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준영 출소까지 60일..고영욱→최종훈 복귀 루트 밟을까 [Oh!쎈 초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성범죄를 저질러 실형을 살고 나온 연예인들이 나름대로의 자숙을 마치고 복귀를 선언했지만 여론은 싸늘하다.
집단 성폭행 혐의로 실형을 살고 지난 2021년 출소한 FT아일랜드 출신 최종훈이 복귀를 선언했다.
최종훈에 앞서 룰라 출신 가수 고영욱이 실형을 살고 만기 출소한 뒤 복귀를 시도한 적이 있다.
성범죄를 저질렀고, 이 혐의가 인정돼 실형을 살고, 만기 출소한다는 점에서 정준영은 고영욱, 최종훈과 공통 분모를 가지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OSEN=장우영 기자] 성범죄를 저질러 실형을 살고 나온 연예인들이 나름대로의 자숙을 마치고 복귀를 선언했지만 여론은 싸늘하다. 그리고 또 한 명의 성범죄로 실형을 살고 있는 연예인이 있다. 그 또한 같은 길을 걷게 될지 벌써부터 걱정이 모인다.
집단 성폭행 혐의로 실형을 살고 지난 2021년 출소한 FT아일랜드 출신 최종훈이 복귀를 선언했다. 그는 최근 일본 팬 커뮤니티 사이트 ‘패니콘’에 자신의 채널을 만들고 “약 5년 만에 여러분들에게 인사드린다. 저는 여러분 한 명 한 명의 메시지에서 힘을 얻어 이렇게 건강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게 됐다. 정말 감사하다”고 말했다.
이어 최종훈은 “앞으로 제가 하고 싶은 일이나 사생활 등 저의 모든 걸 보여드리고 싶다. 여러분과 밝은 미래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할 테니 응원해 주시길 바란다. 잘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최종훈의 복귀는 성폭행 사건이 알려진 지 약 5년 만이며, 집단 성폭행 혐의로 실형을 산 뒤 만기 출소한 지 2년여 만이다. 최종훈은 정준영 등 이른바 ‘정준영 단톡방’ 멤버들과 함께 지난 2016년 1월 강원도 홍천, 같은해 3월 대구에서 여성을 만취시키고 집단 성폭행을 했다는 혐의로 기소됐고, 혐의가 인정돼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을 받았다.
성범죄를 저지르고 실형을 살고 나온 뒤 복귀를 시도한 건 최종훈이 처음이 아니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최종훈에 앞서 룰라 출신 가수 고영욱이 실형을 살고 만기 출소한 뒤 복귀를 시도한 적이 있다.
고영욱은 2013년 미성년자 성폭행 및 성추행 혐의로 실형을 선고 받았다. 2010년 7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자신의 오피스텔과 승용차 등에서 미성년자 3명을 4차례에 걸쳐 성폭행 및 강제 추행한 혐의로 구속 기소된 그는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과 신상정보 공개·고지 5년, 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 3년형 등을 선고 받았다.
2015년 만기출소한 고영욱은 5년 만인 2020년 11월 SNS를 개설하고 “이렇게 다시 인사를 드리기까지 오랜 시간이 흘렀다. 9년 가까이 단절된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 살아있는 한 계속 이렇게 지낼 수는 없기에 이젠 조심스레 세상과 소통하며 살고자 한다. 아직도 많이 부족한 사람이지만 늘 성찰하고 더 나은 사람이 되도록 노력하며 살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고영욱이 새로 개설한 SNS는 이틀 만에 폐쇄되면서 그의 복귀도 불발됐다.
고영욱이 밟은 길을 최종훈도 밟고 있다는 점에서 묘하게 기시감이 든다. 그리고 약 2개월 후 성범죄를 저지르고 실형을 살고 나오는 연예인이 있다는 점에서 그가 이 길을 걷게 될지도 주목된다. 바로 정준영이다. 최종훈과 같이 법정에 섰던 정준영은 최종 5년형을 선고 받고 오는 3월 20일 만기 출소 예정이다.
고영욱에 이어 최종훈도 밟은 길. 출소가 약 60일 앞으로 다가온 정준영은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성범죄를 저질렀고, 이 혐의가 인정돼 실형을 살고, 만기 출소한다는 점에서 정준영은 고영욱, 최종훈과 공통 분모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출소하는 정준영 또한 출소 직후는 아니더라도 연예계 복귀를 시도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인정된 혐의에 대한 실형을 다 살고 나오긴 했으나 사회적 문제로 입에 오르내렸고, 도덕적으로 회복할 수 없는 범죄를 저질렀던 만큼 대중이 그들을 받아들이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elnino8919@osen.co.kr
Copyright © OS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