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왕설래] ‘수포자’와 디지털 교과서

김기동 2024. 1. 24. 22: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3년마다 주관하는 국제 비교 연구다.

만 15세 학생(중3∼고1)의 수학, 읽기, 과학 학력을 측정한다.

'PISA 2022'에서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수학 1∼2위, 읽기 1∼7위, 과학 2∼5위로 최상위권에 위치했다.

일선 학교 수학 시간은 '투명인간' 취급을 받는 학생과 사교육에만 기댄 상위권 학생으로 나뉜 지 오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3년마다 주관하는 국제 비교 연구다. 만 15세 학생(중3∼고1)의 수학, 읽기, 과학 학력을 측정한다. ‘PISA 2022’에서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수학 1∼2위, 읽기 1∼7위, 과학 2∼5위로 최상위권에 위치했다. OECD 평균이 각 472점, 476점, 485점이지만 표본조사여서 순위는 오차를 고려해 ‘최고∼최저’ 범위로 산출한다. 수학만 놓고 보면 평균 점수가 일본이 536점, 한국이 527점이지만 두 나라 모두 1∼2위로 평가됐다.

수학 강국으로 불릴 만하지만 성적의 양극화가 문제다. 6등급으로 나눴을 때 우리나라의 상위권(1, 2등급) 비율은 2018년 21.4%에서 22.9%로, 하위권(6등급) 비율은 15.0%에서 16.2%로 늘었다. 하위권 비율은 오히려 2009년 8.1%에서 2배로 올라 역대 최고치다. ‘수포자(수학 포기자)’가 많다는 얘기다. 한국의 학부모가 가장 두려워하는 말이 ‘수포자’다. 수학이 입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이라 수포자는 곧 대학 입시 실패와 직결된다. 수학 과목이 수학적 사고력을 키우는 목적에서 벗어나 입시의 도구가 된 탓이 크다. ‘초등 의대반’의 수학 선행학습 수준은 상상을 초월한다. 일선 학교 수학 시간은 ‘투명인간’ 취급을 받는 학생과 사교육에만 기댄 상위권 학생으로 나뉜 지 오래다. 2028학년도 수능에서 심화수학을 배제한 것에 대한 논란도 여전하다.

이런 상황에서 디지털 기기 이용시간과 수학 성적의 연관성을 분석한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의 교육백서가 등장했다. 한국 학생들이 노트북, 태블릿 등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1시간 늘 때마다 수학 성적이 3점씩 떨어진다는 것이다. OECD 평균 하락 폭(2점)보다 컸다.

당장 내년 3월부터 전국 초등 3∼4학년과 중1·고1 과정에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하려는 정부가 난처해졌다. 지난해 8월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교사 1000명 대상 조사에서 AI 기반 교육 서비스 활용 경험도는 38.1%에 불과했다. 편리함도 좋지만 디지털 기기가 학생의 주체적 문제 해결 능력과 사고력을 제한하지 않을까 걱정이다.

김기동 논설위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