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이 좋은 곳 이제서야 쓰네”…벌써 17만명 왔다간 용산공원

김유신 기자(trust@mk.co.kr) 2024. 1. 18. 16: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용산 미군기지 부지 일부를 반환받은 뒤 지난해 일부를 개방하고 17만명 가까운 방문객이 이곳을 찾은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5월 용산공원 개방 이후 이곳을 찾은 방문객 수는 16만9000여명으로 집계됐다.

앞서 정부는 용산공원 임시개방 용지를 '용산어린이정원'으로 명명하고 지난해 5월부터 개방했다.

지난해 정부는 미군이 사용하던 건물 10개를 리모델링해 개방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5월 임시개방 후 방문객 몰려
사전예약 불구 8개월새 17만명 발길
토지오염정화 비용 문제는 과제로
서울 용산구 ‘용산 어린이 정원’ 잔디마당 가로수길에서 바라본 대통령실 청사 모습. [매경DB]
정부가 용산 미군기지 부지 일부를 반환받은 뒤 지난해 일부를 개방하고 17만명 가까운 방문객이 이곳을 찾은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5월 용산공원 개방 이후 이곳을 찾은 방문객 수는 16만9000여명으로 집계됐다.

앞서 정부는 용산공원 임시개방 용지를 ‘용산어린이정원’으로 명명하고 지난해 5월부터 개방했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이 대통령 당선 이후 기자회견에서 “용산 대통령실 주변에 수십만평 상당의 국민 공간을 조속히 조성해 소통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약속한 것의 후속조치다.

정부는 미군으로부터 반환받은 58만4000㎡ 용지 중 약 30만㎡를 임시 개방했다. 개방공간은 군 부대 이용으로 인한 토지 오염이 방문객 건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조치가 이뤄졌다. 깨끗한 흙을 15cm이상 두텁게 덮고, 그 위에 잔디를 심었다. 또 일부 오염물질이 발견된 곳은 콘크리트로 포장해 원천 차단하거나 개방 지역에서 제외했다. 그 결과 7차례에 걸친 대기 오염도 측정 환경 모니터링에서 안전성 기준을 만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대통령실 경호 문제로 용산어린이정원을 방문하려면 사전 예약이 필요하다. 이런 절차에도 불구하고 8개월간 17만명 가까이 방문한 건 용산공원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명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용산어린이정원 전경. <국토교통부>
임시 개방한 용산어린이정원은 장군숙소 지역, 정원의 중심이 되는 잔디마당과 잔디언덕, 스포츠필드로 구성된다. 장군숙소 지역은 미군 장군들이 거주했던 단독주택과 나무로 된 전신주 등이 위치해 이국적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잔디마당과 잔디언덕은 미군 야구장 4곳을 새롭게 단장한 것이다. 스포츠필드는 만12세 이하 어린이들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야구장과 축구장으로 조성됐다.

지난해 정부는 미군이 사용하던 건물 10개를 리모델링해 개방했다. 올해는 이용객 의견을 종합해 추가 리모델링해 공원 내 콘텐츠를 강화할 예정이다. 개방 1주년을 맞는 어린이날을 비롯해 매월 다양한 가족 행사를 기획해 가족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대표 휴식공간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운영할 계획이다.

과제도 남아있다. 반환받은 용지는 그동안 군부대가 사용해 오염돼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개방을 위해 실시한 조치는 인체에 영향이 가지 않도록 한 임시적 안전강화 조치다. 근본적으로는 토지정화작업이 필요한데 흙을 파내야만 하니 미군이 완전히 부지를 반납하고 기지를 이전해야만 가능하다. 토지정화 비용도 정부가 해결해야 할 숙제 중 하나다. 이 비용을 누가 부담할지를 두고 미군과 우리나라 정부의 줄다리기가 이어지고 있지만 결론내지 못한 상태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시민 편익이 될 대규모 도심 녹지공간을 비용부담 문제로 수년째 놀리는 것은 낭비”라며 “속히 개방구역을 넓힐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엔 용산공원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에 역사, 문화, 복합시설의 보존 또는 설치 외에 ‘보훈’ 기능도 담도록 하는 용산공원특별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국토부는 이같은 개정 내용과 함께 서울시의 용산국제업무지구 계획안이 나오면 이와 연계한 용산공원 컨셉을 정해 나갈 방침이다.

개방된 용산공원 용지에서 시민들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모습. 매경DB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