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 ‘선산’…허술한 서사에 무속 끼얹는다고 ‘오컬트’ 되나
거두절미 결론부터 말하자면, 넷플릭스 ‘선산’은 오컬트 장르 드라마가 아니다. 작품 전편에 흐르는 음산하고 괴기스러운 분위기는 근친상간에서 비롯한 가족사의 비극을 강조하기 위한 연출일 뿐, 오컬트 장르와 상관없다. 만약 연상호 감독이 기획하고 제작한 ‘선산’을 통해 한국적 오컬트 장르물을 만날 수 있다고 홍보했다면, 시청자를 기망한 것이나 다름없다. 작품 공개 이후 주연배우들의 언론 인터뷰를 통해 오컬트적인 요소를 가미한 미스터리 스릴러 장르라는 홍보성 기사를 쏟아냈지만, 시청자의 실망감을 되돌리기에는 역부족이다. 오히려 한국적 색채가 강한 장르물로 자기 세계를 구축해온 연상호 감독에 관한 의구심만 커졌다. 총체적 난국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오컬트 장르 특유의 음산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설정했을 무속신앙 모티브를 근친상간의 가족 서사로 풀어내는 과정에서 극적 개연성을 담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혈연 공동체의 상징적 장소인 ‘선산’을 배경으로 은밀하게 들춰낸 윤서하(김현주) 가족의 비극적 사연에 공감하기 어려운 것도 그래서이다. 설상가상, 선산 상속 문제가 불거진 이후 발생한 살인사건을 수사하는 형사 최성준(박희순)의 안타까운 가족사가 성글게 끼어들면서 사건 전개의 흐름을 끊어 놓기까지 한다. 가족의 사랑과 존재 의미에 관한 담론을 형성하기 위해 윤서하 고모 윤명희(차미경)의 근친상간에서 비롯한 자기방어적 자식 사랑과 가족과의 소통 부재에서 비롯한 최성준의 자기 파괴적 자식 부정을 겹쳐놓았지만, 구조적으로는 실패에 가까운 스토리텔링이다.
그렇다고 해서 미스터리 스릴러 장르 특유의 긴장감과 공포감이 강한 것도 아니다. 남매의 근친상간을 징치할 목적으로 벌인 굿판이나 삼재를 소멸한다는 무속신앙의 삼두매 부적 사건으로 조성한 음산한 분위기는 살인사건에서 비롯한 긴장감과 공포감과 결합하지 못한 채 이질적으로 겉돈다. 골프장 건설 개발 예정지라는 선산을 물려받을 수 있다는 물질적 욕망이 어린 시절 아버지에게 버림받았다는 상실감을 압도하는 상황에서 윤서하의 공포감이 낯설게 느껴지는 까닭이다. 작은아버지의 장례식장에 나타나 “나도 당신 아버지가 낳은 자식이라고!”라며 소리쳤던 이복 남동생 김영호(류경수)를 살인사건의 범인으로 지목한 윤서하의 공포감이 시청자에게 전이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연출이다. 그러니 미스터리 스릴러 장르 특유의 긴장감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선산’에서 무속신앙 모티브는 골프장 건설 개발을 둘러싼 갈등 끝에 발생한 독살사건을 계기로 드러나기 시작한 비극적인 가족사의 근원으로 오인할 만큼 중요하다. 윤서하의 작은아버지가 독극물이 들어 있는 막걸리를 마시고 객사하는 상황을 무당굿과 교차하여 편집한 첫 장면부터 사건 전개의 변곡점마다 무속적 장치를 반복적으로 배치한다. 심지어 윤서하의 거듭된 불행을 두고 “윤 교수가 좀 어두운 구석이 있잖아. 가족 관계도 좀 복잡한 거 같고. 집안에 대대로 불운이 꼈든 뭐든 문제가 있기는 있는 거 같아. 제대로 된 집안이었으면 이런 일들이 일어났겠냐고? 재수 없는 집에 태어난 것도, 다 자기 팔자고 운명이야”라는 동료 교수의 시대착오적인 험담까지 불쑥 끼어든다. 하지만 무속신앙은 근친상간의 반전을 노린 술책에 불과했다. 사회적으로 터부시하는 근친상간을 다뤄 불쾌한 것이 아니다. 마치 뭔가 있는 것처럼 깔아놓은 밑밥을 회수하지 않은 황당한 스토리텔링이 어이없을 뿐이다.
가족의 문제는 ‘연상호 감독의 세계관’을 지탱하는 버팀목이다. 그가 공동 집필한 ‘선산’에서도 주요 등장인물 모두에게 가족사를 부여한다. 하지만 근친상간으로 태어난 아들을 위해 살인까지 저지르는 윤명희의 맹목적 모성애로 가족의 사랑이나 존재 의미를 성찰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윤리적 문제를 따지는 것이 아니다. 아버지의 성을 물려받지 못한 아들이 혈연 공동체의 상징적 장소인 ‘선산’을 차지해야만 부계 혈통임을 인정받을 수 있다는 시대착오적인 인식이 빚어낸 비극으로 급변하는 가족 관계에 관한 담론을 형성하기 어려워서 문제 삼는 것이다. 연상호 감독이 일련의 작품들을 통해 좀비와 오컬트 같은 비주류 장르를 대중적으로 확산하는 성과를 거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한국적인 정서를 인류의 보편적인 이야기로 승화”하면서 자기 세계를 구축했는지는 의문이다.
장르를 떠나 한국적인 정서를 예술적으로 형상화하기 위해 무속신앙을 남용하는 건 이제 그만했으면 좋겠다. 선무당이 사람 잡는 어수선한 시절이라 더 그렇다.
충남대 국문과 교수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배현진 공격한 14살…“연예인 보러 미용실 대기하다가 범행”
- [단독] 법원, 이태원 유가족들 ‘대통령 집무실 앞 오체투지’ 허용
- ‘공모 없다’ ‘남용할 권한 없다’…사법농단 정점 ‘양승태’ 전부 무죄
- 5년 걸린 1심 277차례 재판…‘법 기술자’ 지연전략에 끌려다닌 법원
- 미국발 ‘한반도 전쟁설’ 확산…윤 정부만 모르는 ‘억제력 신화’
- 잠 절반 줄이고…하루 14시간 짝짓기 하다가 죽는 이 동물
- ‘쌍특검 찬성표’ 권은희, 29일 국민의힘 탈당…의원직 상실
- 6살에 ‘당뇨병’…하루 3시간 자는 엄마, 직업 구할 수도 없다
- ‘쌍특검 찬성표’ 권은희, 29일 국민의힘 탈당…의원직 상실
- [Q&A] 내일부터 쓸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다인 결제도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