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등 가지마다 자리한 대한제국의 꽃…돈덕전 밝히던 샹들리에

김예나 2024. 1. 26. 15: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초의 근대 국가이자 황제 국가였던 대한제국에서는 자두나무꽃 즉, 이화(李花) 문양을 곳곳에서 활용했다.

근대식 공문서, 우표를 도입하면서 그 문양을 활용했고, 세계 여러 나라와 교류하던 궁궐 안팎과 그 안에서 쓰는 각종 황실 물품도 이화문으로 화려하게 꾸몄다.

가지 덩굴마다 대한제국 황제의 문장(文章·국가나 집안 등을 나타내기 위해 쓰는 상징적 표지)인 이화문이 장식된 점을 볼 때 주문 제작한 상품으로 보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고궁박물관, 조명기구·궁궐 관련 기록 등 자료 발간
이화문 샹들리에 세부 모습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최초의 근대 국가이자 황제 국가였던 대한제국에서는 자두나무꽃 즉, 이화(李花) 문양을 곳곳에서 활용했다.

근대식 공문서, 우표를 도입하면서 그 문양을 활용했고, 세계 여러 나라와 교류하던 궁궐 안팎과 그 안에서 쓰는 각종 황실 물품도 이화문으로 화려하게 꾸몄다.

26일 국립고궁박물관의 소장품 도록 '조명기구'(照明器具)에 따르면 1900∼1910년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샹들리에도 그중 하나다.

이화문 샹들리에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에서 만든 이 조명기구는 가지 위아래로 긴 잎과 줄기가 덩굴처럼 감싼 형태로, 5장의 꽃잎과 꽃술로 이뤄진 이화문이 곳곳에 장식돼 있다.

가지 덩굴마다 대한제국 황제의 문장(文章·국가나 집안 등을 나타내기 위해 쓰는 상징적 표지)인 이화문이 장식된 점을 볼 때 주문 제작한 상품으로 보인다.

박물관 관계자는 "표면에 남은 금빛 흔적, 전구를 끼우는 기구에 새겨진 상표, 당대 발행된 신문 등을 고려할 때 1904년경 덕수궁 돈덕전 접견실 회랑에 설치됐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화유옹주묘 출토 등잔대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도록에서는 조선시대부터 대한제국기에 쓰인 다양한 조명기구를 살펴볼 수 있다.

사방으로 창을 내고 내부에 초나 등을 넣어 쓰는 바닥용 조명기구인 좌등(座燈)을 비롯해 개항 이후 들어온 서양식 촛대와 석유등 등 95점의 사진과 설명이 담겼다.

조선 영조(재위 1724∼1776)의 딸 화유옹주(1740∼1777) 무덤에서 나온 등잔대, 고리를 달아 매달거나 손으로 들 수 있도록 한 초롱(燭籠)·등롱(燈籠) 등은 눈길을 끈다.

'조명기구' 자료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박물관은 조선시대 궁궐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자료인 '궁궐지'(宮闕志)를 우리말로 옮긴 총서도 최근 펴냈다.

숙종(재위 1674∼1720) 대에 편찬된 궁궐지는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된 유물로, 1695년 6월에 숙종이 직접 쓴 어제 서문(御製序文)과 주요 궁궐 전각과 관련한 정보 등을 담고 있다.

이름은 같으나 고종(재위 1863∼1907) 대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궁궐지는 경복궁·창덕궁·창경궁의 전각 규모, 위치, 구조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 연구 가치가 크다.

'궁궐지' 왼쪽은 숙종 연간 추정 궁궐지, 가운데부터는 고종 연간 추정 궁궐지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박물관 관계자는 "일제강점기 때 훼손돼 없어진 전각 위치와 형태 정보가 기록돼 있어 향후 궁궐의 옛 모습을 복원하거나 재현하는 자료로써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소장품 도록과 총서 등 이번에 발간한 책자는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에서 볼 수 있다.

박물관 측은 책자를 국공립 도서관과 여러 연구기관에도 배포할 예정이다.

고문헌 국역 총서 '궁궐지'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yes@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