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현을 떠난 순수한 자아란 없다[김영민의 본다는 것은]
자화상은 바로 자신을 대상화하는 장르다. 자화상은 어떻게 그리나? “어떻게”라니, 그냥 나 자신을 보고 그리면 되지! 그러나 상황은 그리 간단치 않다. 신체 구조상, 인간은 육안으로 자신을 직접 볼 수 없다. 현재의 자신을 보려면 거울을 통해서 볼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것은 거울에 비친 자신일 뿐 육안으로 직접 본 자신은 아니다. 기어이 육안으로 직접 보겠다면, 수술을 통해 눈알을 앞으로 뽑아낸 뒤 그 눈알로 자신을 돌아봐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해서까지 본 자신은, 더 이상 평소의 자신이 아닐 것이다.
남이 만든 이미지에 연연하지 말고 자기 내면의 소리를 들으면 되지 않느냐고? 그러나 아무리 귀를 기울여도 들려 오는 것은, 평소 자기 목소리가 아니라 내면의 소리를 새삼 경청하려 드는 이의 목소리다. 자신을 인식하려 드는 순간, 평소 자아는 사라지고 인식하려 드는 자아가 등장하는 법. 결국 우리는 평소의 자아를 포착하는 데 실패한다. 자기 자신을 안다는 게 이렇게 어렵다. 아무리 뚫어져라 거울을 들여다봐도 평소 자신은 온데간데없다. 거울에 보이는 것은 거울을 의식하고 있는 낯선 사람뿐. 이제 거울 앞에 선 사람은 평소 자기 표정이 아니라 자기가 보고 싶은 표정을 짓기 시작한다. 자화상을 그리는 사람도 마찬가지다. 자화상은 자기 평소 모습이 아니라 자기가 보고 싶은, 혹은 보아야 하는 자기 모습이다. 따라서 엄격한 의미의 자화상은 불가능하다. 일기에도 거짓말을 쓰는 게 인간일진대, 자화상이라고 거짓을 그리지 않겠는가.
모든 자기표현이 다 이렇지 않을까. 표현해야 할 자신이 어딘가에 존재하고, 그것을 옮겨적는 것이 자기표현이 아니다. 자신을 표현하려는 과정에서 창조되는 것, 그것이 바로 자아다. 일기도 그렇지 않은가. 단순히 자기 마음속을 옮겨 적는 것이 일기 쓰기가 아니다. 뭔가를 적어 나가는 과정에서 자기 마음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바로 일기 쓰기다. 그 과정에서 비로소 자아가 탄생한다. 사랑을 찾지 않으면 사랑이 없듯이, 자아를 찾지 않으면 자아는 없다.
자기 자아는 너무 초라해서 딱히 알고 싶지도 않고, 표현하고 싶지도 않다고? 그런 걱정은 할 필요가 없다. 자아는 자신을 표현하려는 시도 그 자체에서 탄생하므로, 과거의 자신에 대해서는 근심할 필요가 없다. 희로애락과 오욕칠정으로 피칠갑이 되고 뒤범벅이 된 자신의 흔적과 파편들을 차분히 주워 모으는 과정에서 비로소 형성되는 게 자아다. 그 형성 과정을 글로 쓰면 일기요, 그림으로 그리면 자화상이다. 그런 과정과 무관한 순수한 자아란 없다.
손바닥 위의 얼굴이 자화상일까, 아니면 얼굴이 그려진 손바닥을 내미는 모습이 자화상일까. 이것은 일기에 적힌 사람이 나 자신일까, 일기를 적는 사람이 나 자신일까, 라는 질문과 같다. 둘 다 나 자신이다. 내 이미지를 만들어 낸 사람이 다름 아닌 “나”이면서, 내가 만들어 낸 이미지가 곧 “나”이기도 하다. 죽음을 앞둔 스타인버그는 마지막 자화상을 통해 이렇게 외치는 것 같다. “표현과 무관한 순수한 자아 같은 건 없어요. 표현하는 것, 표현되는 것, 둘 다 나예요. 진정한 내 모습은 내 얼굴에 있는 게 아니라 나 자신을 표현해 온 내 손에 있어요. 내 손바닥에 뭔가 심각해 보이기도 하고 우스꽝스러워 보이기도 하는 녀석이 보이죠. 그게 바로 나예요.”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껍데기만 남은 민주당의 ‘시스템 공천’[김지현의 정치언락]
- “휴대폰 싸게” 단통법 폐지…대형마트 공휴일 의무휴업도 없애기로
- 이철규, ‘金여사 디올백 사과’ 요구에 “피해자에게 책임 묻는 것”
- 민주당, ‘한동훈 사퇴 요구’ 논란에 “대통령 불법 당무 개입” 공세
- 한동훈 “선민후사, 내 임기는 총선 이후까지” 사퇴요구 일축
- 러 선박, 北 나진항서 화물 싣고 회항…英, 위성사진 공개
- 시야가 흐려지고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현상
- [정용관 칼럼]‘함정 몰카’ 맞지만 그 얘길 듣고 싶은 게 아니다
- ‘위증교사 혐의’ 첫 재판…이재명 “거짓말 요구할 관계 아냐”
- [단독]尹정부, 통일구상 명칭에 ‘공세적’ 표현도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