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당 10억? 이러다 죽어"…K드라마, 주연 몸값에 몸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K-드라마 제작 산업이 위기다.
최근 몇 년 사이 드라마 제작비가 수직 상승하며, 방송사가 제작비를 감당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회당 제작비가 20억 원까지도 올랐다.
이어 "제작사들은 그나마 편성이 용이한 배우들의 요구대로, 회당 수억 원을 지불하며 제작할 수 없는 처지다. 이는 다시 제작비 상승을 부추기는 악순환"이라 실태를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Dispatch=김지호기자] "표류 중인 작품 약 20편…3,000억 원이 잠겨 있다"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
K-드라마 제작 산업이 위기다. 최근 몇 년 사이 드라마 제작비가 수직 상승하며, 방송사가 제작비를 감당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회당 제작비가 20억 원까지도 올랐다.
높은 제작비 감당이 가능한 건,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 플랫폼. 이에 국내 다른 제작사 및 스튜디오들이 위축되며, 제작 산업의 악순환을 낳고 있다.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는 지난 16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협회 사무실에서 간담회를 가졌다. 제작사 및 방송 플랫폼 관계자들이 모두 모여 현 상황에 대해 논의했다.
스타들의 고액 출연료 문제다. 한 방송사 참석자는 "주연은 이제 억 소리가 아니라 회당 10억 소리가 현실"이라며 "자구책을 찾아야 할 때가 왔다"고 토로했다.
이어 "제작사들은 그나마 편성이 용이한 배우들의 요구대로, 회당 수억 원을 지불하며 제작할 수 없는 처지다. 이는 다시 제작비 상승을 부추기는 악순환"이라 실태를 전했다.
그러다보니 일부 스타 배우들의 파워가 커졌다. 한 제작사 관계자에 따르면, 일부 배우들은 계약 시 방송이 나갈 플랫폼을 미리 한정한다. 현장에서 대본을 바꾸는 일도 비일비재.
이 관계자는 "(스타 배우들이) 감독을 교체하기도 한다"며 "이런 상황에서 과연 제작사란 도대체 무엇인가 자괴감이 들 때도 있다"고 하소연했다.
또 다른 제작사 대표는 "최근 배우들 캐스팅을 진행했다. 회당 출연료를 4억원, 6.5억원, 7억원을 불렀다"고 알렸다.
중국은 배우들의 출연료가 총 제작비의 40%를 넘길 수 없다. 출연료 중 주연급 출연료는 70%를 넘길 수 없도록 돼 있다. "우리나라도 출연료 가이드 라인이 시급하다"고 봤다.
제작비 때문에 완성도 역시 떨어지고 있다는 것. 한 방송사 관계자는 대규모 전쟁 신을 예로 들었다. "보조출연이 많이 출연할 수 없다. 안타깝다"고 전했다.
대책은 출연료를 정하는 단위를 바꾸자는 것. 회당이 아닌, 촬영 기간 단위로 계약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총 촬영 일수, 촬영 시간 등을 기준삼자는 방안도 있었다.
그러나 쉬운 일은 아니다. 톱급 배우들의 캐스팅으로 사업적 경쟁력을 올리는 방안도 매력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 실제로 스타 배우가 아닐 경우, 구매 가격 자체도 낮아진다.
한 드라마 제작사 참석자는 "유명 배우를 캐스팅해야 편성도 쉽고, 해외 수출도 잘 된다. 그런 배우들만 개런티가 올라가고, 그 배우들한테만 목매게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 외에도 중간급 배우들의 출연료 상승, 52시간 근무제 시행 이후 스태프 비용이 상승한 점, 미술비와 CG 용역비 등이 인상한 점 등도 거액 제작비의 요인으로 지목됐다.
협회 측은 "방송사 상황 악화로, 제작을 다 마치고도 표류하는 작품이 20편 가까이 된다"며 "약 3,000억 원 정도가 잠겨 있다. 업계에 상당한 타격이 올지 모른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 유관기관이 나서 해소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며 "앞으로 대안 마련을 위해 OTT 관계자, 문화체육관광부 등과 지속해서 논의해 해결책을 마련할 것"이라 마무리했다.
<사진출처=협회 홈페이지 캡처, 기사와 관계 없는 드라마>
Copyright © 디스패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