서 반도체 정책행보
김여사 의혹에 갈등 재점화 가능성 여전
당정관계 재정립 시도 주목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연합]

[헤럴드경제=김영철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취임한 지 한 달을 맞은 가운데 당정 갈등이라는 첫 허들을 힘겹게 넘어선 데 이어 총선 공천이라는 고차원 방정식을 풀어야 할 2차 시험대에 올랐다. 일단 봉합한 당정 갈등의 불씨가 공천 판으로 튈 수 있다는 점에서 한 비대위원장이 향후 어떤 색깔의 정치력과 위기 대처 능력을 보여줄지 관심이 집중된다.

한 위원장은 지난달 26일 집권 여당 구원 투수로 등판한 이후 한 달 동안 대중적 인지도를 바탕으로 전국 시도당을 돌며 외연 확장에 주력했다. 당내에선 그의 행보를 두고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가 나온다.

무엇보다 한 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의 명품 가방 논란을 둘러싼 당정 갈등 국면에서 대권 잠룡으로서 존재감을 각인시켰다. 특히 대통령실이 전한 사퇴 요구를 거부하고 집권 여당의 대표자로서 총선 정국을 이끌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한 달 신고식을 마친 한 위원장에 대한 여론의 평가는 우호적이다. 한국갤럽이 지난 23∼25일 1천1명을 대상으로 한 당 대표 직무평가 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에서 전체의 52%가 한 위원장에 대해 ‘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긍정 평가(35%)와는 17%포인트(p) 격차다.

보수 진영에선 이른바 ‘선거의 여왕’으로 불렸던 2012년 당시 박근혜 새누리당 비대위원장의 긍정 평가율(52%)과 견주는 결과라는 점에도 주목한다.

반면 한동훈에 대한 당 지지율은 여전히 정체 상태다. 갤럽 조사에서도 국민의힘 지지율은 최근 3주 연속 36%에 머물렀다. 이에 한 위원장이 대권 주자로서 개인 지지율을 끌어올리는 데는 성공했으나 야권이 제시한 ‘정권 심판론’ 구도는 여전히 불식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처럼 당 지지율 견인이라는 과제를 받은 한 위원장은 금주부터 총선 준비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한 위원장은 총선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을 중심으로 공략에 나선다. 오는 31일 경기도 수원을 방문,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을 주제로 기업인들과 만나고 관련 정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국민의힘은 수원 5개 지역구 중 한 곳에도 현역 의원이 없다. 이에 방문규(수원병)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수정(수원정) 경기대 교수, 김현준(수원갑) 전 국세청장 등 영입 인사들을 투입해 경기 지역 탈환의 교두보로 삼으려 하고 있다. 한 위원장이 직접 영입에 공을 들인 고동진 전 삼성전자 사장도 수원 출마 가능성이 거론된다.

한 위원장의 이 같은 행보와는 별개로 공천 문제가 향후 당의 총선 체력을 좌우하는 2차 시험대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 위원장 취임 이후 이른바 혁신 공천에 대한 민심의 기대감이 커졌다는 이유에서다.

대통령실 출마자와 정부 차출 인사, 친윤(친윤석열)계와 비주류, 영입 인사 등의 각종 이해관계와 공천 지분이 맞물린 고차원 방정식을 어떻게 풀어내는가는 당정 갈등 고비를 넘긴 한 위원장에게 더 큰 난제가 될 수 있다.

특히 최근 당정 갈등을 일으킨 원인 중 하나로 한 위원장이 김경율 비대위원의 마포을 출마를 공개 발표하며 빚어진 ‘사천’ 논란이 꼽힌다는 점은 결국 향후 당정 갈등의 진원지가 ‘공천’이 될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다.

당내에선 한 위원장이 외부 위원을 중심으로 공관위를 인선하고 선거 사무의 핵심 포스트인 사무총장에 초선의 장동혁 의원을 배치한 것을 두고도 대통령실의 공천 영향력을 견제하는 시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당정 갈등 봉합으로 김건희 여사와 관련한 이슈는 일단 잠복했으나 대통령실과 한 위원장의 향후 대응 방식에 따라 갈등의 불씨가 되살아날 수 있고, 이와 맞물려 당정 관계 재정립 요구가 거듭 불거질 수 있다는 점도 지켜볼 대목이다.

일각에서 거론돼 온 한 위원장의 취임 한 달 기자회견은 아직 검토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의 김 여사 관련 입장 표명이 조만간 나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yckim6452@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