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 MZ이어 4060 공략…홈쇼핑서 中 가성비상품 판매 나선다

문지웅 기자(jiwm80@mk.co.kr), 최재원 기자(himiso4@mk.co.kr) 2024. 1. 19. 17: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개인통관부호 발급 급증
경기위축·고물가 지친 소비자
中쇼핑몰 저가상품에 눈돌려
해외직구 中 46%로 1위 올라
국내 홈쇼핑 진출 노리는 알리
주부·고령층 취향저격 움직임

◆ 전국민 직구시대 ◆

중국 인터넷 쇼핑몰의 저가 공습에 국내의 해외 직구족이 들썩이고 있다. 19일 서울의 한 지하철역 승강장 광고판에 유명 한국 배우를 모델로 한 중국 알리익스프레스 광고가 붙어 있다. 한주형 기자

해외 직구족 2500만명 시대가 왔다. 쇼핑의 트렌드는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옮겨 갔고, 온라인에서는 해외 직구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국민 2명 중 1명은 직구를 경험했을 정도로 해외 직구는 국내 소비의 판을 바꾸고 있다.

해외 직구 용도로만 사용되는 관세청의 개인통관고유부호 누적 발급 건수는 지난해 말 기준 2544만명으로 2019년 이후 5년 새 2배 가까이 늘었다. 무엇보다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 등 중국 인터넷 쇼핑몰이 직구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면서 직구의 대세로 자리 잡았다. 지난해 3분기까지 중국 직구 구입액은 사상 처음 미국을 제쳤다.

지금까지 해외 직구 부동의 1위는 미국이었다. 미국 유명 브랜드에서는 한국인의 직구가 지나치게 몰리자 한국에서 접속을 못하게 하는 일도 벌어질 정도였다.

하지만 불과 1년 새 분위기가 크게 바뀌었다. 2022년까지만 해도 전체 해외 직구에서 미국 비중이 중국 비중을 크게 앞질렀다. 한때 미국 비중은 70%를 웃돌기도 했지만 중국 쇼핑몰이 성장하면서 비중은 갈수록 줄어 2022년에는 미국 37.7%, 중국 27.9%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분기별로 단 한 번도 미국 직구가 중국을 넘어서지 못했다. 그 결과 3분기까지 미국 비중은 29.1%지만 중국 비중은 46.4%까지 급증했다. 추세를 감안할 때 지난해 전체적으로 미국 직구 비중은 30% 아래로 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중국은 50%에 육박할 전망이다.

미국 직구는 줄고 중국 직구가 늘어나는 건 경기 악화와 물가 상승의 영향도 큰 것으로 보인다. 경기는 나쁜데 물가는 높고, 가계부채 부담도 줄지 않아 국내 소비는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올해 윤석열 정부 경제팀의 최대 과제로 내수 회복과 민생 안정이 꼽힐 정도다.

높은 물가로 내수와 투자가 위축된 가운데 중국 인터넷 쇼핑몰의 대대적인 저가 공습이 국내 시장을 파고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직구족 사이에서는 중국 쇼핑몰에서 직구하는 게 국내 쇼핑몰에서 사는 것보다 이익이라는 분위기다. 어차피 국내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제품 중 상당수가 중국산이라는 것도 중국 쇼핑몰 직구 열기에 기름을 붓고 있다.

기세를 올리고 있는 중국 직구 쇼핑몰의 선두주자인 알리익스프레스는 한국 여성 등이 주로 시청하는 TV홈쇼핑 시장 진출도 모색하고 있다. 현재 젊은 남성 위주의 고객층을 여성과 고연령층으로 확대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또 고객 데이터베이스(DB)를 확보해 한국 소비자들의 수요를 알아내고, 맞춤형 상품 제공 등을 통해 시장 공략을 강화하려는 포석으로도 볼 수 있다. 알리익스프레스를 이용하는 국내 고객들은 대부분 10~30대로 연령대가 낮은 편이어서 중장년층 고객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한 것으로 전해졌다.

고객이 알리에 가입할 때 거부감을 줄이기 위해 주소와 휴대폰 번호만 입력하도록 하고 있어 정보가 부족한 상황이다. 반면 한국의 유통 채널들은 고객의 연령과 이메일 등 추가 정보를 갖고 있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알리는 한국 업체들과의 협업 추진 과정에서 고객 DB 확보에 가장 큰 관심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중국 직구몰에 대한 의존도가 치솟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에서는 한국 공정거래위원회가 추진하고 있는 '플랫폼공정경쟁촉진법'이 중국 업체에 유리하고 미국에 불리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윌리엄 라인시 국제경제석좌 겸 선임자문관은 최근 "친기술 정책을 표방하는 한국 정부가 미국 플랫폼을 불공정하게 겨냥하고, 중국 플랫폼에는 면죄부를 주는 (유럽의) 디지털시장법(DMA)과 유사한 법안을 추진 중"이라고 우려했다. 플랫폼법이 제정되면 알리, 테무, 틱톡 등 중국 플랫폼 업체들은 날개를 다는 반면 구글, 유튜브, 아마존 등은 오히려 공정위 규제로 차별을 받게 된다는 지적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플랫폼 사전 규제는 시장지배력을 기준으로 판단할 뿐 국가는 고려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지웅 기자 / 최재원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