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는 누가 봐?” “(당연히) 여자가”…‘여초’ 직업의 불편한 진실 [Books]
간호사·승무원·방송작가 등
여초직장 경험 32명 인터뷰
“돌봄이 왜 여성의 의무죠
진짜 내 꿈을 찾고 싶어요”
결혼한 여성 교사들이 흔히 듣는 말이다. 사람들은 대체 왜 이런 조언을 하는 걸까. 답은 뻔하다. 결혼 생활을 하기에도, 자녀를 임신하고 출산해 키우기에도 여러 모로 다른 직업보다 교사가 낫다는 것이다. 예컨대 교사는 사기업을 다니는 것보다 보수가 적을 순 있지만, 육아 휴직을 비교적 자유롭게 쓸 수 있고 근무 시간도 일정한 편이다.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은 자녀 교육에도 도움이 된다. 방학에 쉴 수 있고 퇴직 후에는 공무원 연금도 받을 수 있다. 이런 장점은 자아 실현이나 적성, 흥미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다. 결국 가정을 ‘돌보기’ 좋다는 뜻이다. 자연스레 여성의 욕망은 좌절된다.
신간 ‘직업을 때려치운 여자들’은 교사·간호사·항공 승무원·방송작가 등 여성들이 많이 선택하는, 이른바 ‘여초(여성 수가 남성 수를 초과)’ 직업의 진실을 실제 사례와 경험담, 인터뷰를 통해 밝힌 책이다. 기자 출신의 이슬기 칼럼니스트와 서울에서 초등학교 교사로 13년 간 일하다 그만 둔 성교육 활동가 서현주 작가가 여성으로서 직접 겪은 일들을 회고하듯 썼고, 이들이 인터뷰한 여성 30여 명의 이야기를 담았다.
저자들은 진로 선택부터 퇴직까지 여성의 전 생애에 걸쳐 돌봄 의무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거미줄처럼 여성을 억압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일터에서도, 가정에서도 돌봄 의무가 너무 당연하게 여성의 몫으로 여겨지는 폭력적인 전제가 우리 사회 전반에 깔려 있다는 것이다. 서 작가도 “교대에 가기로 마음먹었을 때부터 직업적 안정성과 연금에만 관심이 있었다”고 고백한다. 시대가 바뀌었고 여성의 사회 진출 기회도 이전보다 늘었지만 보이지 않는 억압은 계속되고 있다는 게 이들의 분석이다.
일을 그만두는 경우도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다. 이유는 다양하지만 여기서도 돌봄 문제가 크게 작용한다. 고용노동부가 지난해 상반기 실시한 지역별 고용조사 결과에 따르면, 만 15~54세 기혼 여성 중 비취업 여성 283만7000명 가운데 종전에 일을 하다 그만 둔 경력 단절 여성은 134만9000명으로 절반에 육박했다. 경력 단절의 가장 큰 원인은 육아(42%)로 꼽혔고 결혼, 임신·출산, 자녀 교육, 가족 돌봄 등이 뒤를 이었다.
저자들은 현실의 틀을 깨고 새로운 길을 개척한 여성들도 소개한다. 일례로 정미(가명) 씨는 중학교 미술교사로 일하다 일러스트레이터로 전향했고, 미나리(활동명) 씨는 승무원을 그만두고 유튜버 겸 강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방송작가였던 승희(가명) 씨는 뷰티 회사 마케터가 됐다. 또 주영 씨는 초등학교 교사를 관둔 뒤 상담센터 대표가 됐고, 은지 씨는 대학병원 간호사를 때려치고 간호 교육 콘텐츠 회사 대표로 활약하고 있다. 이들의 목소리는 희망적이다. 당신도 모든 짐을 내려놓고 당신이 원하는 삶을 살 권리가 있다고. 누구든 될 수 있다고.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배현진 습격범’ 알고보니 강남서 학구열로 유명한 중학교 학생…교육청 “수사결과 따라 조
- 카이스트 女교수 일냈다…‘한국인 최초’로 수상한 이 상, 뭐길래? - 매일경제
- “와, 발표 하자마자 2억 뛰었네요”…‘GTX 호재’ 수혜지역 1위 어디 - 매일경제
- “반년 이상 같은 반 여학생을”…배현진 가해 중학생 동창 ‘충격증언’ - 매일경제
- “여보 병원만 배불렸네”…끝나지 않은 백내장 수술 실손 후폭풍 [어쩌다 세상이] - 매일경제
- “백화점서 우연히 본 나를 성폭행”…1천억원대 배상판결 트럼프 ‘날벼락’ - 매일경제
- “5% 올리고 2년 더 살게요”…갱신청구권 4년 만기 도래, 전셋값 상승 기폭제되나 - 매일경제
- “테일러 스위프트도 당했다”…4700만 조회수 기록한 충격적 사진 - 매일경제
- 서울 직장인 상위 0.1% 평균 연봉 14억원…강원의 3배 - 매일경제
- 이정후, 몸값 상승 이유 있었네...양키스-샌디에이고 뛰어들었다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