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초 뉴스]지난해 폐기한 돈 4조여 원…차곡차곡 쌓으면 광안대교 주탑 1300개 높이

홍정민 기자 2024. 1. 26. 17:3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폐기한 돈이 4조여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4일 한국은행이 손상화폐 4억8385만 장을 폐기했다고 밝혔다.

폐기된 돈을 위로 쌓으면 높이가 14만159m에 달한다.

2022년엔 4억 1268만 장(2조6414억 원 상당)을 폐기했는데, 지난해에 7117만 장(2조 6414억 원 상당) 가량 증가한 셈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폐기한 돈이 4조여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돈을 한 줄로 쭉 세우면 광안대교 주탑 1300여 개를 이어붙인 높이와 같을 정도다.

화재로 불에 타버린 5만 원권과 1만 원권. 한국은행


지난 24일 한국은행이 손상화폐 4억8385만 장을 폐기했다고 밝혔다. 모두 3조8803억 원 규모로, 지폐 4억2732만 장(3조8724억 원 상당)과 동전 5653만 장(79억 원 상당)이 폐기됐다.

지폐 중에선 세종대왕이 그려진 1만 원 권이 2억3775만 장이 폐기돼, 전체 폐기 지폐 중 55.6%를 차지해 가장 많이 버려졌다. 이외에 1000원권(1억4369만 장·33.6%), 5만 원권(2493만장·5.8%), 5000원권(2095만 장·4.9%) 순이었다.

동전은 100원화(3391만장·60.0%), 10원화(980만 장·17.3%), 500원화(837만 장·14.8%), 50원화(444만장·7.9%) 순으로 나타났다.

폐기된 돈을 위로 쌓으면 높이가 14만159m에 달한다. 이는 용두산공원 부산타워를 1100여개 이은 높이와 비슷하고, 에베레스트 산의 16배, 광안대교 주탑의 1330배에 달할 정도다. 또 돈을 쭉 이어 붙이면 경부고속도로를 76번 왕복한 거리와 비슷하다.

땅에 장기간 묻힌 5만 원권 지폐. 습기로 인해 손상됐다. 한국은행


2022년엔 4억 1268만 장(2조6414억 원 상당)을 폐기했는데, 지난해에 7117만 장(2조 6414억 원 상당) 가량 증가한 셈이다. 한국은행은 “엔데믹 이후 대면거래 증가와 5만 원권 유통수명 도래에 따른 손상 화폐 증가가 원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아울러 “시중금리 인상으로 환수 금액이 늘어난 점도 폐기량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 손상화폐 교환기준에 따르면 화재 등으로 화폐가 손상돼 사용될 수 없게 된 경우, △남아있는 면적이 3/4 이상이면 액면금액의 전액을, △2/5 이상∼3/4 미만이면 반액으로 교환해 준다. 화폐 2/5만 남아있다면 교환이 불가능하다.

동전도 마찬가지로 손상되거나 기타 사유로 통용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같은 금액으로 교환해준다. 다만, 모양을 알아보기 어렵거나 진위를 판별하기 어려운 주화는 교환이 불가능하다.

한국은행 손상화페 교환 기준. 한국은행


한국은행 지폐 교환 사례를 살펴보면 화재로 집에 모아둔 돈이 불에 타거나, 땅속에 돈을 묻어뒀다가 습기로 곰팡이가 생겨 쓸 수 없게 돼 새로 교환을 진행했다.

폐기 대상인 화페는 대부분 소각 등의 방식으로 폐기되지만, 일부 재활용하기도 한다. 현대미술 작가의 요청을 받고 작품 재료용으로 잘게 자른 지폐 1500kg을 지원한 바 있으며, 폐기물 재활용 연구 등의 용도로 300kg을 제공하는 등 재활용 비율을 늘리고 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손상화폐를 콘크리트 보강재 등의 재료로 재활용할 수도 있다”며 “올해 외부 기관과 협의해 재활용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