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2년 연속 제쳤다···K-오일 최대 수출국은 '이 나라' [Biz-플러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석유 내수화로 수출 비중이 떨어진 중국 대신 호주가 국내 정유사들의 최대 수출국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한 국내 석유산업의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해 국내 SAF 생산기반 마련을 위한 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정유업계는 올해도 우수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수출 및 수출국 다변화로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출국 연속 증가세···'다변화' 전략 통해
원유도입액의 58%는 석유제품 수출로 회수
"SAF 생산 기반 위한 정책적 지원 필요"
석유 내수화로 수출 비중이 떨어진 중국 대신 호주가 국내 정유사들의 최대 수출국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정유업계가 석유 제품의 ‘수출국 다변화’ 전략을 취하면서 수출국만 70개국에 육박했다.
25일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SK에너지, GS칼텍스, S-OIL, HD현대오일뱅크 등 정유사들은 석유제품 총 4억 6672만 배럴을 수출했다. 특히 수출국가 수는 2년 연속 증가하며 역대 2위를 차지했다. 2021년 58개였던 수출국은 2022년 64개로 늘어났고 지난 해에는 70개국까지 늘었다.
수출국 다변화 현상은 정유업계가 글로벌 환경변화와 탄소중립 시대에 맞춰 새로운 수출국을 발굴하는 등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근 대(對)중국 석유제품 수출이 감소하고 있는 것도 영향을 끼쳤다. 중국은 2016년 이후 6년 연속 우리나라 정유사들의 최대 수출 상대국이었지만 ‘제로 코로나’ 정책과 석유제품 자급율 상승으로 수출액 비중은 2020년 29.5%에서 지난해 7.5%까지 급감했다. 순위도 5위까지 미끄러졌다.
중국의 빈자리는 호주가 차지했다. 호주는 BP와 엑슨모빌이 2021년 경 자국 내 정유공장을 폐쇄조치하며 전체 정제 설비가 절반으로 감소했는데, 정유 부족분을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에서 국내 정유사들이 발 빠르게 수출량을 늘렸다. 이 결과 2020년 6위에 해당하던 수출국 순위는 급상승하며 2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이외에도 지난해 국내 정유사들은 미국, 프랑스, 영국 등 서구권 국가와 UAE,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등 중동 산유국에도 ‘K-오일’을 수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정유사들의 수출 확대는 국가 무역수지 적자해소에 기여하고 있다. 정유업계는 지난해 원유도입액 806억 달러 가운데 58%인 463억 7000만 달러를 석유제품 수출로 회수했다. 이는 2022년 60%에 이어 역대 두번째로 높은 회수율이다. 수출액 기준으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하는 2023년 국가 주요 수출품목 중 4위를 기록하는 등 최근 3년 연속 상위 5개 품목 안에 자리하기도 했다.
제품별 수출량 비중은 경유(41%), 휘발유(21%), 항공유(18%), 나프타(8%) 순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휘발유는 미국으로의 수출이 두 배 가까이 증가하는 등 역대 최대 수출량(9986만 배럴)을 기록했다. 올해부터 국내 일부 정유사가 휘발유 완제품을 미국 본토에 장기 공급하기로 계약하기도 하면서 향후 대미 휘발유 수출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항공유 수출 또한 미국 및 호주, 일본 등을 위주로 꾸준히 회복하며 6.8% 증가해 코로나 이전 수요에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주요국의 경제성장 둔화, 에너지 효율개선 및 수송연료 전환 등으로 올해 석유 수요가 저성장 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경기 침체 여파에도 불구하고 항공 여객수는 사상 최대인 47억 명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환경규제에 따라 유럽연합(EU)를 시작으로 바이오항공유(SAF) 사용이 의무화 되는 상황에서 관련 시장 대응을 위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한 국내 석유산업의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해 국내 SAF 생산기반 마련을 위한 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정유업계는 올해도 우수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수출 및 수출국 다변화로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이유와 친하고 동거했던 사이'…끝도 없는 전청조 '사기 정황' 또 나왔다
- 벤틀리 세발자전거 타고 명품 쇼핑…한 달 용돈 4000만원 '아기 만수르'
- 개미들 놀랄 ‘빅뉴스’ 떴다…백종원 더본코리아 올 코스피 입성 추진 [시그널]
- 당첨금 15억인데…인천 로또 1등 주인 끝까지 안 나타나 '복권기금 귀속'
- 같은 대학교 여학생 성폭행하고 골목에 방치한 20대男 구속송치
- 8년 연애 끝 결혼 약속한 남친의 ‘숨겨진 정체'…“피해여성 20명 넘을것'
- '우리 피를 보자'…연락금지 명령에도 전처에 '490차례' 문자 보낸 60대의 최후
- “납치당했다” 112 신고했지만 출동 안 해…스스로 탈출하던 피해자는 결국
- '액운 막으려 그랬다'…울산 대왕암에 '바다남' 새긴 범인의 '황당' 범행 이유
- 6개월 딸 창밖으로 던져 숨지게 한 친모, 선처 호소…'제정신이 아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