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인구 의존 성장공식 안먹혀 … AI 혁신으로 고령화 대비
韓, 출산율 세계 최저 악화일로
中, 작년 신생아 출생 역대최저
日, 내년 초초고령화 사회 진입
세계인구 30년내 100억명 돌파
한중일 경제 비중 쪼그라들어
"노동집약 대신 첨단산업 집중"
◆ 한중일 인구위기 ◆
내년 한국은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 2007년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내년 노인 인구가 30%를 넘어서며 '초초고령사회'로 접어들 전망이다. 14억 인구 대국으로 세계 경제를 이끌었던 중국은 지난해 신생아 출생(902만명)이 역대 최저로 떨어졌다.
한·중·일 3국이 그동안 글로벌 경제의 중심으로 발돋움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은 인구다. 한·중·일은 인구 성장세와 비슷한 수준으로 경제 위상을 다졌다.
21일 매일경제가 유엔·세계무역기구(WTO)·세계은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2년 기준 세계에서 한·중·일이 차지하는 비중은 인구가 20.1%, 상품 수출액이 20.2%, 국내총생산(GDP)이 23.5%였다.
매일경제가 최근 20년간 한·중·일 각국이 성장한 요인(단일국가성장회계)을 분석한 결과, 전체 성장률을 100%로 놓고 봤을 때 인적자본·취업자, 자본 투입이 기여한 비중은 한국이 68%포인트, 일본은 92%포인트에 달했다. 중국은 취업자·자본의 성장 기여도가 49.5%포인트로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선진 기술을 흡수해 총요소생산성(50.5%포인트)을 높이는 방식으로 경제를 키웠다.
하지만 인구 감소가 이 같은 성장 모델을 흔드는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유엔에 따르면 지난해 한·중·일 인구는 16억74만명이며,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9.9%로 사상 처음 20% 선이 무너졌다. 10년 뒤인 2034년에는 17.8%로 18% 선마저 깨지고, 2070년대에는 10%, 2090년대에는 8%대까지 낮아질 전망이다.
문제는 인구 감소에 시달리는 한·중·일과 달리 세계 인구는 꾸준히 늘며 경제 격차가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80억4500만명을 기록했던 세계 인구는 인도, 아프리카 등 신흥국의 증가세로 2030년 85억4600만명, 2040년 91억8800만명, 2050년 97억950만명으로 불어난다. 세계 인구는 2058년 사상 처음 100억명을 돌파하며 성장세가 계속될 전망이다.
반면 한국은 내년부터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 통계청은 국내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지난해 3674만명에서 2039년 2955만명으로 줄어든 후 2072년 1685만명으로 반 토막 날 전망이다.
일본의 상황도 다르지 않다. 내년 일본은 노인 인구가 30%를 넘는 초초고령사회에 들어설 전망이다. 최근 일본의 민간 지식인으로 구성된 인구전략회의는 1억2300만명 수준인 일본 인구가 2100년이면 6300만명으로 반 토막 날 것이라는 섬뜩한 전망을 내놨다. 중국 역시 인구 감소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지난해 중국 정부가 집계한 총인구는 14억967만명으로 1년 새 208만명 줄었다. 2022년 이후 2년 연속 인구가 줄면서 세계 인구 1위 국가 지위를 인도에 내줬다.
지난해 연간 출생 인구는 902만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사망자 수는 1110만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은 2016년 두 자녀 정책을 전면 도입했고, 2021년부터는 부부당 세 자녀 출산까지 허용하는 정책 변화를 시도했다.
인구 충격은 당장 정책 처방이 이뤄지더라도 생산가능인구 등 실제 노동력으로 연결되기까지 최소 15년 이상 시간이 걸린다. 공통의 인구 위기를 겪고 있는 한·중·일 3국이 보다 신속하고 과감하게 공동 대응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강호 KAIST 교수는 "한·중·일 3국이 인간의 지적노동까지 대체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 등 공조에 나서 고령사회에 적극적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도 "노동집약적 산업 비중을 줄이고 기술 혁신 위주로 산업이 재구조화돼야 살아남을 수 있다"며 "정부가 노동력이 신산업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인력 육성을 지원하고 산업계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후카가와 유키코 일본 와세다대 교수는 "한국 스타트업이 일본의 고령화 데이터를 활용하면 고령화 리스크를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정환 기자 / 이윤식 기자 / 한재범 기자 / 도쿄 이승훈 특파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15.7억 대박’ 로또 1등 17명 또 무더기 당첨…‘5870만원’ 2등도 76명 - 매일경제
- 이부진이 걸쳤다 하면 대박…11만원 투피스, 75만원 백 ‘완판 행진’ - 매일경제
- 1년새 400% 폭등, 올해 또?…삼성·LG 효과에 질주하는 로봇株 - 매일경제
- 홍준표 “한국 군사력 5위, 北 핵엔 가슴 졸여…핵전력 강화해야” - 매일경제
- “집 밖에서 한판 붙자”…삼성·LG 디스플레이 전쟁 ‘이것’까지 확전태세 - 매일경제
- “유명 야구선수 출신, 골프채로 아내 이마를”…경찰에 체포, 본인은 폭행혐의 부인 - 매일경제
- 2억짜리 술 완판, 이번엔 5억짜리 편의점에 떴다…싱글몰트·버번 ‘각양각색’ 위스키의 세계 [
- ‘한반도 전쟁 가능성’ 놓고 갈라지는 전문가들…“핵전쟁 염두” vs “과장된 것” - 매일경제
- “대체 어떤 꿈 꿨길래”…로또 1등, 한 곳서 수동 2명 나왔다 - 매일경제
- ‘자책골 유도+최다 볼 터치’ 벤버지의 유산, 위기의 클린스만호 구했다 [아시안컵]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