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반도체 투자땐 稅혜택…삼성전자·하이닉스 시장공략 힘보탠다

이희조 기자(love@mk.co.kr), 성승훈 기자(hun1103@mk.co.kr) 2024. 1. 23. 17: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가전략기술에 HBM 포함
인공지능 필수재인 HBM
시장규모 3년뒤 2.5배 전망
글로벌 시장 선점 국내기업
투자확대로 주도권 강화할듯
세제특례 신성장·원천기술
군사위성 등 방산부문 포함
韓기업 해외수주 확대 포석

◆ 세법 시행령 ◆

정부가 고대역폭메모리(HBM)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한 데는 인공지능(AI) 반도체 관련 수요 급증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빠르게 커져가는 HBM 시장에서 한국 기업이 두각을 나타낼 수 있도록 세제 혜택을 통해 돕겠다는 취지다. 반도체 업계는 이번 조치가 기업 경쟁력을 키우고 고용을 늘리는 효과를 가져다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 방위산업 분야를 신성장·원천기술에 포함하기로 했다. 국내 방산기업의 해외 수주 확대를 지원한다는 의도다.

최근 HBM은 반도체 업계 '구원투수'로 떠올랐다. D램·낸드플래시 시장이 침체를 겪는데도 AI 칩 수요는 꾸준히 늘었다. HBM은 D램 여러 개를 수직 연결해 데이터 처리 속도를 높인 제품으로 AI 필수재로 꼽힌다.

시장조사 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HBM 시장 규모는 지난해 20억달러(약 2조7000억원)에서 2027년에는 51억달러(약 6조8000억원)까지 2.5배가량 성장할 전망이다. 이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HBM 투자·생산을 늘리며 시장 선점에 나섰다.

특히 삼성전자는 HBM 생산량을 대폭 늘리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한진만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 미주총괄은 지난 11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올해와 내년에 HBM 생산량을 전년보다 각각 2.5배 늘리겠다"고 밝혔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올해 4분기에는 삼성전자 HBM 생산량이 월 15만~17만장이 될 것이고, SK하이닉스는 월 12만~14만장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K하이닉스는 HBM 시장을 계속 주도하겠다는 포부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은 'CES 2024'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SK하이닉스가 HBM 시장에선 확실히 선두"라며 "인공일반지능(AGI), 데이터센터, 모바일, PC에 이르기까지 메모리 센트릭 AI 시대를 선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는 AI 인프라 전담 조직을 새로 만들고 산하에 HBM 비즈니스 조직도 신설했다.

후발 주자인 마이크론도 지난해 하반기부터 HBM3E 양산을 시작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며 HBM 시장에 참전했다. 시장조사 기관 트렌드포스는 지난해 SK하이닉스가 점유율 53%를 기록해 1위를 수성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삼성전자 점유율은 38%로 예상했고, 마이크론은 9%에 그쳤을 것으로 봤다.

반도체 업계에선 HBM의 국가전략기술 지정이 반도체 기업의 숨통을 틔워주고 고용까지 늘릴 수 있다고 본다.

업계 고위 관계자는 "전통적 수요처인 서버·PC·휴대전화 등이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AI 반도체가 새로운 수요처로 성장하고 있다"며 "HBM 설계·제조 기술에 얼마나 투자하는지가 반도체 기업의 미래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도 "차세대 반도체 산업을 이끌 인재를 더 많이 채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투자·고용 여력이 많아지며 기업 경쟁력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기획재정부가 23일 발표한 '2023년 세법 개정 후속 시행령 개정안'에는 신성장·원천기술에 방위산업 분야를 신설하는 내용도 담겼다. 세계적으로 K방산이 각광받는 가운데 방산기업이 수주를 늘릴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의도가 읽힌다.

신성장·원천기술은 연구개발(R&D) 투자에 대해 중소기업은 30~40%, 중견·대기업은 20~30% 세액공제를 각각 받을 수 있다. 현재 지능정보·로봇·탄소중립 등 13개 분야가 대상이다.

시행령 개정안에 따르면 군사위성 체계와 가스터빈 엔진을 비롯한 추진 체계, 유·무인 복합 체계까지 3개 기술을 신성장·원천기술에 포함한다. 이미 대상에 포함돼 있던 분야에서도 대형 원전 제조와 희토류 원료 제조 공정 같은 일부 세부 기술이 새롭게 들어간다.

기존에 있던 기술의 범위도 넓힌다. 자율주행 사고 원인 규명 기술에 운행 기록을 추가하고, 혁신형 신약 후보물질 발굴 기술에 제조 기술을 포함한다.

정부는 오는 3월 시행규칙 개정안을 통해 통합투자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국가전략기술과 신성장 기술의 사업화 시설도 추가할 방침이다.

[이희조 기자 / 성승훈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