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물러날곳 없는 중소제지사...글로벌 10위 印尼회사 '덤핑' 제소

김성진 기자 2024. 1. 24. 17:3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MT리포트] 구멍뚫린 화장지 안전④
[편집자주] 화장지 없이는 하루도 살 수 없다. 그런데 그 화장지에 대장균과 같은 등급의 위험물질이 포함돼 있다면 쓸 수 있을까. 인도네시아와 중국의 저가 화장지 원료가 대량 수입돼 국산으로 판매되고 있다면 어떤가. 그 흔한 화장지가 요소수처럼 품귀현상을 빚을 수도 있다면 믿을 수 있겠는가. 화장지 시장에서 벌어지고 있는 위험물질 논란, 해외산 저가 원지 문제를 정리했다.


국내 중소 화장지 원단 제조사들이 글로벌 10위 인도네시아의 APP(Asia Pulp and Paper)를 덤핑으로 제소한다. APP가 국내 산업을 고사시키기 위해 제품을 본국보다 의도적으로 낮은 가격에 판매한다고 결론내려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화장지 원단 업계는 이날 위생용지위원회를 열고 APP를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에 덤핑으로 제소하기로 했다. 제소 결정은 내렸고, 시점을 논의 중이다. 국내 11개 원단 제조사 중 현재 대왕페이퍼와 삼정펄프, 신창제지, 아이유제지, 프린스페이퍼, 대원제지가 제소에 동참한다. 참여 기업들은 생산가능물량(케파)을 합쳐 전체 산업의 31.6%를 차지하는 오래된 중소기업들이다.

APP는 글로벌 매출 10위의 인도네시아 종합 제지회사다. 한국에서는 30여년에 걸쳐 자랄 나무가 6~7년이면 속성수로 자라는 지리적 이점으로 글로벌 시장에 공격적으로 침투해왔다. 한해 국내에서 소비되는 원단은 약 60만톤으로, APP는 이중 2022년 8만여톤, 지난해 11만여톤을 공급했다.

APP의 강점은 가격 경쟁력이다. 최종 제품인 화장지, 미용지, 키친타올, 핸드타올, 냅킨 등 위생용지는 원단을 단순 제단, 포장해 만들며 원단은 펄프만으로 생산하거나, 종이자원(폐지)을 혼합해 만든다. 보통 펄프를 많이 쓸수록 가격이 비싼데, 100% 펄프 원단은 혼합 원단보다 가격이 보통 10~20% 비싸다. APP는 원단의 대부분을 100% 펄프로 생산하고도 가격이 종이자원을 혼합한 국산품보다 25~50% 저렴하다.

국내 업계는 APP가 현지 업계를 고사시킬 목적으로 의도적인 '덤핑'을 한다고 의심해왔다. APP의 한국법인인 GUTK가 2020년에 영업손실을 63억원, 2021년 101억원, 2022년 92억원 등 매년 적자를 내고 있지만 가격은 올리지 않고, 원단 공급은 꾸준히 늘리기 때문이다. APP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 약 17.5%로 꾸준히 상승했다.

국내 업계는 국제통상 전문 컨설팅사와 수개월 협업해 APP가 원단을 한국에 본국보다 싼 가격에 납품한다는 근거를 수집해왔다. 이미 미국과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은 APP에 반덤핑 관세나 상계관세, 세이프가드(수입 제한)를 부과했었다. 한국 정부는 2004~2010년 APP 백상지에 7.7%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다.

APP 말고도 국내 시장엔 중국 제조사들의 저가 원단이 유입되고 있다. 유입량은 2022년 7700톤에서, 중국 내수시장이 침체하면서 지난해에는 3만2719톤으로 3배 넘게 늘었다. 해외의 저가 원단 유입으로 국내 제조사들의 생산 물량을 26% 가량 줄였다.

중소 업체들은 원단 생산기계를 월평균 10일씩 가동 중단하고 있다. 화장지 원단 산업은 '장치산업'이라 부를 정도로 생산기계의 규모가 커 재가동할 때 수억원이 소요되지만 주문이 대폭 줄어 가동 중지가 불가피하다. 업계 관계자는 "길면 1~2년, 짧게는 6개월이면 문을 닫아야 한다는 얘기가 나온다"고 전했다. 원단 제조사에 종이자원을 납품하는 재활용 선별업체도 피해를 본다.

산업자원통상부는 제소를 접수한 후 2개월 내에 조사 여부를 결정하고, 1년 동안 조사에 착수한다. 업계 관계자는 "저가 원단 덕에 화장지 완제품이 저렴해지는 등 장점도 있지만 국내 산업이 고사하면 앞으로는 불안정한 물량 공급에 취약해질 것"이라며 "글로벌 강자에 대응해 계란으로 바위를 치는 격이지만 산업의 생존을 위해 제소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저가 수입산 원단의 공세에 호주는 킴벌리클락 법인이 원단 제조를 중단했고, 뉴질랜드는 유일했던 제조사가 도산했다. 대만은 중국산 원단 공세에 산업이 고사하고, 코로나19(COVID-19) 기간 공급이 끊기자 화장지 품귀 현상을 겪기도 했다.

김성진 기자 zk007@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