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보, 주담대 금리 올라갈 수 있다는데"...올 들어 보름만에 주담대 2.5조원 증가[머니뭐니]
대환대출 인프라 시행에 ‘금리 경쟁’ 가속화
가계대출 상승세, 목표 속도 웃돌아
“추후 금리 인상 이루어질 것” 전망도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새해 들어 불과 보름여만에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2조5000억원가량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환대출 경쟁이 시작되면서 ‘고객 사수’에 나선 은행들이 금리를 끌어내린 탓에 주담대가 급증했다는 얘기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올해 가계대출 증가폭을 약 10조원 수준으로 관리한다는 방침이어서 조만간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서라도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주담대 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19일 기준 주담대 잔액은 532조3820억원으로 지난해 말(529조8922억원)과 비교해 2조4898억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하반기 기준 월평균 주담대 잔액 증가폭이 약 3조원인 것을 고려하면, 올 들어서도 주담대 잔액 증가 속도가 오히려 빨라진 셈이다.
이는 올해부터 ‘온라인·원스톱 주담대 대환대출 인프라’ 도입이 본격화되면서 은행권의 금리 경쟁이 가속화된 까닭이다. 이날 기준 5대 은행의 주담대 고정금리는 3.39~5.58%로 불과 두 달전(4.13~6.27%)과 비교해 상·하단이 각각 0.69%포인트, 0.74%포인트 줄어들었다.
은행권에서는 금리 인하에 따른 신규 주담대 고객 유입이 주담대의 증가 속도를 빠르게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대환대출은 1금융권 내에서 오가는 경우가 많아 전체적인 가계대출 규모에 영향을 주기 힘든 데다, 아직 실제 실행 건수도 적은 상황”이라며 “금리가 빠른 속도로 내려가면서 고정금리 상품을 노린 신규 고객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주담대 대환대출 인프라가 흥행을 이어감에 따라 은행권은 금리 경쟁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지난 9일부터 18일까지 약 10일간 5대 은행에 들어온 대환대출 인프라 신청 건수는 9271건, 신청액은 1조5957억원에 달했다. 같은 기간 대환을 가장 많이 유치한 은행(약 8700억원)과 가장 적게 유치한 은행(약 600억원)의 격차는 15배에 달했다.
문제는 가계부채 관리다. 최근 금융당국은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 이내로 관리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가계부채를 국내총생산(GDP) 대비 100% 이하로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농협)는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올해 경상성장률 전망치(4.9%)의 절반 수준인 1.5~2% 범위 안에서 관리하겠다는 계획을 당국에 전달했다.
이에 따르면 올해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 증가폭은 10조3861억원(1.5%)에서 13조8481억원(2%)으로 제한된다. 월별로는 0.12~0.16% 수준이다. 그러나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9일 기준 694조2146억원으로 지난해 말(692조4094억원)과 비교해 0.26%(1조8052억원) 늘어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신용대출 등 잔액 감소에도 불구하고, 주담대 잔액이 급증하면서다.
아울러 올해 정부는 각종 정책모기지 상품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당장 오는 29일부터는 최저 1%대 금리를 제공하는 신생아 특례대출이 총 27조원 규모로 출시된다. 이러한 상품이 흥행할 경우, 지난해 특례보금자리론의 수순을 밟아 은행권 가계대출 확대를 이끄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또 연내 기준금리 인하가 가시화되며, 고금리로 축소돼 온 신용대출 잔액 등도 상승 전환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은행권에서는 향후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질 경우, 가산금리 상향 조정을 통해 수요를 관리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담대 대환대출 인프라 출시 초기에 몰린 고객 수요가 줄어들 시, 경쟁을 위해 한시적으로 낮춘 가산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얘기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이 현재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분기나 월별로 가계대출 한도를 정해놓거나, 대출 상품의 가산금리를 조절하는 방안 정도”라며 “일정 규모의 한도 규제는 고객 불만을 야기할 우려가 크기 때문에 좋은 선택지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은행별 상황에 맞춰 금리를 조정해 신규 수요를 조정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w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최동석, 박지윤 경호원에 정강이 차였다" 소문 확산…양측 갈등 심화
- 투개월 도대윤 "정신병원 강제 입원 당했다"
- 블랙핑크 리사, 美 HBO ‘화이트 로투스’로 배우 데뷔
- '아역배우 출신' 노형욱 "고깃집서 알바 중"…근황 공개
- 이영하 "재혼한 선우은숙, 진심으로 행복하길 바래"
- ‘클린스만 경질’ 여론 높아지는데…정몽규 축구협회장 임원회의 ‘불참’ 통보
- '마라톤 세계기록 보유자' 키프텀, 교통사고로 숨져
- "얼굴그어버린다"…이별통보에 여친 감금하고 살인 시도까지
- 코미디언 이은형, 7년 만에 임신…남편 강재준 26㎏ 감량 후 경사
- “성관계 해봤어?” 취준생 분노한 무개념 면접, 어디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