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나는 순간 문닫을판… 5명 안되게 직원 줄일 수밖에" [중처법에 떠는 소상공인]
사고 잦은 중소 건설사는 초긴장
지난 26일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철공소 골목. '안전제일' 표지판이 붙어 있는 한 철공소에서 철제 제품을 깎는 요란한 파열음이 울렸다. 30년 경력의 60대 A씨의 철공소는 직원이 5명 미만이다. 중대재해처벌법 적용대상이 될까봐 사람을 더 뽑을 생각은 접었다고 한다. 그는 "사고는 아무리 주의해도 어디서나 일어날 수 있는데, 굳이 사람 늘려 범죄자가 되기는 싫다"고 말했다.
■노인들 일하는 작은 업장 "현실 몰라"
중대재해처벌법이 확대 시행되면서 영세업체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 2022년 1월 27일부터 50인 이상 사업장(건설업 공사금액 50억원 이상)에서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은 유예기간을 거쳐 지난 27일부터 5인 이상~50인 미만 사업장에도 적용됐다. 앞으로 소규모 사업장은 안전보건관리담당자를 최소 1명 이상 둬야 한다. 노동자 사망,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 등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안전 확보 의무를 다했는지 조사해 사업주나 경영책임자가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소상공인들은 당혹스럽다는 입장이다. 문래동에서 10여명 규모 업체를 운영하는 70대 이모씨는 "근로자 생명을 소중히 하자는 취지는 공감하지만 현장은 준비가 안돼 시기가 이르다"며 "아무리 악덕 사장이라도 누가 직원이 다치거나 죽기를 바라겠나. 사고 나는 순간 문 닫아야 할 판"이라며 한숨을 내뱉었다.
70대 박모씨의 회사도 직원 5명이 넘는데, 대부분 노인들이다. 그는 "일하는 사람들 대부분 70이 넘어 내일 모레면 관둘 사람들인데 현장도 모르고 탁상공론을 해서 지키라고 하면 지켜지겠느냐"며 "작은 업장에서 안전관리자를 두며 지키기엔 현실에 안 맞아도 너무 안 맞는 법"이라고 지적했다.
■직원 축소 고려하는 곳도 있어
철공소를 운영하는 60대 김모씨는 "우리 물건을 거래하는 아파트 시공업체가 직원 수를 줄인다는 소리를 들었다"며 "경기가 나빠지면서 아파트 공사 현장도 멈추는데 법을 지킬 여력이 있을까 싶다"고 우려했다.
서울 을지로에 있는 소상공인들은 역시 중대재해처벌법이 남의 이야기라고 했다. 과거 직원을 몇 명씩 두고 일했지만 일감이 줄면서 대부분 5인 미만 사업자로 쪼그라들었다. 직원을 채용해 일하는 곳은 많지 않아 안전관리 업무를 따로 챙기기 어려운 상황이다. 50년째 을지로에서 기계제조업에 종사해온 김모씨(67)는 "손이 안 들어가도록 제작된 절단기도 잘못하면 사고가 날 수 있다. 안전장치를 설치하면 모든 게 불편해지는 프레스는 더 위험하다"며 "공작기계가 다 그렇다. 안전만 생각하면 작업성이 떨어지는데 현실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중소 건설업체들도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에 노심초사하고 있다. 중대사고가 많은 건설업계는 상대적으로 열악한 소규모 사업장에서 안전사고 위험이 높아서다. 2022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가 발생한 건설현장 중 66%인 226명이 50억원 미만 공사현장에서 발생했다.
경기 수원의 직원 30여명 규모 건설업체 직원 A씨는 "소규모 사업장은 아무래도 안전인력을 제대로 갖추기 어렵지만 노무사를 통해 교육업체를 선정하는 등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에 대비를 하고 있다"며 "법 적용이 이제 막 시작되는 단계라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인테리어 업계도 당혹
건설업 가운데 상대적으로 재해 위험이 낮은 실내인테리어 업체들은 사실상 손을 놓고 있었다. 서울 강남구에서 인테리어업체를 운영하는 구모씨(55)는 "경기가 안 좋아서 일감 구하기도 어려운데 아무런 대책이 없다"며 "소규모 업체에 대기업과 똑같은 기준을 적용한다고 하니 말이 안 된다"고 비판했다.
경기 의왕에서 실내건축업체를 운영하는 장모씨(56)는 "조달청 사업을 주로 하는데 위험한 일이 거의 없어 굳이 돈을 들여 준비를 하지 않고 있다"며 "제조업이나 대기업에서 잘못해서 생겨난 법을 모든 업종에 적용하면 어쩌자는 것인지 모르겠다. 사고 안 날 거라고 생각해서 준비를 안 하지만 그렇다고 사고가 안 날 수는 없기 때문에 결국 범법자가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60대 자영업자 정모씨는 "안전이 제일 중요하니 중대재해처벌법은 꼭 필요하다 본다"면서도 "다만 사고가 많은 업종들에만 적용했으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고 말했다. 서울 광진구에서 자동차 공업사를 운영하는 장모씨(55)는 "영세한 업체라도 먹고살려고 하는 것은 사람 때문이어서 옳은 법이라고 본다"며 "교육도 받고 검증받은 장비를 쓰고 있어 걱정하지 않는다"고 했다.
unsaid@fnnews.com 강명연 주원규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남편상 사강, 4년만 안방 복귀…고현정 동생
- 최현욱, 장난감 자랑하다 전라노출…사진 빛삭
- "치마 야하다고"…엄지인, 얼마나 짧기에 MC 짤렸나
- 영주서 50대 경찰관 야산서 숨진채 발견…경찰 수사 착수
- "조카 소설, 타락의 극치" 한강의 목사 삼촌, 공개 편지
- "엄마하고 삼촌이랑 같이 침대에서 잤어" 위장이혼 요구한 아내, 알고보니...
- "딸이 너무 예뻐서 의심"…아내 불륜 확신한 남편
- "절친 부부 집들이 초대했다가…'성추행·불법촬영' 당했습니다"
- "마약 자수합니다"…김나정 前아나운서, 경찰에 고발당해
- 100억 자산가 80대女..SNS서 만난 50대 연인에 15억 뜯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