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차분쟁 2년새 2배 급증

2024. 1. 26. 11: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2020년 7월 임차인 보호를 목적으로 '임대차 3법'을 도입해 시행하고 있지만 해가 갈수록 임대차 관련 분쟁은 증가하는 양상이다.

지난해 분쟁 접수 사례를 항목별로 보면 '보증금 또는 주택의 반환' 건수가 238건으로 가장 많았다.

'보증금 또는 주택의 반환' 분쟁의 경우 전체 238건 중 성립은 52건, 화해취하는 42건 수준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1년 353건→2023년 645건
‘보증금·주택 반환’ 분쟁이 최다

#. 지난 2021년 보증금 5억5000만원에 임대차계약을 맺고 2년간 거주한 임차인 A씨는 계약기간이 끝나 임대인 B씨에게 보증금 반환을 요구했다. 집 상태를 둘러본 B씨는 A씨의 부주의한 사용으로 화장실 욕조와 타일에 균열이 생겼다며 수리비 100만원을 제외한 5억4900만원만 돌려줬다. 통상적인 손모에 불과하다고 주장한 A씨는 조정위에 분쟁 조정을 접수했다. B씨는 화장실을 수리하기 위해 100만원 이상 지출해야 하기 때문에 100만원을 보증금에서 임의 공제한 건 정당하다는 입장이었다. 이 사건을 심의한 조정위는 원상회복비용으로 30만원을 보증금에서 공제하고 나머지 70만원을 A씨에게 돌려줄 것을 주문했다. 만약 B씨가 70만원을 지급하지 않으면 원래 주기로 한 날의 다음날부터 미지급금액에 대해 연 5% 비율로 계산한 돈을 더해 지급하도록 했다. A씨와 B씨는 조정안을 수용했다.

지난 2020년 7월 임차인 보호를 목적으로 ‘임대차 3법’을 도입해 시행하고 있지만 해가 갈수록 임대차 관련 분쟁은 증가하는 양상이다. 특히 부동산 침체 분위기가 짙었던 지난해에는 전셋값 하락으로 인한 역전세 현상이 나타나며 보증금 반환 관련 임대인-임차인간 갈등이 두드러졌다. ▶관련기사 18면

26일 한국부동산원·LH 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조정위에 접수된 주택임대차분쟁 접수건수는 645건으로 집계됐다. 전년 621건 대비 24건 늘었고, 2021년 353건과 비교하면 2년 새 300건 가까이 증가했다.

조정위는 주택 및 상가건물 임대차계약 관계에서 발생하는 각종 분쟁에 대해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심의·조정해 부동산 소비자 보호, 사회적 비용 절감에 기여하도록 만들어진 제도다.

조정 신청을 하면 조정위가 60일 이내에 사실조사 및 전문가 감정 및 의견요청 등을 통해 분쟁 사안을 살펴보고 조정안을 작성해 제시한다. 양측 모두 조정안 통지 14일 이내 수락 의사를 밝히면 조정이 성립된 것으로 수수료는 1만~10만원 수준이다. 지난해 분쟁 접수 사례를 항목별로 보면 ‘보증금 또는 주택의 반환’ 건수가 238건으로 가장 많았다. 2021년 118건→2022년 165건 등의 추이를 보이며 매년 증가세다. 이는 고금리로 인해 2022년 말부터 전셋값이 하락하기 시작하면서 나타난 역전세 현상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손해배상 162건 ▷계약 갱신·종료 92건 ▷유지·수선 의무 63건 ▷계약 이행 및 해석 55건 ▷차임 또는 보증금 증감 22건 ▷기타 11건 ▷임대차기간 2건 등이 뒤를 이었다.

‘실거주 사유로 갱신거절 후 제3자에게 임대 또는 매도’, ‘주택 원상회복 의무 및 범위’ 등의 사항이 해당되는 손해배상의 경우 2022년 205건이 접수돼 가장 많았다가 지난해 160건대로 감소했다.

임차인 A씨 사례처럼 조정위 접수로 분쟁 조정이 성립되는 사례도 있지만 불성립되거나 각하 또는 취하, 화해취하되는 사례도 있다. 화해취하는 당사자간 합의에 따라 사건 접수를 취하하는 것으로 조정성립에 준하는 결과다. 지난해 전체 분쟁 접수건수 645건 중 조정이 성립된 건 144건, 화해취하는 107건이었다. 각하건수가 219건으로 가장 많았다. ‘보증금 또는 주택의 반환’ 분쟁의 경우 전체 238건 중 성립은 52건, 화해취하는 42건 수준이었다.

조정위 관계자는 “양 당사자의 합의로 진행되는 제도로 일방이 불응하는 경우 조정사건 진행이 안 된다는 본질적 한계가 있다”며 “성립건수와 화해취하건수를 포함한 조정성립율은 현재 40%로 낮은 편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신혜원 기자

hwshi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