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POINT] 벤투호 유산 어디로?...조직화된 공격 결여, 커지는 에이스 의존도

김대식 기자 2024. 1. 23. 12: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터풋볼] 김대식 기자 = 파울루 벤투 감독과 함께 쌓아왔던 4년의 시간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오는 25일 오후 8시 30분(한국시간) 카타르 알 와크라에 위치한 알 자누브 스타디움에서 말레이시아와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E조 3차전을 치른다. 한국은 조 2위, 말레이시아는 4위에 자리하고 있다.

지난 요르단전에서 팀 클린스만에 제일 부족했던 점 중에 하나는 조직화된 패턴플레이였다. 조현우가 결정적인 실책을 1번 저질렀지만 후방에서부터 빌드업하는 과정에는 큰 무리가 없었다. 김승규의 부재는 다행히 크게 느껴지지 않았다.

후방 빌드업이 중앙이나 측면으로 전달된 후가 문제였다. 요르단은 중앙 수비 조직에 집중한 형태로 수비를 펼쳤다. 중앙으로 공이 들어오면 신체 경합을 먼저 시도하면서 경고를 받지 않는 선에서 파울로 한국의 공격 작업을 괴롭혔다.

영리한 황인범이 계속해서 위치를 바꿔가면서 공격과 수비를 연결해주려고 노력했지만 황인범 혼자서는 역부족이었다. 중앙으로 볼이 투입되지 않게 되면서 조규성이나 손흥민의 침투를 살려줄 수 있는 패턴 플레이가 전혀 나오지 않았다. 중앙이 막히면 이강인이나 이재성이 있는 측면 공격이라도 원활하게 풀어가야 했지만 그마저도 아니었다.

이유는 측면에서도, 중앙에서도 조직화된 움직임이 자주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강인을 비롯한 2선 선수들의 플레이는 간결하지 않았다. 패스가 나가야 할 타이밍에 드리블을 시도했고, 중앙이나 측면에서 공격 작업을 시도할 때는 팀으로서가 아닌 개인 능력에만 의존했다.

그래서 자유를 강조하는 클린스만 감독의 전술에서는 선수 개개인의 경기 컨디션이 매우 중요하다. 요르단전에서는 손흥민, 이강인 같은 에이스가 컨디션 난조에 빠지자 공격에서 해답을 찾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핵심 선수들의 경기력이 좋지 않으면 팀의 조직력으로서 승부를 봐야 하는데 냉정하게 말해 요르단의 조직력이 한국보다 좋아보였다. 수비에서 공격으로 전환하는 움직임이나 중앙을 틀어막겠다는 수비 조직은 상당히 우수했다.

사실 한국은 벤투 감독 시절에는 중앙과 측면에 조직화된 움직임이 매우 좋았다. 이를 토대로 한국이 선진 축구를 토대로 준비해도 월드컵 같은 국제무대에서도 충분히 경기를 주도할 수 있다는 걸 입증해냈다.

벤투 감독이 만들어놓은 토대를 기반으로 아시안컵을 준비했다면 더 좋은 축구가 완성됐을 수도 있다. 벤투 감독이 월드컵을 마치고 떠난 후 마이클 뮐러 대한축구협회 국가대표전력강화위원장은 분명히 벤투 감독의 축구를 이어갈 수 있는 인물을 데려오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러나 협회의 결정은 벤투 감독과 전혀 다른 축구를 구사하는 클린스만 감독이었다.

감독마다 전술적인 성향은 다르기에 벤투 감독과는 달라도, 공격과 빌드업 과정에 있어서 조직화된 움직임을 중시하는 감독을 데려왔더라면 선수들도 큰 무리없이 새로운 축구에 적응할 수 있었을 것이다.

클린스만 감독 부임 후 초반 대표팀이 좋지 않은 결과를 낸 이유도 새로운 축구에 적응하는 시간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지난해 9월 이후 팀 클린스만이 좋은 항해를 하면서 나아갔지만 여전히 특정 선수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아시안컵에서도 과도한 에이스 의존도에 대한 문제가 이어지고 있는 중이다.

벤투 감독의 유산을 잘 이어받았다면 거치지 않아도 될 시행착오를 사서 고생하고 있는 한국이다. 선수들도 감독 선임 과정에서 이례적으로 목소리를 높였을 정도였는데 협회의 선택은 클린스만 감독이었다.

아직 대회를 탈락한 것도 아니고, 클린스만 감독이 64년 만에 한국을 우승으로 이끌 수도 있다. 하지만 클린스만 감독은 전술적인 방향성을 유산으로 남길 정도의 전술가는 아니다. 결국 그가 떠나면 한국축구는 또 새로운 축구를 준비해야 한다. 일관적이지 않은 방향성으로 나아가는 대표팀은 감독이 바뀔 때마다 시행착오를 겪어야만 한다.

Copyright © 인터풋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