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의 '공짜 지하철 폐지'...100세 시대, '노인'은 몇 살?

신진 기자 2024. 1. 19. 20: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84년 전두환 정권이 시작한 65세 이상 무임승차 제도.

[대한뉴스/1984년 5월 25일 : 대통령 지시에 따라 경로 우대증을 가진 65세 이상 노인에게는 지하철을 무료로…]

벌써 40년 된 이 제도를 유지할지 손 볼지, 수시로 논란이 됐습니다.

어제(18일)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주도하는 개혁신당이, 이 혜택을 없애겠다는 공약을 내면서 다시 뜨거운 감자가 됐습니다.

아예 없애자는 주장은 낯설지만 '고령사회에 발맞춰 적용 나이를 조정해야 한다'라는 목소리는 꾸준히 있었습니다.

대구시는 올해부터 만 66세 이상만 지하 무임승차를 할 수 있게 했습니다.

1년에 1세씩 기준을 올려 2028년 만 70세 이상으로 기준을 맞추기로 했습니다.

서울시는 교통공사 적자 폭이 커지는 상황과 맞물렸습니다.

[오세훈/서울시장 (2023년 2월 16일) : 무임수송 제도 도입 당시에 서울 만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3.8%였으나 지금은 17.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도시철도 무임수송 제도에 대한 보다 근본적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 많은 분의 지적입니다.]

서울교통공사는 '2022년 기준으로 무임수송으로 인한 손실은 3152억 원'이라고 밝혔습니다.

장애인과 유공자도 무임승차 대상자인데, 실제 혜택받는 시민은 고령층이 대부분입니다.

이 때문에 노인 무임승차와 지하철 적자가 항상 붙어 다니며 원인과 결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논리에 대한 비판도 큽니다.

무임수송 비용은 애초에 회계에 반영되는 손실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른 구조적인 원인을 두고 적자가 무작정 무임승차 탓이라고 하는 건 무리라는 시각도 있고요.

지하철은 서민들의 대표적 공공교통인 만큼 무료 혜택의 정책적 함의가 크다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교통약자를 보호하고, 노인들의 활발한 여가활동을 돕는 등 부수적 효과를 무시할 수 없다는 겁니다.

무엇보다 이런 논의 자체가 자칫 노인 혐오, 세대갈등으로 흐르지 않도록 경계해야 합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