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달 탐사선, 뒤집혀진 채로 착륙

곽노필 기자 2024. 1. 27. 09: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20일 달에 착륙한 일본의 무인 달 탐사선 슬림은 애초 목표인 정밀 착륙에는 성공했으나 착륙시 몸체가 뒤집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작사)는 25일 달 탐사선 슬림이 목표 지점에서 55m 떨어진 곳에 착륙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다.

착륙 직전 슬림에서 방출된 이동 탐사기 '소라큐'가 촬영한 탐사선 사진을 보면, 착륙선이 애초 계획대로 옆을 향하지 않고 땅에 코를 박듯 몸체가 뒤집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목표 지점 55m 이내 정밀 착륙은 성공
해가 서쪽으로 기울면 통신 재개 기대
일본의 무인 달 탐사선이 착륙하기 직전 방출된 소라큐 이동탐사기의 카메라로 촬영한 슬림. 땅에 코를 박듯 뒤집어진 모습이다. 작사 제공

지난 20일 달에 착륙한 일본의 무인 달 탐사선 슬림은 애초 목표인 정밀 착륙에는 성공했으나 착륙시 몸체가 뒤집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태양전지가 서쪽을 향하게 돼 전력을 생산하지 못하게 된 것으로 드러났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작사)는 25일 달 탐사선 슬림이 목표 지점에서 55m 떨어진 곳에 착륙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다. 슬림이 착륙한 곳은 달 앞면 적도 인근의 작은 충돌분지 ‘시오리’(남위 13도) 내의 15도 경사지다.

이는 애초 목표로 했던 오차 범위 100m보다 목표 지점에서 훨씬 가까운 기록이다. 작사에 따르면 기존 착륙선의 오차 범위는 수㎞에 이른다. 이에 견주면 일본은 종전보다 수십배 정확한 정밀 착륙 기술을 확보하게 된 셈이다.

슬림의 책임자인 사카이 신이치로 작사 프로젝트 매니저는 이번 착륙에 대해 “우리는 우주선이 원하는 곳에 착륙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줬다”며 이번 착륙에 대해 “100점 만점”이라고 평가했다.

계획대로라면 슬림은 추진기(슬림의 오른쪽 옆면)가 달린 쪽이 이렇게 옆을 향하고 있어야 한다. 슬림 제공

문제는 우주선이 뒤집어진 것이다. 착륙 직전 슬림에서 방출된 이동 탐사기 ‘소라큐'가 촬영한 탐사선 사진을 보면, 착륙선이 애초 계획대로 옆을 향하지 않고 땅에 코를 박듯 몸체가 뒤집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작사는 고도 50m 지점에서 슬림에 탑재된 2개의 엔진 중 1개가 작동하지 않아 자세 조정에 실패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 지점에서의 우주선 위치 오차는 10m 이내였다. 작사는 또 엔진이 작동하지 않은 원인은 엔진 자체보다는 외부 요인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으며 현재 그 원인을 조사중이라고 덧붙였다.

일본의 무인 달 탐사선 슬림의 착륙 목표 지점과 실제 착륙 지점 간의 거리. 인도 찬드라얀 2호가 촬영한 월면 사진에 슬림 카메라가 착륙 과정에서 찍은 화면을 중첩한 사진이다. 작사 제공

해가 서쪽으로 기우는 2월1일 태양전지 작동 주목

슬림의 몸체가 뒤집혀짐에 따라 태양전지는 현재 햇빛의 반대쪽인 서쪽을 향하고 있다. 작사는 달의 낮 길이가 14일인 만큼 며칠 후 해가 서쪽으로 넘어가면 태양전지가 작동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작사는 이에 대비해 착륙 2시간40분 후 배터리 잔량이 12% 가량 남은 상태에서 전원을 껐다. 작사는 “달 표면은 낮과 밤이 2주마다 반복돼 달의 일몰에 해당하는 2월1일까지 태양전지에 햇빛이 닿아 전력이 복구되면 탐사선이 다시 살아날 수 있다”고 말했다.

슬림은 착륙 직전 2대의 작은 이동형 탐사기를 달 표면에 먼저 떨어뜨렸다. 지구와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 한 대(LEV-1)는 온도계와 고도계 등을 장착하고 개구리처럼 폴짝 뛰는 방식으로 이동한다. 공 모양의 다른 한 대(LEV-2, 일명 소라큐)는 착륙 뒤 두 쪽으로 갈라지면서 카메라가 노출되고, 두 반구가 바퀴 역할을 하며 이동한다. 작사는 “두 대의 이동탐사기는 일본 최초의 월면 탐사 로봇으로, 월면에서 데이터를 직접 송신한 세계 최소, 최경량 탐사기라는 기록을 갖게 됐다”고 밝혔다.

일본에 세계 5번째 달 착륙국가라는 선물을 안겨준 슬림은 무게 200㎏, 크기 2m 남짓한 작은 착륙선이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