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코 앞인데 ‘규칙’도 못 정해…‘직무유기’ 정치권 [정치개혁 K 2024]
[앵커]
총선이 70여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서로 다른 셈법 속에 국회는 아직 선거구 획정은 물론, 비례대표 선출 방식도 못 정했습니다.
이렇게 선거 준비가 늦어질수록 불리한 건 정치 신인들인데요.
정치 발전과 변화를 위해 이제는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박원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선거제 늑장 개편의 가장 큰 이유는 여야의 밥그릇 싸움 때문입니다.
거대 의석으로 개편의 키를 쥔 민주당은 지난 총선의 준연동형 비례제와 과거의 '병립형' 사이에서 갈피를 못잡고 있습니다.
지역구 의석수가 모자라면 비례로 채워주는 '준연동형'을 유지하자니, 4년 전처럼 위성정당 난립으로 총선 승리가 불투명하고, 국민의힘 주장처럼 정당 득표율대로 비례 의석을 가져가는 '병립형'으로 돌아가자니 대선 공약 파기에다 정치 퇴행이라는 비판을 면키 어려울 거란 계산입니다.
[김준우/정의당 비상대책위원장 : "'이기기 위해서 어쩔 수 없었다'라는 말을 하는 것이 미래 세대에게 정치가 무엇을 남길지에 대한 과연 떳떳한 대답이 될 수 있을지 자문해 보시길 촉구합니다."]
선거구를 어떻게 나눌지도 못 정했습니다.
공직선거법상 '선거 1년 전까지는 선거구를 획정해야 한다'고 돼 있지만, 이 법을 만든 국회는 그 동안 한 번도 지킨 적이 없습니다.
여기에 제3지대 움직임이 본격화하면서 각 당의 유불리 계산은 더욱 복잡해지는 상황.
선거제 개편이 늦어질수록 선거운동에 제약을 받게되는 정치 신인들은 특히 불리합니다.
[이준한/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선거제도를 일찍 정해 놓으면 정치 신인들이, 또 출마 희망자들이 일찌감치 선거운동을 하게 되고 그러다 보면 현역 의원 자신들한테 위협이 되는 요소가 되는 거죠."]
아예 선거제 결정권을 외부 독립기관으로 넘겨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입법권은 결국 국회의원에 돌아오게 돼 해결이 쉽지 않습니다.
KBS 뉴스 박원기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박원기 기자 (remember@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핵심 의혹 ‘재판 개입’ 직권남용 인정 안 된 이유
- 배현진 습격 10대 “우발적으로 범행”…경찰, 피해자 조사
- [단독] 정례화한다던 ‘고위험 상품 점검 회의’, 1년 넘게 손 놨다
- 이영표-조원희도 한숨, 외신은 조롱 ‘구멍난 종이 호랑이’
- [단독] “세균 나와도 쉬쉬”…품질 관리 ‘논란’
- 총선 코 앞인데 ‘규칙’도 못 정해…‘직무유기’ 정치권 [정치개혁 K 2024]
- 소화기 뿌려 “흰가루로 뒤범벅”…심지어 촬영까지
- [단독] “식약처 오기 전에 트렁크에 숨겨라”…조직적 은폐 정황
- 정의당 이은주 ‘의원직 사직’ 두고 “기호 3번·보조금 지키려 꼼수”
- 여 “선거제 답하라”…민주, 병립형 권역별 비례제 ‘만지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