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2분기 부실채권 추가 매각 추진…NPL회사 ‘관심’[머니뭐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저축은행업계가 이르면 2분기 부실 채권 추가 매각에 나선다.
다만 저축은행업계 고정이하여신(NPL·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 채권) 규모가 7조원에 달하는 만큼 올해 매각 물량이 더 늘어날지 주목된다.
업계 관계자는 "이르면 2분기에 부실 채권 매각을 추진할 수 있을 것 같다"며 "지난해 매각 이후 유동화전문회사(NPL회사)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 12월 저축은행중앙회는 12개 저축은행의 1000억원 규모 부실 채권을 NPL투자회사인 우리금융F&I에 매각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7조 달하는 저축은행 부실채권…매각 규모 확대 필요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저축은행업계가 이르면 2분기 부실 채권 추가 매각에 나선다. 지난해 12월 처음으로 12개 저축은행이 공동 매각에 나선 이후 두 번째다.
다만 저축은행업계 고정이하여신(NPL·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 채권) 규모가 7조원에 달하는 만큼 올해 매각 물량이 더 늘어날지 주목된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는 두 번째 개인 무담보 부실 채권(NPL) 매각을 준비 중에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르면 2분기에 부실 채권 매각을 추진할 수 있을 것 같다”며 “지난해 매각 이후 유동화전문회사(NPL회사)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 12월 저축은행중앙회는 12개 저축은행의 1000억원 규모 부실 채권을 NPL투자회사인 우리금융F&I에 매각했다. 매각가율은 기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매입률표 기준 매각가격보다 약 130% 인상된 수준이다.
그동안 저축은행들은 캠코에만 NPL을 매각할 수 있었지만, 지난해 5월 말 금융위원회가 규제를 완화하면서 NPL회사와도 매각 협상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 이에 저축은행들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가격에 부실 채권을 팔았다.
하지만 업계에선 지난해 부실채권 매각 규모가 1000억원에 그쳐 액수를 더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79개 저축은행의 NPL은 6조9216억원에 달한다. 저축은행 NPL은 2022년 12월 말 4조6912억원 수준이었지만 이듬해 3월 5조7906억원, 6월 6조1330억원으로 급격히 늘어났다.
이에 따라 NPL비율 또한 2022년 12월 말 3.65%에서 지난해 9월 말 5.88% 수준으로 2.23%포인트 뛰었다. 저축은행들은 부실 우려가 커질수록 이에 따른 충당금전입액을 쌓아야 하는데, 이는 곧 순익 감소로 이어진다. 지난해 고금리에 따른 대출 감소와 예금 취급분에 적용되는 이자비용 증가, 충당금전입액 급증 영향으로 저축은행업계는 9월 말 누적 기준 1413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2022년 12월 말 1조5957억원 흑자에서 실적이 1조7370억원 고꾸라진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저축은행들은 부실채권을 최대한 제값에 팔아 연체율을 낮추고, 부실 규모만큼 쌓아뒀던 충당금을 자산으로 다시 되돌려 놓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거래 상대방인 NPL업계는 우선 저축은행의 개인 무담보 채권 매입에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첫번째 선수인 우리금융F&I가 어느 정도 수익을 낼지 상황을 지켜보는 분위기다. 업계 후발주자로 분류되는 우리금융F&I가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이번 매입에 나섰다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NPL회사들은 통상 기업대출 채권·담보 채권을 주로 사들이기 때문에 개인 무담보 채권에 대한 평가·인수 기준 등 업력이 부족하다. 그럼에도 우리금융F&I는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위해 업계에서 유일하게 저축은행 NPL 매입에 나섰고, 충분히 수익을 낼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금융F&I의 NPL 매입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2분기 5.8%에서 3분기 10%로 상승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올해는 더 많은 NPL회사들이 저축은행 개인 무담보 채권 매입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 같다”면서 “회사 간 NPL 유치 경쟁이 벌어질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NPL회사의 투자 여력은 변수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미 NPL회사들이 상대적으로 우량한 은행권 부실 채권을 대거 사들인 만큼 올해는 매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지난해 은행이 팔아 치운 부실 채권 규모는 미상환원금잔액(OPB) 기준 5조2000억원에 달한다. 2021년 3조원, 2022년 2조4000억원에 비해 급격히 증가한 수준이다.
moon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최동석, 박지윤 경호원에 정강이 차였다" 소문 확산…양측 갈등 심화
- 투개월 도대윤 "정신병원 강제 입원 당했다"
- 블랙핑크 리사, 美 HBO ‘화이트 로투스’로 배우 데뷔
- '아역배우 출신' 노형욱 "고깃집서 알바 중"…근황 공개
- 이영하 "재혼한 선우은숙, 진심으로 행복하길 바래"
- ‘클린스만 경질’ 여론 높아지는데…정몽규 축구협회장 임원회의 ‘불참’ 통보
- '마라톤 세계기록 보유자' 키프텀, 교통사고로 숨져
- "얼굴그어버린다"…이별통보에 여친 감금하고 살인 시도까지
- 코미디언 이은형, 7년 만에 임신…남편 강재준 26㎏ 감량 후 경사
- “성관계 해봤어?” 취준생 분노한 무개념 면접, 어디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