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전공 확대에 전국 인문대학장 비판 입장문…"기초학문 위기"

배아정 기자 2024. 1. 24. 20: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EBS 뉴스]

이르면 올해 입시부터 무전공 입학을 확대하겠다는 정부 방침에 대해, 전국 인문대학장들이 모여 반대입장을 발표했습니다.


특정 전공에 쏠림 현상을 막기 어렵고, 기초학문을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는 건데요.


먼저, 영상부터 보고 오겠습니다.


[VCR]


전공 없이 진학해 다양한 경험하고

2학년에 학과 선택…'무전공' 입학


교육부 "무전공 입학 운영하면 인센티브" 검토

대학가 도입 이어져 


졸속 추진·기초학문 고사 우려에

교수들 반발도 확산


수요자 선택권 vs 균형 있는 학문 발전

무전공 입학 어떻게?




------




서현아 앵커 

전국 국공립대 인문대학장 협의회장을 맡고 있는 서울대 강창우 교수 연결해서 자세한 입장 들어봅니다.


교수님 안녕하세요


강창우 학장/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네, 안녕하세요


서현아 앵커 

무전공 모집 확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모아서 오늘 입장문 발표하셨습니다.


어떤 이유에서 이런 결정을 하셨습니까?


강창우 학장/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예 무전공 모집 제도는 장점도 있지만 또 많은 단점이 있을 것으로 우려되는 제도입니다.


무전공 모집은 고등교육의 뿐만 아니라 중등 교육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그런 제도인데 이 제도를 도입하기 전에 장단점을 충분히 검토하고 장점을 극대화하면서도 단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 이후에 시행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무전공 제도를 도입했을 때 우리나라와 같은 현재 교육 환경에서 과연 그 장점이 최대한 살아날 수 있을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많습니다.


그런 우려의 목소리를 담아서 저희 인문대학장들이 오늘 의견서를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서현아 앵커 

제도의 장단점이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다, 특히 인문학 포함한 기초학문이 위축될 수 있다고 지적을 해 주셨습니다.


이렇게 판단하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강창우 학장/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사실 우리는 무전공 모집 제도를 경험했었습니다.


명칭은 다르지만 2천년대 초반에 도입이 돼서 한 10여 년간 운영된 학부제라는 제도가 있었습니다.


그 학부제가 큰 틀에서는 무전공 모집 제도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학부제가 2008년에 폐지되고 2010년부터 다시 학과제로 회귀했는데요.


그때 문제로 지적되었던 것은 인기 학과와 비인기 학과 간의 양극화 현상 그리고 학생들의 전공 선택의 쏠림 현상 

이런 것으로 인해서 기초학문 그리고 인문학이 상당히 위기에 처해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문제점 때문에 그 당시에 학부제가 폐지되었던 것입니다.


이제 그 당시에 문제가 되었던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치가 없이 다시 그 무전공 모집 제도를 도입한다면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그런 우를 범하게 될 가능성이 많습니다.


서현아 앵커 

무전공 확대를 통해서 학문 간의 장벽을 낮추고 학생들의 선택권도 강화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도입 취지입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강창우 학장/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예, 물론 앞에서도 말씀드렸던 것처럼 무전공 모집 제도가 그런 취지에 잘 맞느냐 하는 것에 대해서 검토를 해봐야 합니다.


그리고 실제로 우리 대학에서는 다양한 형식으로 무전공 모집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어떤 대학은 모집정원의 100%를 무전공으로 선발하기도 하고 또 어떤 대학은 모집정원의 상당 부분을 무전공으로 선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또 많은 대학들은 다양한 형태로 무전공 선발을 지금 시행하고 있습니다.


저희 서울대학도 마찬가지입니다. 자유전공학부에서 매년 123명을 무전공으로 선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무전공 선발 제도는 그 대학의 교육 이념이나 철학, 인재상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이 되는 것이 맞습니다.


어떤 대학에서는 100% 무전공으로 학생을 선발할 수도 있고, 또 어떤 대학은 그 대학의 교육 철학에 따라서 인재상에 따라서 100% 전공으로 모집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려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교육부에서 일률적으로 특정한 퍼센티지를 지정하고 그 이상을 무전공으로 모집하라라고 하는 것은 이런 대학들의 특성과 그리고 대학들의 노력을 경시한 그런 결과라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무전공 모집 문제와 관련해서는 대학들이 스스로 각 대학의 특성과 교육 철학에 맞게 판단해서 시행할 수 있도록 두는 것이 저는 옳다고 생각합니다.


서현아 앵커 

현재까지 알려진 검토안은 무전공 도입에 있어서 정량 비율을 정한 뒤에 이걸 지키는 대학에만 인센티브를 줘서 무전공 입학을 확대하는 방안입니다.


국립대 25%, 수도권 사립대 20% 검토되고 있는데 이 방안 어떻게 보완해야 한다고 보십니까?


강창우 학장/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예 앞에서도 말씀드렸듯이 대학들은 교육 이념이나 인재상, 교육 철학 그리고 교육 환경이 다 제각각입니다.


그래서 각 대학은 그 대학의 실정에 맞도록 여러 가지 학사 제도를 운영을 할 때 교육의 효과가 극대화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각 대학의 특성을 무시하고 일률적으로 어떤 정책을 정해서 시행한다면 거기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이 훨씬 크지 않을까 우려를 하고 있습니다.


그 부분과 관련해서 교육부에서 일정 비율을 정해서 대학에 요구하지 말고 각 대학으로부터 의견을 받아서 각 대학의 어떤 특성에 맞는 무전공 제도든지 아니면 다양한 모집 방법을 정해서 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생각합니다.


서현아 앵커 

교수님 계속 강조하고 계신 부분입니다만 대학의 자율성을 보장하면서 융합교육의 취지를 살리려면 앞으로 어떤 대안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강창우 학장/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예 지금 현재 대학들은 융합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 굉장히 고민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융합 교육이 무엇이고 어떻게 시행했을 때 융합 교육을 통해서 우리가 얻고자 하는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가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는 거죠.


그래서 대학마다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융합이라는 것이 도대체 무엇인가에 대한 그런 고민부터 시작을 했는데요.


예를 들어서 비빔밥을 만들 때 학생들에게 다양한 재료를 섞어서 주는 것을 융합이라고 볼 것인지 아니면은 비빔밥을 만들 수 있는 여러 가지 재료를 학생들에게 주고 본인들의 어떤 취향과 입맛에 맞게 그걸 섞어서 비빔밥을 만들게 하는 것이 융합인지에 대한 고민부터 시작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무전공 모집 제도와 관련해서 보자면 과연 무전공 모집 제도가 이런 융합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입시 제도인가에 대해서는 비판적으로 성찰해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앞에서도 말씀드렸던 것처럼 지금 대학들은 융합교육과 관련해서도 많은 고민을 하고 있고 각 대학의 특성에 맞는 융합교육을 하기 위해서 실제로 다양한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헌법에도 보장된 어떤 대학의 자율성을 존중해 주고 그래서 이와 관련해서도 대학이 자체적으로 고민하고 판단해서 시행하도록 하는 것, 그리고 교육부는 뒤에서 필요한 부분을 지원해주는 그런 것이 가장 효과적인 융합교육의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서현아 앵커 

변화하는 수요에 대응하면서도 대학이 본연의 역할을 잘 지킬 수 있도록 현명한 대안이 마련되길 바랍니다.


교수님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Copyright © E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