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 조작됐다" 의혹, 사라지나?.. 22년 만에 수개표 부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앵커▶선거 개표가 끝난 뒤 투표가 조작됐다는 논란과 시비가 심심치 않게 벌어지곤 했는데요, 이런 논쟁이 이제 사라지지 않을까 주목됩니다.
[한선경 선거담당관 / 전북자치도 선거관리위원회]"수검표 과정이 추가됨으로써 개표 시간은 더 길어지겠지만 개표 결과의 신뢰성은 한층 제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배춧잎 투표지가 나왔다, 사전 투표가 조작됐다, 투표함이 바꿔치기 됐다' 등 과거 선거 때마다 조작 의혹이 심심찮게 불거진 것이 사실, 선관위는 이런 논란을 의식해 24시간 CCTV를 통해 누구나 도의회 청사에서 사전투표함을 열람할 수 있게 하고, 수개표를 통해 투명성을 제고한다는 입장입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선거 개표가 끝난 뒤 투표가 조작됐다는 논란과 시비가 심심치 않게 벌어지곤 했는데요,
이런 논쟁이 이제 사라지지 않을까 주목됩니다.
선거관리위원회가 투표지를 한 장씩 펼쳐 확인하는 수작업을 22년 만에 부활한 건데요, 부작용도 적지 않아 보입니다.
박혜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열린 개표 시연회,
투표함에서 투표용지가 쏟아지자 개표원들이 손수 펼쳐 정리한 투표지가 자동분류기를 통해 기호별로 분류됩니다.
그런데 지금까지와는 다른 작업이 추가됐습니다.
계수기 옆에 앉은 다른 개표원들이 한 장 한 장 투표지의 이름과 번호를 확인한 뒤 계수기에 다시 집어넣습니다.
이번 4월 총선부터 사람이 일일이 재확인하는 수작업이 추가된 겁니다.
[한선경 선거담당관 / 전북자치도 선거관리위원회]
"수검표 과정이 추가됨으로써 개표 시간은 더 길어지겠지만 개표 결과의 신뢰성은 한층 제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배춧잎 투표지가 나왔다, 사전 투표가 조작됐다, 투표함이 바꿔치기 됐다' 등 과거 선거 때마다 조작 의혹이 심심찮게 불거진 것이 사실,
선관위는 이런 논란을 의식해 24시간 CCTV를 통해 누구나 도의회 청사에서 사전투표함을 열람할 수 있게 하고, 수개표를 통해 투명성을 제고한다는 입장입니다.
"검표원이 분류기와 계수기를 통해 걸러진 투표지를 1초당 네 장씩 육안으로 확인했던 방식에서 시간제한 없이 검표한 뒤 계수할 수 있게 됐습니다.
선관위는 기존 방식보다 최대 4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박혜진 기자]
"이처럼 정당별로 1차 분류된 투표지는 최종 계수 직전 수검표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필요 인력만 총 4백여 명에 이릅니다."
도내에서만 인건비가 최대 7천3백여만 원이 추가돼야 하는 상황.
게다가 검표 인력을 모두 공무원으로 충당할 계획이어서 공무원 동원령에 반발도 우려됩니다.
[송상재 위원장 / 전북자치도 공무원노동조합]
"수당 자체가 너무 현실적이지 않습니다. 수개표에 대해서는 아마 이게 24시간 노동이 들어가지 않을까, 노동력을 착취하는 것이다."
이뿐 아니라 당선 확정까지 시간도 더 많이 걸려 후보들과 지지자의 애를 태울 전망,
2002년 지방선거에서 전자개표가 도입된 뒤 22년 만에 부활한 수개표가 투·개표 조작 논란을 완전히 털어낼지 주목됩니다.
MBC뉴스 박혜진입니다.
영상취재: 김종민
그래픽: 문현철
Copyright © 전주M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주 감나무골 '평당 1,649만 원'.."분양가 협의 예정"
- 영하권 추위..내일까지 서해안과 순창에 눈 최대 20cm
- 한동훈 "사퇴 요구 거절.. 제 임기는 총선 이후까지 이어져"
- 전라·충청권 대설 특보.. "전북 서부 20㎝ 이상"
- [글로컬 전북] 지역 소식 (남원·무주·고창·완주)
- 정읍서 차량 7대 추돌로 7명 다쳐.."빙판길 미끄러짐 추정"
- 전북 서해안 대설주의보..동부권 한파특보
- 대각선 횡단보도·동시보행신호 확대.. 사고 12% ↓
- 유성엽 캠프, 윤준병 선거법 위반 고발..윤준병, 흠집내기 반박
- 전주시의회 의정활동비 110만 원→150만 원 인상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