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국민 호갱' 만든 단통법, '폐지' 추진…통신비 줄어들까
통신비 부담 완화 효과는 갑론을박
'국회 입법 사항'이라 폐지 시점 미지수
정부가 이른바 '단통법(이동통신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 폐지를 추진한다. 이동통신 추가 지원금 '상한'을 없애 가계통신비 부담을 '완화'시키겠다는 의도다. 단통법 폐지 실효성을 두고는 통신비 절감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주장과 일부 이용자만 혜택을 독식할 수 있는 문제가 재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교차한다. 법 개정이 필요한 사안이라 총선 등 일정을 고려하면 실제 시행 시기도 미지수다.
10년 만에 폐지되는 단통법, 왜?
보조금에 차별을 두지 않고 누구나 쉽게 가격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좋은 취지였다. 특히 단말기 구입 시 제공되는 공시 지원금을 '최대 33만 원'으로 제한하고, 공시 지원금 외에 보조금을 규제했다. 이통사마다 휴대폰 지원금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을 막아 사업자로 하여금 스스로 통신 요금 및 단말기값을 내릴 수 있는 여지를 키울 수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통신사들의 경쟁만 제한하는 역효과를 냈다는 평가가 적지 않다. 당초 기대했던 요금 할인이나 서비스 개선은 체감하기 어려운 반면, 통신사들은 마케팅 비용을 아껴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통신 3사는 지난 2021년 합산 영업이익이 4조원을 넘겼고, 올해까지 3년 연속 4조 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할 전망이다. 이번 민생 토론회를 주재한 방기선 국무조정실장이 "10년 전 도입한 단통법 규제가 정작 국민 이익은 제대로 못 지키면서 기득권만 배불리는 현실을 고쳐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한 것도 이 때문이다.
단통법 폐지로 '내 통신비'는 줄어들까?
단통법 폐지로 인해 통신비 부담이 곧바로 줄어들 지는 갑론을박 중이다. 대리점에서 지원금을 더 받는 조건으로 비싼 요금제를 쓰도록 요구하면 통신비 절감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한 업계 관계자는 "선택 약정 위주로 가입하는 경우가 많아 통신사들의 보조금 경쟁이 생각보다 치열하지 않을 수 있다"면서 "시장 상황이 많이 달라져 기대만큼 효과를 제대로 보기 어려울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단통법 폐지 이후 이용자 차별 방지에 대한 보완 대책도 나오지 않은만큼 이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휴대전화 대리점·판매점을 회원으로 둔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는 단통법 폐지를 환영했다.
폐지 시점도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 단통법 폐지는 국회 입법 사항이어서다. 21대 국회에서 법 개정이 되지 않으면 4월 총선 후 22대 국회로 논의가 넘어가게 된다. 방 실장은 "국회와 긴밀히 협조해 나가도록 하겠다"면서도 "지금 단계에서는 언제 시행할 수 있을지 구체적으로 말하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윤석열 대통령도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단통법 폐지 이전이라도 사업자 간 마케팅 경쟁 활성화를 통해 단말기 가격이 실질적으로 인하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라"고 말했다. 정부는 통신사와 일정 기간(보통 2년) 약정할 경우 통신 요금 25% 정도를 할인해주는 선택약정 할인제도는 전기통신사업법으로 이관해 혜택을 유지할 방침이다. 추후 선택 약정 할인율도 상향될 가능성도 있다.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CBS노컷뉴스 홍영선 기자 hong@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장관 경호요원 딸이 총맞아 숨지는 나라…"안전망이 재앙 수준"
- 뉴욕서 노숙자들 이유없는 공격 증가…"지하철서 떠밀어 살해"
- 서정욱 "윤·한 갈등? 한동훈의 차별화 때문…봉합, 韓에 달려" [한판승부]
- 총선 임박해 연금 '뒷북 공론화'…"성공 요인 거의 없어"
- 무제한 월정액 '기후동행카드' 판매 시작…살까말까?
- '챗GPT' 샘 올트먼, 이번주 삼성 경영진 만날 듯
- 이웃 행패에 CCTV설치…사생활 침해라며 '적반하장'
- 공수처는 왜 실패할 수밖에 없었을까?[권영철의 Why뉴스]
- 국민의힘 김영선 "한동훈, 개인 이탈 책임져야"
- 12월 생산자물가 전월보다 0.1% 상승…농림수산품 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