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톡]지방공공기관 개혁, 서비스 질에 초점 맞춰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통·폐합이 윤석렬 정부의 국정과제 일환으로 추진 중이다.
행정안전부가 최근 실시한 지방공공기관 혁신의 구조개혁분야 종합점검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전국 9개 지자체에서 32개 기관이 통폐합을 완료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방공공기관 구조개혁의 목표를 잊지말고 단순히 수치적 계량화에만 과몰입해선 안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통·폐합이 윤석렬 정부의 국정과제 일환으로 추진 중이다.
행정안전부가 최근 실시한 지방공공기관 혁신의 구조개혁분야 종합점검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전국 9개 지자체에서 32개 기관이 통폐합을 완료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런 탓인지 지방공공기관은 지난해 처음 감소했다. 2017년 1088개에서 2022년 1261개로 계속 늘었다가 지난해는 10개가 줄었다.
정부가 구조개혁 실적이 좋은 지자체에 인센터브를 제공하지만 그런 동기가 꼭 아니더라도 정부 지방공공기관 구조개혁 계획 수립기간이 끝나는 2026년까지 이같은 추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문제는 공공기관 구조개혁이 단순히 감축한 기관수가 몇개이며, 얼마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이다. 일부 지자체는 기관 감축수와 이로 인한 연간 절감액의 구체적 수치를 자랑삼아 밝히고 있다. 기관 감축으로 인한 비용절감을 미리 예측해볼 수는 있지만 자칫 기관감축의 목적과 주요 효과가 곧 비용절감이라는 오해를 불러와선 안된다.
중복 기능의 공공기관을 통합해 재조정하는 건 결국 공공서비스 질을 높이는 게 핵심이다. 특히 산업분야 기관 통합은 지역기업에 보다 실효성있는 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비용절감은 부수 효과일 뿐이다.
통합으로 인한 갈등이나 후유증도 고려할 부분이다. 통합된 공공기관 인력을 인위적으로 감축해 오히려 기관 역량을 떨어뜨리고, 통합 기관간 갈등이 생기지 않았는지 세심히 들여다 봐야 한다. 통합 대상에 올랐다가 정부 주무부처 반대로 무산돼 현재는 아예 지자체 예산지원을 못받고 있는 기관도 있다.
지방공공기관 구조개혁의 목표를 잊지말고 단순히 수치적 계량화에만 과몰입해선 안된다. 개혁이 실효성 있게 추진되고 있는지 꼼꼼하고 주기적인 점검도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대구=정재훈 기자 jhoo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갤S24 예판 120만대...올해 3600만대 기대
- 與 “1000원 아침밥 같은 실질적 정책 발굴”…野 “군인 당직비 ↑ 통신비↓”
- 정유4사, 바이오 연료에 6조 투자...SAF·HBD 3.6조로 최대
- 공정위, 구글·메타·애플 없이 플랫폼 법 간담회 진행 논란
- “굳이 하겠다면...” 10대 선수에 콘돔 3000개 제공 [숏폼]
- 비플라이소프트, 생성형 AI 고도화 나선다
- 구글 차세대 '픽셀9 프로' 렌더링 유출… 더 작아진다
- '중대재해법 유예 법안' 여야 합의 불발…25일 오전까지 막판 협상은 지속
- [2024 디지털 정책포럼]전문가들 “AI 생태계 조성 특단 대책 필요”
- [2024 디지털 정책포럼]이성엽 고려대 교수 “AI 생태계 조성하려면 규제혁신이 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