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명 환자 시력 회복 돕는 소프트 인공망막 개발··· “망막 손상 최소화”
실명 환자들의 시력을 회복시키는 과정에서 신경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액체금속 소재의 인공망막이 개발됐다.
세브란스병원 안과 변석호 교수와 강남세브란스병원 안과 이준원 교수,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박장웅 교수 연구팀은 망막에 생기는 흉터는 줄이고 신호전달 효율은 높인 인공망막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게재됐다.
망막색소변성증, 황반변성 등 망막질환으로 실명한 환자가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현재로선 인공망막 장치를 망막 혹은 뇌에 직접 연결하는 치료법뿐이다. 그동안은 인공망막 장치를 환자에게 이식할 때 삽입하는 금속 재질의 전극이 망막·뇌 등의 신경조직을 파고들며 손상을 일으킬 수밖에 없었다. 이 과정에서 염증반응과 함께 남은 흉터는 시간이 지나며 신경조직과 전극 사이 전기신호를 끊어지게 만들기도 했다.
연구진은 기존 인공망막의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소프트 인공망막을 개발했다. 이 인공망막에는 생체 적합성이 높고 부드러운 소재의 액체금속으로 제작된 3차원 구조의 전극이 달려 망막 손상을 최소화했다. 곡면 형태인 망막의 표면에 최대한 밀착될 수 있도록 전극의 형태도 바늘 모양으로 만들어 전기전도 효율을 높였다.
연구진은 소프트 인공망막이 성공적으로 시력 회복을 가능하게 하는지, 또 망막을 어느 정도 손상하는지 알기 위해 실명한 실험용 쥐를 이용했다. 시력 회복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용 쥐의 망막에 국소적으로 빛을 비춘 결과, 빛을 받은 부분에서 다른 부분보다 약 4배 큰 망막 신호가 유발됐다. 해당 망막은 실명한 상태여서 인공망막 이식 전까지는 빛에 대한 반응이 전혀 없었다.
기존 고체금속 소재 인공망막과 달리 소프트 인공망막은 망막 손상과 염증반응 등 전극 주변에서 면역반응이 발생하지 않았다. 연구진은 액체금속 전극 중에서도 3차원 구조의 전극이 평면 전극보다 약 2배 높은 신호전달 효율을 보였다고도 밝혔다. 변석호 교수는 “액체금속 3D 전극을 이용한 인공망막 장치는 불규칙한 표면을 가진 망막에도 전극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면서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실명 환자들을 위한 맞춤형 인공망막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태훈 기자 anarq@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강혜경 “명태균, 허경영 지지율 올려 이재명 공격 계획”
- “아들이 이제 비자 받아 잘 살아보려 했는데 하루아침에 죽었다”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수능문제 속 링크 들어가니 “김건희·윤석열 국정농단 규탄” 메시지가?
- 윤 대통령 ‘외교용 골프’ 해명에 김병주 “8월 이후 7번 갔다”···경호처 “언론 보고 알아
- 이준석 “대통령이 특정 시장 공천해달라, 서울 어떤 구청장 경쟁력 없다 말해”
- “집주인인데 문 좀···” 원룸 침입해 성폭행 시도한 20대 구속
- 뉴진스 “민희진 미복귀 시 전속계약 해지”…어도어 “내용증명 수령, 지혜롭게 해결 최선”
- 이재명 “희생제물 된 아내···미안하다, 사랑한다”
- ‘거제 교제폭력 사망’ 가해자 징역 12년…유족 “감옥 갔다 와도 30대, 우리 딸은 세상에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