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글로벌 車수요 회복세 둔화…전기차 가격경쟁 심화"(종합)

임성호 2024. 1. 18. 14: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수요 회복세가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지난해보다 둔화하면서 전기차 시장의 가격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또 중국 업체들이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폭스바겐, 닛산, 스텔란티스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 전기차 협력을 확대해 해외 시장에 적극 나서고, 아시아와 유럽에서 전기차 생산을 추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동차기자협회 세미나…양진수 현대차그룹 실장 "1.6% 늘어난 8천412만대 예상"
"中, 전기차 가격경쟁력 앞세워 해외시장 적극 나설것…저희도 중국 배워야"
발표하는 양진수 현대자동차그룹 경제산업연구센터 자동차산업연구실장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올해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수요 회복세가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지난해보다 둔화하면서 전기차 시장의 가격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또 중국이 전기차를 앞세워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의 입지 확대에 나설 것으로 예상됐다.

양진수 현대자동차그룹 경제산업연구센터 자동차산업연구실장(상무)은 18일 서울 서초구 현대차·기아 본사에서 열린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신년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양 실장은 "올해 연간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산업수요는 전년 대비 1.6% 증가한 8천412만대 수준으로 전망된다"며 "연간 9.2% 증가한 지난해에 비해 회복세가 다소 약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올해 주요 지역별 자동차 시장 수요는 미국 1천592만대(전년 대비 2.0%↑), 서유럽 1천498만대(2.7%↑), 중국 2천209만대(0.7%↑), 인도 428만대(3.5%↑) 등으로 예상됐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 수요 전망 [현대자동차그룹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국내는 전년 대비 약 2% 감소한 167만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기차 중심의 라인업 확대에 따른 신차 효과에도 대기 수요 소진과 고금리의 강한 영향에 수요가 꺾일 것이라는 관측이다.

글로벌 친환경차 시장 역시 성장세를 이어가겠지만, 증가율은 전년(31.5%) 대비 둔화한 24.6%로 1천646만대 수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양 실장은 "중국이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 시장 성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미국과 서유럽이 배터리 전기차(BEV) 시장에서 영향력을 점차 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발표하는 양 실장 [현대자동차그룹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양 실장은 이런 전망을 토대로 한 자동차 시장의 특징으로 ▲ 완성차 업체의 수익성 둔화 ▲ 전기차 가격 경쟁 심화 ▲ 중국 자동차 업체의 글로벌 영향력 확대 ▲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를 통한 차별화 확대 등 4가지를 꼽았다.

양 실장은 "테슬라가 작년 초 중국과 미국에서 BEV 가격을 인하한 이후 BEV 가격 인하 경쟁이 이어져 왔다"며 "이는 BEV 대중화 과정에서 '합리적인 가격'의 중요성을 각인시키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라고 했다.

또 중국 업체들이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폭스바겐, 닛산, 스텔란티스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 전기차 협력을 확대해 해외 시장에 적극 나서고, 아시아와 유럽에서 전기차 생산을 추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양 실장은 "최근 글로벌 업체들은 '중국의 전기차 경쟁력을 보고 배워야 한다'는 입장으로 바뀌는 경우도 있다"며 "저희도 전기차에 있어서는 중국을 많이 배워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발표하는 양 실장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나아가 올해부터는 주요 업체들이 커넥티드카 서비스와 자율주행 등 SDV 구현을 통한 상품성 차별화 전략을 강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양 실장은 "인공지능(AI) 등 고성능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활용한 스마트폰 등 기기와의 '끊김 없는' 차량 내 사용자 경험, 고도화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업체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로 부각될 것"이라며 "업체들은 양산차 적용 가능성을 높인 자율주행 2∼3단계 수준의 기술 고도화에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sh@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