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베개의 시[나민애의 시가 깃든 삶]〈433〉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밤엔 나무도 잠이 든다.
잠든 나무의 고른 숨결소리자거라 자거라 하고 자장가를 부른다.
이 시에서 잠든 나무의 숨소리를 듣고 있다는 말은 화자가 아직 잠들지 못했다는 의미이다.
그런데 나무의 자장가가 마음의 실개천이 되더니 돌베개의 뉘우침이 되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잠든 나무의 고른 숨결소리
자거라 자거라 하고 자장가를 부른다.
가슴에 흐르는 한 줄기 실개천
그 낭랑한 물소리 따라 띄워보낸 종이배
누구의 손길인가, 내 이마를 짚어주는.
누구의 말씀인가
자거라 자거라 나를 잠재우는.
뉘우침이여.
돌베개를 베고 누운 뉘우침이여.
―이형기(1933∼2005)
사람에게는 겉에 보이는 얼굴이 있고, 겉에 보이지 않는 속내도 있다. 사람뿐만 아니라 말에도 ‘보이는 뜻’과 ‘보이지 않는 뜻’이 있다. 사전의 의미는 대개 보이는 뜻인데, 어떤 단어에는 지층처럼 누적된 의미가 있다. 예를 들어 돌베개를 돌로 된 베개의 명칭이라고 이해하는 것은 단어의 얼굴만 보는 식이다. 기독교 성서에 나오는 야곱의 베개를 연상한다든가 깊이 참회하거나 고통을 견디는 자의 내면을 떠올리는 것이 깊이 읽는 방식이다. 시는 이렇게 어떤 이야기와 상징이 담겨 있는 단어를 좋아한다. 짧은 형식이어서 시어를 선별해야 하는데 사연과 이미지가 풍성한 단어는 적은 단어로도 많은 의미를 전달하기 때문이다.
이 시에서 잠든 나무의 숨소리를 듣고 있다는 말은 화자가 아직 잠들지 못했다는 의미이다. 잠을 자지 못할 정도로 괴로운 일이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그런데 나무의 자장가가 마음의 실개천이 되더니 돌베개의 뉘우침이 되었다. 맨 처음 나무라는 수직적 이미지가 점점 수평적 이미지로 변모하면서 결국에는 땅에 누운 돌베개로 변화하는 과정이 흥미롭다. 심란하고 괴로워 잠 못 드는 밤은 누구에게나 올 수 있다. 괴로운 밤은 길기도 하다. 그 밤에 나의 돌베개가 나만의 돌베개는 아님을 생각할 수 있으면 좋겠다.
나민애 문학평론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北 핵어뢰 기술 대폭 개선? ‘해일-5-23’ 의미는…‘블러핑 전술’ 분석도
- [단독]‘이재명 측근’ 이건태 특보, 성추행 의사 변호 이력 논란
- “중국 파견 北노동자 수천명, 임금체불에 폭동”…대규모 시위는 처음
- 대통령실 “매뉴얼대로” VS 野 “왕정국가 회귀”…‘강성희 강제퇴장’ 공방
- 이재명 “우리 북한의 김일성-김정일 노력”…與 “부적절한 대북인식”
- 5호선 연장 조정안 ‘김포 7개역-검단 2개역’…인천 반발
- 시야가 흐려지고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현상
- 한동훈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고수하면 플랜B 필요”
- 크렘린궁 “푸틴, 北 방문 날짜 조율 중”
- 日 자민당 최대 파벌 ‘아베파’ 해산 발표…60년 고착된 파벌 정치 막 내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