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곧 근시 사회’ 청년 10명 중 9명 ‘근시’...27일 한국근시학회 창립 기념 심포지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근시(近視)는 가까운 거리는 잘 보이는데, 먼 거리는 잘 보이지 않는 질환이다.
한국근시학회가 이달 27일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 CJ홀에서 '근시의 시대, 우리는 어디에 있는가?'를 주제로 '제1회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의 프로그램·행사장 안내 등 금번 심포지엄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한국근시학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근시(近視)는 가까운 거리는 잘 보이는데, 먼 거리는 잘 보이지 않는 질환이다. 물체의 상이 망막의 앞쪽에 맺혀서 생기는 현상인데, 과도한 독서, 게임 등을 통해 너무 가까운 물체를 지속적으로 보거나, 야외 활동이 부족할 때 발생하기 쉽다.
근시가 되면 안경을 써야 하는 불편함 뿐 아니라, 황반변성, 망막박리, 녹내장, 백내장 등 합병증을 유발하고 실명과 시각장애가 오기도 한다.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2050년까지 근시 인구가 전 세계 인구 절반으로 늘어날 것이란 예측도 있다. 한국의 경우 청년 10명 중 8~9명이 근시에 해당하고 이 가운데 1~2명은 고도 근시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근시학회가 이달 27일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 CJ홀에서 ‘근시의 시대, 우리는 어디에 있는가?’를 주제로 ‘제1회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근시학회는 지난해 8월 근시에 따른 시력 장애와 실명 예방을 목표로 창립됐다. 이번 심포지엄은 근시의 역학 및 위험인자, 근시조절, 근시 관련 실명 질환, 인공지능 연구 등 4개 세션으로 구성했다. 일본 근시학회 회장인 도쿄대 의대 쿄코 오노 마츠이 교수가 ‘병적 근시’를 주제로, 홍콩이공대 허밍광 교수가 ‘반복적 저수준 적색광 치료’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맡았다.
박기호 근시학회장(서울대병원 안과 교수)은 “근시 진행의 위험인자를 파악 근시로 인한 실명과 시력장애를 예방하는 것은 안과의사 모두의 숙제”라며 “정부가 근시 연구를 국가적 사업으로 지원하는 일본과 대만, 싱가포르 사례처럼, 학회가 구심점이 되어 해외 학술교류와 공동 연구를 추진해 근시 개선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심포지엄의 프로그램·행사장 안내 등 금번 심포지엄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한국근시학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투자노트] 트럼프 시대 뒤 삼성전자
- [단독]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 ‘모친 유산 나눠달라’ 동생들 상대 소송 4년 만에 종결
- ‘위암 원인’ 헬리코박터균 감염 치료할 후보물질 찾았다
- 비트코인 급등에 엘살바도르, 90% 수익 '대박’
- 신세계 스퀘어, 열흘 만에 방문객 20만 명 돌파… 인근 상권도 활성화
- [비즈톡톡] “환율 오르면 식품업계 운다”... 옛날 공식된 까닭은
- 10兆 전기차 공장 지었는데… 현대차, 美 시장에 드리워진 ‘먹구름’
- 상장 당시보다 영업익 45% 늘었지만… 크래프톤 직원들에 아직 아픈 상처인 우리사주
- 현대차 아산공장도 日 500대 생산 차질… 트랜시스 파업 여파
- [스타트UP] “플라스틱만큼 싸다” 해조류 기반 생분해 식품포장지 ‘아라메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