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광장] 진정한 ESG 경영은 성찰에서 나온다
최근 기업 경영에 있어서 ESG를 빼놓고는 할 말이 없다고 할 정도로 기업에 부는 ESG의 열풍이 매우 뜨겁다. ESG는 Environmental(환경), Social(사회), Governance(지배구조)의 첫 글자를 조합한 단어로 기업의 친환경 경영, 사회적 책임, 투명한 지배구조 등을 의미한다. 이런 열기만큼이나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에 이르기까지 ESG 개념을 자사의 경영에 도입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이들뿐만 아니라, 금융기관과 공공기관에서도 이러한 변화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적극적으로 ESG 트랜드에 편승하려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ESG가 비즈니스 환경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경영방식과 사고를 변화시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ESG 열풍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소 엇갈린다.
먼저, ESG로 인한 변화를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이는 기업은 ESG가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으로 미래 기업 경영의 성패를 좌우하는 기준이 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반면, ESG에 대해 회의적인 기업은 현재 국내외 대다수 기업이 ESG를 실행할 준비가 안 된 상황이기 때문에, 여느 혁신 유행처럼 반짝 등장했다가 사라질 개념으로 판단한다.
실제로, 아직 ESG가 준비되지 않거나 국제적인 기준에 못 미치는 많은 기업이 무늬만 ESG를 이행하는 것처럼 보여주는 형식적 활동을 시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몇 년 동안 사회적 가치를 중점적으로 추진해 온 기업이 내용은 그대로인데 이름만 변경해 ESG 성과로 포장하거나, 친환경 에너지 사업에 투자하는 기업이 자신의 비즈니스를 ESG 성과라고 강조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에, 최근에는 ESG워싱(washing, 세탁)이라는 새로운 표현까지 등장하고 있다. ESG 워싱은 ESG를 열심히 하는 기업처럼 이해관계자를 속이고, ESG에 충족하는 사업 활동으로 위장하거나 반 ESG 활동을 숨기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가 나타나는 원인을 살펴보면, ESG를 인식하고 있는 경영자들이 환경과 사회 그리고 지배구조를 각각 별개로 구분하며, 상호연관성이 불분명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즉, 기업들이 너무 성급하게 유행만을 쫓다 보니 '환경, 사회, 지배구조가 서로 연계되는 개념이고 어떻게 종합적인 성과로 나타날 수 있을까'에 대한 진지한 고민 없이 ESG 시대의 조류에 편승하기 위해 어떻게 하면 이해관계자들에게 ESG 성과를 내는 것처럼 보일지에 ESG 경영의 초점이 맞춰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아직도 많은 기업이 현실적으로 환경, 사회, 지배구조 중 잘 포장할 수 있는 자사의 활동을 하나 정하고 이를 부각해 ESG 성과라고 홍보하는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ESG를 어떻게 준비하고 개선해 나가야 할까? 우선, 기업들은 ESG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ESG가 워낙 열풍이다 보니 한국의 대부분 기업은 이를 이행하면서 면밀히 고찰하고 학습하는 절대적 시간이 적었다. 즉, 힘겹게 코로나 사태를 벗어나는 과정에서 ESG라는 용어를 접하게 되었고, 선진 기업들과 어깨를 맞대고 경쟁하기 위해 1~2년 남짓한 시간에 ESG 경영 전략 수립부터 평가까지 모두 준비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더욱이, ESG의 개념이 형성되고 촉발된 지역이 서구의 선진국이다 보니, 한국 기업들에는 익숙하지 않고 생소한 영역일 수밖에 없었다. 반면, ESG를 십여 년 전부터 주도면밀하게 준비해 온 미국 등 선진국의 기업들은 어떻게 환경을 보호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선진적인 이사회와 각종 위원회를 통해 기업의 건전한 성장을 도모할까를 고심해서 ESG 경영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한국기업은 그동안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 전략을 추구하며, 급속한 경제적 성공을 달성해 왔기에, ESG도 그렇게 하면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안타깝게도, 이런 생각은 ESG에서는 정답이 아니다. 왜냐하면, ESG는 쉽게 모방하거나 따라잡을 수 있는 기능이나 기술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ESG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개념부터 이해하고 자사의 비즈니스를 성찰하며 변화를 내재화해야 한다. 이제라도 늦지 않았다. 지금처럼 무작정 급히 쫓아갈 것이 아니라, 잠시 숨을 돌리고 자사가 어떻게 ESG를 수행할 것인지 차근히 고찰하면서 현재 경영방식을 되돌아볼 여유를 가져야만, 기업이 ESG를 추진하려는 이유에 부합하고 이해관계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진정한 ESG 경영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민재 목원대 글로벌비즈니스학과 교수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예금 보호 한도 '5000만→1억' 상향… 여야 6개 민생법안 처리 합의 - 대전일보
- '세계 최대 규모'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3.6㎞ 전 구간 개방 - 대전일보
- 안철수 "尹 임기 넘기면 더 심한 특검… DJ·YS 아들도 다 감옥" - 대전일보
- 법원, 이재명 '공직선거법' 1심 선고 생중계 안한다 - 대전일보
- 가상화폐 비트코인, 사상 첫 9만 달러 돌파 - 대전일보
- 尹, 수능 하루 앞두고 수험생 격려…"실력 유감없이 발휘하길" - 대전일보
- "방축천서 악취 난다"…세종시, 부유물질 제거 등 총력 - 대전일보
- "요즘 음식점·카페, 이용하기 난감하네" 일상 곳곳 고령자 배려 부족 - 대전일보
- '이응패스' 편리해진다…내달 1일부터 휴대전화로 이용 가능 - 대전일보
- 한동훈 "대입 시험날 시위하는 민주당… 최악의 민폐" - 대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