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잉·과격·과몰입 부르는 알고리즘 … 세대 불문 '확증편향'

권선미 기자(arma@mk.co.kr), 박동환 기자(zacky@mk.co.kr)이지안(cup@mk.co.kr) 2024. 1. 26. 17: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막나가는 정치 유튜브
보고 싶은 것만 골라 추천
신념 강화돼 적개심 증폭
배현진 피습전날 한 SNS엔
"뒤통수 한 대만 때렸으면"
돈벌이 혈안 된 유튜버들
허위사실 유포도 비일비재
"영상 심의·처벌 강화해야"

◆ 극단의 온상 SNS ◆

구독자 50만명이 넘는 좌파 성향의 한 유튜브 채널(왼쪽)과 구독자 140만명이 넘는 우파 성향의 유튜브 채널 모습.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이어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까지 테러를 당하면서 혐오 콘텐츠가 극단적 행태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유튜브 채널 캡처

상대를 적으로 돌리는 정치 유튜브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가 한국 사회를 극단적인 대립 상태로 만들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을 공격한 이들은 평소 '정치 유튜브'를 즐겨 봤다는 공통 연결고리가 있었다. 배 의원을 공격한 중학교 2학년 A군은 평소 정치 관련 글이나 영상을 SNS나 단체 채팅방에 올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정치기사에 댓글도 자주 다는 등 또래에 비해 정치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A군이 해당 영상들을 보며 정치에 과몰입하게 됐고, 배 의원에 대한 모종의 적개심을 갖게 돼 실제 범행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배 의원을 대상으로 공격을 부추기는 극단적인 증오 발언이 유튜브와 SNS 등에서 이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범행이 일어난 25일 전날에는 특정 정치 성향을 띤 온라인 커뮤니티에 배 의원을 두고 '뒤통수 한 대만 때릴 수 있으면 좋겠다'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고, 이를 옹호하는 댓글 여러 개가 달리기도 했다.

이윤호 고려사이버대 경찰학과 석좌교수는 "요즘 청소년이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매체는 유튜브인데 해당 영상은 어떤 기관에서도 심의를 받지 않고 문제도 되지 않는다"며 "유튜브를 많이 보는 청소년들이 이념적 편견 등에 사로잡힐 확률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유튜브도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심의 대상으로 삼는 등 법적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 대표를 습격한 김 모씨(67) 역시 평소 은둔 생활을 하며 정치 유튜브를 즐겨 봤고 태극기 집회에도 참여해왔다는 증언이 나왔다.

정치적 내용을 담은 유튜브나 커뮤니티의 중심에는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만 보면서 기존 신념을 강화하는 '확증편향'이 자리 잡고 있다.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는 올해 두드러진 심리 현상으로 확증편향을 꼽았다. 학회는 "(유튜브나 커뮤니티 등에서) 확증편향이 무의식적으로 일어난다"며 "특히 이해하기 쉽고 친숙한 정보, 짧은 동영상 등을 볼 때 이런 경향이 더 뚜렷해진다"고 분석했다.

온라인 커뮤니티가 일부 정치 공론장 기능을 하고 있지만 그 폐해가 순기능에 비해 훨씬 크다는 지적도 있다. 김종영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는 "자율적 의견 개진의 공간을 인위적으로 규제하는 것은 어렵지만 숙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과도한 혐오와 증오 발언을 규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특정 대상을 향한 혐오와 증오 콘텐츠가 넘쳐난다고 해서 이들을 무조건 조직화된 세력으로 보는 것은 맞지 않지만 확실히 규제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특히 확증편향을 담은 콘텐츠가 곧 돈벌이로 연결되고 있다는 점도 이런 현상을 부추긴다. 상대 진영을 향한 자극적인 허위 사실을 유포해야 높은 조회수를 기록할 수 있는데 이는 수익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유튜브와 SNS에서 개별 시청 기록 등을 바탕으로 콘텐츠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이 문제를 더 키우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정훈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최근 발표한 '한국인의 유튜브 뉴스 이용과 확증편향성' 분석에 따르면 주요 진보, 보수 유튜브 채널을 3개씩 총 6개 채널을 선정해 시청자 123만8632명을 추적한 결과 한쪽 진영의 주장만을 담은 영상을 시청하는 비중은 양쪽 진영 주장을 담은 영상을 시청하는 비중보다 5배가 많았다.

선진국에서는 청소년들이 무분별한 영상에 노출되는 일이 잦아지면서 이를 차단하는 과감한 조치까지 이뤄지고 있다. 미국 플로리다주 하원은 최근 만 16세 미만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SNS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법안을 세계 최초로 통과시키기도 했다. 법안에 따르면 만 16세 미만 청소년은 부모의 승인 여부와 관계없이 SNS 계정을 만들 수 없다.

[권선미 기자 / 박동환 기자 / 이지안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