男 발 넓을수록, 女 '진짜 친구' 많을수록 PTSD 위험 낮다

김규빈 기자 2024. 1. 23. 16: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남성은 인간관계에 있어서 발이 넓을수록, 여성은 깊은 인간관계를 맺을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을 확률이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3일 통합정신의학회지에 따르면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양지수 교수팀은 코로나19 초기인 지난 2020년 3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총 4번에 걸쳐 지역사회 기반 코호트 연구에 등록된 성인 2652명(남성 951명, 여성 17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세대 양지수 교수팀, 코로나19 초기 2652명 설문조사 진행
"사회적 편견 받는 이들 위해 국가에서 사회 네트워크 형성해야"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서울=뉴스1) 김규빈 기자 = 남성은 인간관계에 있어서 발이 넓을수록, 여성은 깊은 인간관계를 맺을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을 확률이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3일 통합정신의학회지에 따르면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양지수 교수팀은 코로나19 초기인 지난 2020년 3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총 4번에 걸쳐 지역사회 기반 코호트 연구에 등록된 성인 2652명(남성 951명, 여성 17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중요한 문제의 횟수를 의논한 구성원의 수를 뜻하는 '소셜 네트워크 크기', 응답자와 사회 네트워크 각 구성원 간의 '평균 친밀도', 타인과의 정서적 친밀감, 타인과의 접촉 횟수 등을 측정했다.

연구진은 PCL-5 점수를 통해 PTSD 정도를 분석했다. PCL-5란 PTSD Checklist for DSM-5의 약자로 PTSD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20문항 자기보고 설문지를 의미한다. 인지의 부정적 변화, 기분, (상황을) 회피하는 태도 등을 묻고, 한 문항당 0점~4점으로 측정했다. 연구진은 PCL-5 점수가 33점 이상인 경우를 'PTSD가 의심되는 상태'로 정의했다.

설문조사 결과 나이가 어릴수록,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배우자 없이 혼자 거주할수록(미혼·이혼·별거) 코로나19 후 PTSD 발병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여성과 남성 모두 소셜 네트워크에서 평균 친밀도가 높을수록 PCL-5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에대해 연구진은 여성의 경우에는 자신의 속내를 깊게 털어놓을 수 있는 소수의 상대를 통해 소속감과 자존감을 얻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다만 남성은 네트워크의 크기가 클수록 PCL-5 점수가 낮았다. 연구진은 남성은 문제를 깊게 의논하기 보다 문제를 가볍게 의논할 수 있는 친구들을 통해 사회·감정적 지원을 받는 경향이 뚜렷했고, 이를 통해 스트레스를 덜 받게 되었다고 분석했다.

추가연구에서 연구진은 코로나19 팬데믹 유행이 길어질수록 PCL-5 점수가 점점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또 코로나19 상황이 길어짐에 따라 사회 네트워크가 PTSD 발병을 낮추는 데 더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국내 연구진이 PTSD와 사회 네트워크와의 연관성에 주목한 이유는 최근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사회관계가 스트레스를 줄이고, PTSD 증상을 더 잘 조절할 수 있다는 임상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재난 상황에서 PTSD 발생 위험을 예방하는 데 사회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성별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사회적 편견을 받는 사람들을 위해 사회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도록 다양한 사회 활동을 조직하고 권장하기 위한 국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통합정신의학회지(Comprehensive Psychiatry) 지난해 11월호에 게재됐다.

rn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