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스노보드 사고 92% ‘넘어져서’…"기초 교육 ·장비 점검 필요"

이연우 기자 2024. 1. 24. 06: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경기일보DB

 

매년 겨울마다 스키·스노보드 관련 안전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한국소비자원이 ‘소비자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24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9~2023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스키·스노보드 안전사고는 총 1천234건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9년 108건에서 2020년 335건(전년 대비 증감율 210.2%)으로 늘었고, 코로나19 영향으로 스키장 등이 폐쇄되면서 2021년 111건(-66.9%)까지 줄었다. 하지만 이듬해(2022년)부터 다시 237건(113.5%), 2023년 443건(86.9%) 등으로 증가한 식이다.

접수 건(1천234건)에 대한 세부 원인을 살펴보면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1천137건)가 전체의 92.1%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어 ▲부딪힘 56건(4.5%) ▲예리함·마감처리 불량 13건(1.1%) 등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안전사고를 분석한 결과, 스키와 스노보드 모두 ‘2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스키 사고는 ‘20대’가 257건(37.4%), ‘10대’가 157건(22.9%), ‘30대’가 88건(12.8%), ‘40대’ 82건(11.9%) 등으로 많았다.

스노보드 사고의 경우도 ‘20대’ 256건(48.7%)으로 최다였다. 그러나 후순은 ‘30대’ 124건(23.6%), ‘10대’ 99건(18.8%) 등으로 스키와는 차이를 보였다.

스키는 하체를, 스노보드는 상체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만큼 부상 부위도 각자 다른 양상이 보였다.

스키를 타던 중 사고가 나면 ‘둔부, 다리 및 발’을 다치는 경우가 32.8%(224건)로 가장 많았고, ‘팔 및 손’의 부상이 21.4%(146건), ‘머리 및 얼굴’ 부상이 20.1%(137건) 등이었다. 그 외 활강 중 다리가 꺾여 정강이뼈가 부러지거나, 넘어지며 땅을 짚다가 손목이 골절된 사례가 확인됐다.

반면 스노보드는 ‘팔 및 손’이 40.5%(213건)로 가장 많았고, ‘머리 및 얼굴’ 25.5%(134건), ‘목 및 어깨’ 17.3%(91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슬로프에서 내려오던 중 앞으로 넘어져 아래팔이 골절되거나, 뒤로 넘어져 뇌진탕을 입은 사례 등이 접수됐다.

이에 소비자원은 스키 부츠와 바인딩 등 필수 장비의 유지·점검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장기간 사용·보관한 스키 부츠는 소재 특성상 열화로 인해 강도가 저하되고, 사용 중 마모로 인해 바인딩과의 결속력이 떨어져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스키·스노보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활강 전 방향 전환·속도 조절·넘어지는 방법 등의 기초 교육을 받아야 하고, 자신의 수준에 맞는 슬로프를 이용해야 한다”며 “자신의 유형과 치수에 적절한 바인딩이 설정되었는지 점검하는 것도 좋다”고 전했다.

이연우 기자 27yw@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