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액 2000ℓ가 머리에 한 가득?···과학자들 내린 결론은 [생색(生色)]

강영운 기자(penkang@mk.co.kr) 2024. 1. 28. 06: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생색-20] “나를 이스마엘이라 불러라”(Call me Ishmael)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첫 문장’ 중 하나입니다. 소설 ‘모비딕’의 서문이지요. 명작 중 명작이라고 꼽히는 이 책은 거대한 향유고래와 이를 잡으려는 포경선 선장 에이허브의 투쟁을 그립니다. 인간의 복잡다단한 욕망과 충동을 온전히 담았기에 미국 문학의 대명사로 통했지요. 최근에는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소개로 국내에서 다시 회자되기도 했습니다.

향유고래는 그 거대한 크기 탓에 이야기꾼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매개였습니다. 푸른 바다에서 분수처럼 뿜어내는 분기의 아우라에 압도된 것이었지요.

거대한 향유고래.
향유고래가 유명한 건 비단 그 ‘크기’ 때문만은 아니었습니다. 이름에서부터 그 호기심을 자아내기에 충분합니다. 향유고래의 영어이름은 ‘스펌웨일(Sperm Whale)’, 우리나라말로 직역하면 ‘정액고래’입니다. 이 거대 고래에 ‘외설적’이름이 붙은 데에는 재미난 얘깃거리가 켜켜이 쌓여 있습니다.
문명만큼 오래된 ‘포경’...긴 역사가 남긴 이야기
인류는 고대부터 포경을 해왔습니다. 거대한 물고기를 잡았을 때 온 마을이 식량 걱정에서 자유로워졌기 때문입니다. 족히 열흘은 끼니 걱정을 안해도 되었지요(가장 오래된 ‘포경’에 대한 기록은 기원전 6000년 전, 우리나라 반구대 암각화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포경의 중요성은 그 의미를 더해갑니다. 19세기 초중반 미국은 포경의 나라였습니다. 고래잡이가 거대한 산업으로 성장하면서였습니다. ‘고래기름’이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자원이었기 때문이지요.

고래의 상업적 활용을 묘사한 19세기 그림.
아직 윤활유가 개발되기 이전, 기계에 들어가는 기름은 대부분 자연에서 채취되어야 했습니다. 그중 고래기름은 양도 많고 품질도 뛰어나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자원이었지요. 고래는 기계도 돌리고, 도시의 밤을 밝히는 동력이었던 것입니다. 내장 안에 덩어리처럼 몰려있는 용연향(龍延香)은 몽환적인 향으로 금보다 비싼 물질이었지요.
머리 속에서 하얀액체 콸콸...정액?
“이거 정액 아닌가”

1800년대 초 미국의 한 포경선은 기쁨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16m, 45t이 넘는 숫놈 고래 사냥에 성공했기 때문이었습니다. ‘향유고래’였습니다. 그들을 다시 한번 놀라게 하는 일이 벌어집니다. 보관을 위해 분해를 시작했을 때였습니다. 대가리를 분해하자 하얗고 끈적끈적한 액체가 왈칵 쏟아졌기 때문이었습니다. 그것도 1900ℓ나 되는 엄청난 양이었지요.

“저 놈 머리에 정액이 가득하대” 17세기 네덜란드 해양화가 아브라함 스톡의 ‘스피츠베르겐 인근에서 고래잡이를 하는 어부들’.
선원들은 생각했습니다. “외설스러운 놈이 분명하구먼. 대가리에까지 정액이 가득한 걸 보면” 그 때부터였습니다. 선원들이 향유고래를 ‘스펌웨일’(정액고래)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은요.

머릿속에서 발견된 정액은 그야말로 초대박 상품이었습니다. 일반 고래기름에 비해 점도가 낮고 안전성이 확보된 제품이라서 윤할유로 주목받았습니다. 수많은 포경선이 ‘향유고래’ 사냥에 나서게 된 배경이지요. ‘머릿속 정액’은 당시 뱃사람들의 보물섬과 같았습니다.

