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값이면 중국산” vs “그래도 애국소비”…밸런스게임 결론은

문광민 기자(door@mk.co.kr) 2024. 1. 25. 06: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전기버스 시장에서 중국산 신차 판매 대수가 지난해 국산 판매량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정부는 요건에 따라 보조금을 차등 지급해 중국산 전기버스에 대한 보조금을 삭감했지만 기본 가격 차이가 커 국산 전기버스는 열세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중국산 전기버스가 국내 시장을 장악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국산에 비해 저렴한 가격이다.

중국산 전기버스가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자 환경부는 지난해 전기버스 보조금을 일률적으로 지급하던 관행을 깨고 차등 지급하기 시작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中전기버스 1528대 판매
신차 점유율 54%로 과반 달성
보조금 차등정책에도 파죽지세
“가성비 높은 중국산 살수밖에”
상용차 부품사들 고사위기 고조
BYD eBus-12 [사진 출처=BYD코리아]
국내 전기버스 시장에서 중국산 신차 판매 대수가 지난해 국산 판매량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정부는 요건에 따라 보조금을 차등 지급해 중국산 전기버스에 대한 보조금을 삭감했지만 기본 가격 차이가 커 국산 전기버스는 열세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국내 버스 신차 시장이 위축되고, 전기버스 비중이 확대되는 가운데 중국산 전기버스는 파죽지세로 국내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24일 국토교통부와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에 따르면, 작년 국내 전기버스 신차 판매량은 총 2815대를 기록했다. 중국산이 1522대(54.1%), 국산이 1293대(45.9%)로 각각 집계됐다. 2019년까지만 해도 국내 전기버스 시장에서 중국산 점유율은 23.9%에 불과했지만, 해마다 크게 늘어나 지난해 결국 과반을 달성했다.

중국산 전기버스가 국내 시장을 장악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국산에 비해 저렴한 가격이다. 경기도의 경우, 버스 회사가 전기버스 1대를 구매할 때마다 최대 1억120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한다. 여기에 환경부 보조금(7000만원), 국토부의 저상버스 보조금(9200만원)을 합하면 대당 2억7400만원 한도의 정부·지자체 보조금이 지급된다. 국산 전기버스는 대당 약 4~5억원, 중국산은 3억원 안팎으로 가격이 책정돼 있다. 구매 보조금을 적용하면 버스회사가 중국산 전기버스를 도입하는 데 지출하는 비용은 국산의 절반도 안 된다.

중국산 전기버스가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자 환경부는 지난해 전기버스 보조금을 일률적으로 지급하던 관행을 깨고 차등 지급하기 시작했다. 사후관리(AS) 센터 직영 여부, 전산 시스템 유무, 배터리 에너지 밀도 등에 따라 중국산 전기버스에 대한 국고 보조금 혜택을 기존의 반토막 수준으로 낮췄다.

보조금 삭감에도 불구하고 국내 버스회사들은 중국산 전기버스의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국산보다 뛰어나다고 판단했다. 중국산 전기버스 성능이 국산과 비교해 뒤떨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2배 가량 높은 값을 주고 국산을 사야 할 만큼 국산·중국산 간 품질 차이가 크지는 않다는 것이다.

동일 배터리 용량을 기준으로,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를 탑재한 국산 전기버스는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사용한 중국산보다 충전 시간이 짧고, 주행거리가 더 길다. 중국산 전기버스는 배터리 용량 자체를 늘리는 방식으로 국산보다 긴 주행거리를 확보하고 있다. 다만 이 같은 성능 차이는 버스회사 입장에선 고려 사항이 아니다. 노선버스의 경우 정해진 경로를 일정 시간 동안 운행하기 때문에 배터리 효율보다는 주행거리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전체 버스 신차 시장에서 전기버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1.3%에서 지난해 10.7%로 10배 이상 커졌다. 내연기관 버스와 비교했을 때 전기버스 유지비용은 4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버스회사들은 내구연한이 다한 경유·천연가스(CNG) 등 내연기관 버스를 전기버스로 교체하고 있다.

중국산 전기버스가 국내 시장을 장악하면서 국내 상용차 부품 기업들은 고사 위기로 몰리고 있다. 전동화에 따라 내연기관 버스용 부품 물량이 줄어드는 만큼 전기버스 부품 수요가 늘어나기를 부품사들은 바라고 있지만, 중국산의 국내 시장 잠식으로 기대는 엇나가고 있다. 전북 전주시 소재의 한 상용차 부품사 대표는 “우리가 아무리 원가를 절감해도 중국산 전기버스와는 가격 면에서 상대가 안 된다. 앞으로 중국산 점유율이 계속 높아지면 어떻게 살아남아야 할지가 걱정된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