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프리즘] 과학자여, 출마하라!

2024. 1. 24. 22: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라진 R&D예산 4조6000억
주니어 과학자들 연구발판 엎어
무너진 연구체계 회복 최소 5년
시니어 과학자들 목소리 높여야

10월 초만 되면 가슴 졸이던 시절이 있었다. 노벨상 수상자 발표에 과연 한국 사람 이름이 나올까 봐 가슴을 졸인 게 아니었다. 그런 건 기대도 하지 않았으니까. 라디오 방송에서 노벨상 해설 방송을 해 달라는 전화를 받을까 봐 걱정했다. 방송에 출연해서 제대로 설명도 못할까 봐 그런 건 아니었다. 현대 위상수학과 관련 있는 2016년 노벨물리학상만 빼면 노벨상 위원회 홈페이지 보도자료만으로도 충분히 설명할 수 있었다.

방송 작가의 어처구니없는 요구 때문이었다. “초등학생도 알기 쉽게 설명해 주세요.” 아니, 초등학생도 알 만한 내용에 누가 노벨상을 주겠는가! 아무튼 방송에 나가서 설명을 마칠 무렵이면 꼭 듣는 질문이 있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언제 노벨상을 받을까요?”(아니, 2000년 노벨평화상은 기억하지 못하는가!) 내 대답은 한결같았다. “앞으로 15년 동안 못 받습니다.” 그러면 되묻는다. “왜요? 사람이 없나요? 돈이 없나요?” 당시 내 대답은 “사람도 있고 돈도 있는데 실패의 경험이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이정모 전 국립과천과학관장
만약에 2022년 10월에 우리나라는 언제 노벨상을 받을까 하는 질문을 받았다면 10년 안에는 반드시 받는다고 대답했을 것이다. 그전 5년 동안 실패해도 되는 문화와 예산이 과학계에 생겼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올해 10월에 같은 질문을 받는다면 뭐라고 할까? 어쩌면 15년 안에도 못 받을지 모른다고 대답할 것이다.

‘R&D 예산 6500억 증액’. 한심한 플래카드다. 빨간색 플래카드를 보면서는 몰염치, 파란색 플래카드를 보면서는 무관심이라는 세 글자가 떠올랐다. 누구나 아는 이야기다. 6500억이 늘어난 게 아니라 4조6000억이 사라진 것이다. 그깟 몇 푼 줄었다고 이 난리냐고?

사라진 4조6000억원은 뭘까? 분야별로 따질 게 없다. 결국 일자리다. 그것도 신진 과학자들의 일자리다. 내년, 내후년에는 회복될 거라는 희망도 없다. 앞으로 과학계 예산은 매년 0.7%만 올릴 계획이라는 이야기도 들린다. 이젠 돈이 없다. 돈이 없으면 사람도 없어진다. 시니어 과학자들은 한순간 울분을 토하면 그만이지만 주니어 과학자들은 놀든지 다른 일을 찾든지 딴 나라로 가야 한다.

인공위성을 개발하는 한 여성 과학자가 말했다. “알아서 잘해 주겠지, 이렇게 생각하며 회피한 결과로 연구개발 예산 삭감이라는 철퇴를 맞은 것입니다.” 안일하게 굴다 철퇴를 맞을 수 있다. 문제는 맞은 다음에도 입을 꾹 다물고 있다는 것이다. 강남에 커다란 건물을 갖고 있는 과학기술 단체 건물에 플래카드 붙었다는 말 못 들었다. 학교 이름이 ST로 끝나는 대학 총장 가운데 그 누가 항의했다는 소리 못 들었다. 심지어 국책연구소의 시니어 과학자들도 ‘입꾹’이다.

현 정치계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를 바라는 것은 기대 난망이다. 당장 일자리를 잃을 주니어 과학자들은 이 문제에 대한 책임도 없고 문제를 해결할 틈도 없다. 시니어 과학자들이 책임질 문제다. 어떻게? 출마하시라! 은퇴한 과학자들이 나서면 안 될까? 정치는 노후생활이 아니다! 지금 하고 있는 연구는 어떻게 하고? 때려치우시라! 과학의 기반이 무너지고 있는데, 후배들은 연구할 기회도 없는데 무슨 한가한 연구 타령인가.

과학자로서 최전성기에 있는 과학자들이 나서야 한다. 연구 인생을 걸고 나서야 한다. 후배들에 대한 부끄러움, 정치권에 대한 분노, 자신에 대한 처절한 반성으로 가슴이 끓는 과학자들이 정치권에 나서야 한다. 국회에 가서 다 때려 부수라는 것 아니다. 우리나라는 법치국가다. 법을 만들라. 과학 혁신 법안을 만들어서 최소 재정의 5%를 연구개발비로 책정하게 하라. 5%라고 해 봐야 2024년 예산과 견주면 33조원이다. 예전보다 더 달라는 것 아니다. 딱 그만큼만 하라는 것이다.

한 나라의 과학 수준은 주니어 과학자들이 결정한다. 이젠 어처구니없게도 노벨상을 꿈꾸는 게 아니라 다시 시스템을 회복해야 할 상황이다. 한번 무너진 연구 시스템이 회복되려면 최소 5년은 걸린다. 새 출발이다. 과학자를 국회에 보내는 것으로 첫걸음을 내딛자. 실패하면? 과학자는 실패가 두렵지 않다. 실패는 과학자의 일상이다.

이정모 전 국립과천과학관장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