포경박물관(미국 매사추세츠)에 전시되어 있는 경뇌유 병과 캔. 이름에 정액이라는 의미의 ‘Sperm’이 새겨져 있다. [사진출처=Raphael D. Mazor]
힘겨운 향유고래와 사투...모비딕의 원천이 되다
거대한 향유고래 사냥이 쉬울리 없었습니다. 그 중 ‘끝판왕’은 ‘모카딕’이라고 불리는 알비노 향유고래였습니다. 칠레 남부 모카섬에서 자주 출몰했던 탓에 모카딕이라고 불린 녀석이었지요.

멜라닌 색소가 부족해 새하얀 이 녀석은 특별한 외모만큼이나 그 포악함으로 명성이 자자했습니다. 그만큼 뱃사람의 도전욕을 자극했지요. 놈을 잡으면 부와 명성이 따라왔기 때문입니다. 당시의 ‘원피스’였다고나 할까요. 포경선들이 모카딕에 도전한 것만 해도 100여차례. 승리는 항상 모카딕의 몫이었습니다.

“덤벼라 모비딕”. 1902년판 모비딕에 수록된 삽화.
포경선들이 전설의 모카딕을 쓰러뜨린 건 1838년이었습니다. 모카딕은 새끼를 잃고 흥분한 다른 고래를 도우려다가 포경선에게 작살을 맞고 죽음을 맞이합니다. 21m의 육중한 몸뚱이에서는 1만 6000ℓ의 기름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포경의 역사에서 전설 같은 서사가 쓰인 셈이지요.
“저놈의 정액을 빼야한다” 미국 뉴잉글랜드 지방에서 행해진 포경을 묘사한 그림. 1860년 작품.
이 기록을 본 미국의 한 작가가 이를 소설로 쓰게 됩니다. 허먼 멜빌의 ‘모비딕’이었지요. (TMI. 만화 ‘원피스’에서 흰수염의 기함 이름 역시 ‘모비딕’이지요).
정액이 아닌 박치기의 원천
자 다시 향유고래 머릿속 정액으로 돌아갑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이 액체는 정액이 아니었습니다. 후대 과학자들은 이 액체에 ‘경뇌유’라는 이름을 붙입니다.

‘경뇌유’는 고래의 정액만큼이나 중요한 물질입니다. 향유고래의 거대한 무게를 지탱하는 무게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바닷물을 들이마셔 경뇌유가 냉각되면 그만큼 무거워지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지요. 자연은 참 위대한 신비로 가득합니다.

“이제 머리에 든 게 그게 아니란 걸 알겠나, 인간들” 네덜란드 예술가가 재현한 사냥당한 향유고래. [사진출처=Julian Ilcheff Borissoff]
고체가 된 ‘경뇌유’는 향유고래의 가장 큰 무기가 되기도 합니다. 딱딱해진 머리를 활용해 포경선들을 잇달아 박살을 낼 수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었던 셈이지요 (만화 ‘원피스’에 등장하는 고래 ‘라분’이 거대한 벽을 머리로 여러 차례 박는 모습이 등장합니다).

1820년에는 향유고래의 2번에 걸친 박치기를 받은 범선 에식스가 침몰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전장 24m, 238t급의 거대한 배가 나룻배마냥 으스러진 것이었지요. 단순히 머릿속 정액으로 치부할 일이 아니었던 것입니다.

