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서 훔쳐 온 아이들"…노르웨이 '해외 입양' 중단 놓고 시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7일(현지시간)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 AP 통신에 따르면 노르웨이 아동·청소년·가족부는 해외 어린이 입양을 잠정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스웨덴의 경우 1960∼1990년 해외 입양을 놓고 자체 검토에 들어간다고 2021년 발표한 데 이어 지난해 한국에서 어린이를 입양하는 것을 중단했습니다.
노르웨이가 해외 입양 중단 조치를 내리면 이는 유럽에서 나온 가장 전면적인 제한 중 하나가 될 것으로 NYT는 내다봤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르웨이가 한국을 포함해 아시아 국가에서 입양이라는 명목으로 아이들을 불법으로 데려오는 것을 막기로 하면서 거센 후폭풍이 불고 있습니다.
17일(현지시간)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 AP 통신에 따르면 노르웨이 아동·청소년·가족부는 해외 어린이 입양을 잠정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앞서 노르웨이 정책 기관이 16일 이 같은 권고를 내놓으면서 정부가 승인 여부를 포함한 검토에 착수한 것입니다.
이번 권고는 서류 위조, 법 위반, 돈벌이, 납치 등의 의혹을 조사할 때까지 당분간 모든 해외 입양을 중단하는 것을 골자로 했습니다.
이 같은 권고가 나온 것은 일부 해외 입양이 불법과 비리로 이뤄진다는 폭로가 현지 매체인 VG에서 터져 나온 것이 발단이 됐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입양아인 한 노르웨이 여성은 자신이 50년 전 한국 부모로부터 빼앗아온 아기라는 것을 그간 숨겨져 있던 편지를 읽고 나서야 알게 됐습니다.
또 다른 여성은 생부가 있는데도 할머니가 몰래 자신을 보육원으로 보내면서 결국 입양아가 되는 운명에 처했다고 합니다.
노르웨이로 입양되는 어린이 중 대다수는 한국, 필리핀, 태국, 타이완, 콜롬비아 출신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외 입양 중단을 놓고 노르웨이 사회는 발칵 뒤집혔습니다.
노르웨이 아동·청소년·가족부는 17일 VG 보도 이후 구성돼 입양 실태를 들여다보고 있는 조사위원회에 이번 조치에 대한 추가 정보를 요청하고 입양 중단에 따른 잠재적 영향에 우려를 표시했습니다.
조사위원회의 해외 입양 잠정 중단 권고는 아동·청소년·가족부의 승인을 거쳐야 시행될 수 있습니다.
입양 단체들도 중단이 길어지면 합법적 입양 기관들에 재정적 타격을 줄 것이라며 신중한 검토를 촉구했습니다.
아동 해외 입양과 관련해 논란이 불거진 나라는 노르웨이뿐이 아닙니다.
스웨덴의 경우 1960∼1990년 해외 입양을 놓고 자체 검토에 들어간다고 2021년 발표한 데 이어 지난해 한국에서 어린이를 입양하는 것을 중단했습니다.
덴마크에서는 지난해 11월 마다가스카르 어린이 입양 과정에서 불법 돈거래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덴마크의 유일한 해외 입양 단체인 DIA는 정책 기관의 우려에 따라 해외 입양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기로 했다고 이날 밝혔습니다.
덴마크 당국자는 "우리가 한 아이에게 지구 반대편에서 가족을 만나도록 도울 때는 생물학적 부모와 함께 적절하게 입양이 이뤄지도록 반드시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덴마크에서 해외 입양은 1970년대 연간 400∼500건에 달했으나 최근 3년 간 20∼40건으로 줄었다고 DIA는 전했습니다.
노르웨이가 해외 입양 중단 조치를 내리면 이는 유럽에서 나온 가장 전면적인 제한 중 하나가 될 것으로 NYT는 내다봤습니다.
다만 노르웨이는 이번 조치에 앞서 진행해온 입양 절차에 대해서는 개별적으로 검토한다는 입장입니다.
한편, 6.25 전쟁 등으로 인한 고아를 해외에 입양 보내면서 시작된 한국 아동의 국제 입양은 1970년~1980년대 집중적으로 이뤄졌습니다.
이 시기 정부가 승인한 4개 사설 입양기관을 통해 미국, 유럽 등지로 입양 보내진 어린이는 20만 명에 달합니다.
이 가운데, 1960∼1990년대 덴마크·미국·스웨덴 등 11개국에 입양된 375명이 입양 과정에서 자신들이 고아로 서류가 조작된 의혹이 있다며 2022년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에 조사를 요청하기도 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유영규 기자 sbsnewmedia@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13개 언어 AI 동시통역"…삼성 '갤럭시 S24' 발표
- 음주 사고로 하반신 마비→축구선수 은퇴 유연수 "가해자에 사과 못 받아"
- '드라마 촬영 중 말 학대' KBS 제작진 3명 각 벌금 1천만 원
- 6시간 동안 70만 원 흥청망청…편의점에 경찰들 모인 이유
- 명품 시계가 뭐길래…슈워제네거, 뮌헨공항에 3시간 억류
- 서울 양천·구로 일대 온수·난방 중단…주민 답답함 토로
- "떡 돌리지 말고 점심 회식"…젊은 공무원 퇴직 막을까
- 한 달 대중교통 15번 탄다면…교통비 일부 돌려받는 법
- 미 국방부 "북 군사위성 전쟁 능력 주시"…한미일 회동
- [단독] 서울 강남서 지방흡입 수술…20대 중국인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