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생각] 가르치는 작가도, ‘합평 낭인’도 “계속 쓰겠다는 각오”의 증거

임인택 기자 2024. 1. 26. 05: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례 없는 방식의 앤솔로지이다.

창작 전문 교육기관 수강생의 습작 가운데 우수 작품을 선발해 1:1 코칭 강습비와 함께 단행본 기회를 줬다.

돌봄의 이면에서 배태되는 죄질과 죄의식을 긴장감 있게 상징화한 작품.

작가 박상영, 장류진, 천선란, 김현, 정대건, 김기태 등이 이 기관을 수강생으로 다녀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0년 김수영문학상을 수상한 이기리 시인(위 오른쪽)이 서울 신촌 한겨레교육문화센터에서 수강생들과 함께 시 창작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한겨레출판과 한겨레교육문화센터가 함께 기획한 ‘셋셋’ 프로젝트의 멘토로도 참여했다. 사진 한겨레교육문화센터

셋셋 2024
송지영·성수진·정회웅·이열매·이지혜·황해담 지음 l 한겨레출판 l 1만1000원

전례 없는 방식의 앤솔로지이다. 창작 전문 교육기관 수강생의 습작 가운데 우수 작품을 선발해 1:1 코칭 강습비와 함께 단행본 기회를 줬다. 강호의 ‘합평 낭인’들―알고 보니 고수인―에게 출간행 특별 열차를 편성했달까. 소설 셋, 시 셋, 이름하여 ‘셋셋 2024’이다. 지난해 하반기 기획으로 이 가운데 한 명이 2024년 신춘문예 등단했다. 하지만 이 성적보다 중요한 건, 강사로 참여한 하성란 작가의 말마따나 배우는 자도 가르치는 자도 “계속 쓰겠다는 각오를 매일 할 수 있었다”는 사실, 무엇보다 “읽고 쓰는 일. 이 단순함이 우리를 바꾼다”는 사실 아닐까.

송지영의 ‘마땅하고 옳은 일’은 요양보호사 강선숙의 대사에서 나온 제목이다. 유명 식당을 운영하다 섬망을 앓는 최 노인, 예의 바른 그의 며느리는 선숙이 돌보았던 파킨슨병 엄마와 “지속적으로 상하면서도 끊어지지 않는 그 끈질긴 목숨을 섬뜩”해했던 자신을 상기시킨다. 급기야 코로나 감염을 ‘기도’하며 엄마 앞에서 마스크를 벗었던 선숙. 돌봄의 이면에서 배태되는 죄질과 죄의식을 긴장감 있게 상징화한 작품.

그밖에 글쓰기로의 도피와 구원을 살핀 ‘재채기’(성수진), 어근버근 그러나 등지지 않는 연인 사이를 풍경화 속 인물들마냥 여럿 감췄다 풀어내는 ‘기다리는 마음’(정회웅)이 소설 쪽을 채운다. 하 작가와 함께 김현영·서유미 소설가가 가르치고 평가했다.

시 3편씩 전체 9편을 상재한 이들은 이열매, 이지혜, 황해담씨다. 이기리·김근·김선오 시인이 강사이자 평가자였다. 여기서도 시를, 글을, 길을 멈추지 않는 마음의 자락들이 있다. “관둬야 할까 봐/ 내가 말하자/ 너는 답장을 보내왔다/ 수목원에 가보라고/ 길을 만들며 내려가는 너의 메시지//…// 사람 없는 극장에서/ 영화제는 없고/ 이제 다 끝났다고/ 말하는 사람을 만났다/ 끝난 줄 모르게/ 포스터를 계속 붙여두었다고//…// 끝나가는 시간을 기록한 영화는 끝나지 않는다고 해//…” “무언가 실패한 자리에서 시작된다”(김근)고 설명된 이지혜씨의 시 ‘날짜를 떼어내 모퉁이에 심었다’ 일부다. 이 작품을 아울러 긴 호흡의 시를 특징으로 하는 이씨는 2024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소설부문에 등단했다는 소식을 알려왔다.

여기 작품들을 ‘날것’이라 부르면 될까. 안 될 일이다, 대신 ‘만날 것’이라 이르면 어떨까. 작가 박상영, 장류진, 천선란, 김현, 정대건, 김기태 등이 이 기관을 수강생으로 다녀갔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