“포경선, 그까이꺼 다 부숴버리지~” 노르웨이 베스테롤렌 제도의 작은 마을인 안데네스 해안에서 찍은 사진. [사진출처=buiobuione]
‘모비딕’ 뜻이 거대한 성기?
향유고래를 둘러싼 외설적 껍질을 하나 더 벗겨내 보겠습니다. ‘모비딕’의 이름을 둘러싼 오해입니다. ‘모비’는 대물이라는 뜻의 속어이고, ‘딕’은 아시다시피 남성의 성기를 속되게 일컫는 말입니다. 우리말로 하면 ‘왕XX’정도 되겠지요(굳이 쓰진 않겠습니다).
“엄마 모비딕이란 소설을 한동훈 위원장이 추천했대요” 어미 향유고래와 새끼. [사진출처=Gabriel Barathieu]
위대한 작가 허먼 맬빌이 소설에 그렇게 속된 제목을 붙인 건 아니었습니다. 모비딕이라는 이름 자체가 19세기 초반 실존한 고래 ‘모카딕’에서 따온 것인데, 모카는 섬의 이름이고 이 당시에 ‘딕’이라는 말은 성기를 의미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딕은 오히려 ‘톰’처럼 평범한 남성 이름의 대명사여서, 그 당시에는 딕을 말할 때 아무도 킥킥대지 않았을 테지요. 딕이 성기를 뜻하게 된 건 20세기 초반이 지나서였습니다. 오히려 모비딕의 출간 이후 그 제목을 성기 속어로 사용했다고 보는 게 논리적인 추론이겠지요(모비 역시 집필 당시에는 ‘거물’이란 뜻이 없었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그 정도 크기는 다 되지 않나? 촤하하~” 사회활동 중인 향유고래 무리. [사진출처=Will Falcon]
(향유고래의 그곳이 2m를 족히 넘는 데다가 무게도 70kg를 넘는다는 건 또 다른 비밀입니다. 지구 최강의 생명체!)
향유고래는 여전히 보호가 필요하다
스펌웨일은 한 때 110만 개체에 달했을 정도로 번성했습니다. 포경 산업이 확산한 뒤 개체수가 확 줄어들어 멸종 위기에 처했지요. 지금은 포경이 금지된 덕분인지 30만 개체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석유가 고래기름을 대체하게 되면서 가능해진 일입니다. 때론 과학의 발전이 지구 생명체를 보호하기도 합니다.
“야~ 석유가 발견됐대, 이제 살았다” 향유고래가 새로운 유정의 발견을 축하하는 모습을 그린 만화. 석유의 개발로 고래 기름 수요가 줄어든 상황을 묘사한 것이다.
인류와 오랫동안 싸워오면서도, 그만큼 많은 이야기를 공유하는 개체인 향유고래. 우리가 지구에서 사라지는 날까지, 그들을 지켜야 하는 이유로 충분합니다.
눈을 깜빡거리는 향유고래를 근접 촬영한 비디오. [사진출처=David Trescot]
<세줄요약>

ㅇ향유고래의 영어이름은 ‘스펌웨일’, 직역하면 정액고래다.

ㅇ그들을 사냥하던 19세기 초 머릿 속에 가득한 하얀 액체를 보고 정액이라 착각한 탓이다.

ㅇ하얀액체는 경뇌유로, 액체에서 고체로 자유롭게 변환이 가능해 향유고래 박치기의 원동력이었다. 이는 소설 ‘모비딕’에 영감을 줬다.

<참고문헌>

ㅇWhitehead Hal, Sperm whales : social evolution in the ocea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3.

사색
P.S. ‘생색’의 ‘형님 연재물’, ‘사색’이 책으로 출간됩니다. 매주 겪는 ‘산통’, 12개월 ‘난산’ 끝에 나온 결과물입니다. 고통도 많았지만 과정은 즐거움의 연속이기도 했습니다. 독자 여러분이 ‘산파’ 역할을 톡톡히 해주셨기 때문입니다. “좋은 글”이라는 한 마디, “고맙다”는 댓글이 산통을 잊게 한 진통제였습니다.

“변태냐”는 악플도 고맙기만 했습니다. ‘읽지 않는 글’은 내용이 아무리 좋다 해도 의미를 찾기 힘들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애써 달아주신 질책의 메시지도 자양분으로 삼았습니다.

응원해주시는 분들이 아직 많습니다. 조금 더 ‘사색’하고자, 더 ‘생색’내고자 하는 힘이 생깁니다. 두 연재물이 ‘둘째’를 잉태될 때까지, 당분간은 매 주말 찾아뵙겠습니다. 때로는 외설스럽게, 때로는 지적으로, ‘사색’과 ‘생색’의 존재 이유는 언제나 독자 여러분입니다.

생명(生)의 색(色)을 다루는 콘텐츠 생색(生色)입니다. 동물, 식물을 비롯한 생명의 성을 주제로 외설과 지식의 경계를 넘나듭니다. 가끔은 ‘낚시성 제목’으로 지식을 전합니다. 기자 페이지를 구독해주세요. 격주 주말마다 재미있는 생명과학 이야기로 찾아옵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