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의 올바른 이름은?…정명운동 여전한 과제
[KBS 제주] [앵커]
제주4·3은 역사적 성격을 규명짓지 못한 채 여전히 '사건'이라는 중립적인 이름으로 불리는데요,
제주도의회에서 제주4·3을 뭐라고 불러야할 지 도민 인식조사를 했는데, 역시 '사건'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바른 성격 규명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이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김가람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언젠가 이 비에 제주 4·3의 이름을 새기고 일으켜 세우리라.' 4·3 평화기념관 상설전시실을 들어서면 마주하는 백비의 설명 문구입니다.
이처럼 제주 4·3은 이른바 '정명'되지 못한 역사로 여전히 남아있는 상탭니다.
제주4·3의 정명으로 적합한 이름을 묻는 인식 조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제주도의회 4·3 특별위원회가 지난해 10월 말부터 2주 동안 제주도민 성인과 청소년, 4·3 희생자 유족 등 5백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했습니다.
조사 결과 모든 집단에서 '4·3 사건'이라고 불러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유족인 경우 '4·3 사건'이 29%, 항쟁과 양민학살이라는 응답이 각각 26%로 나타나 사실상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청소년은 '4·3 사건'이란 응답이 49.1%로 월등히 높았고 양민학살과 항쟁 순이었습니다.
이에 대해 4·3 특위는 사건이라 표기된 4·3 특별법의 정의와 가치중립적인 4·3 교육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따라서 4·3 교육을 어떻게 추진할 지에 대한 논의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한 권/제주도의회 4·3특별위원회 위원장 : "사건이라는 중립적 단어가 4·3의 이름으로 고착화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4·3 정명 운동의 방향성을 정립하고 서둘러 출발해야."]
전문가들도 4·3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단편적이거나 가족사적인 측면에서 바라보지 않고 역사적 맥락을 고려해야 정명이 가능하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김종민/4·3 중앙위원회 위원 : "한국 현대사라는 큰틀, 세계사 속에서 한국사라는 큰 틀에서 역사적으로 바라봐야만이 제대로 정명을 할 수 있다."]
올해로 76주년을 맞지만 여전히 올바른 이름을 갖지 못한 제주 4·3의 정명 운동이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가람입니다.
촬영기자:고진현/그래픽:조하연
김가람 기자 (garam@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이재명 “칼로 죽이려 하지만”…한동훈 “그 정도면 망상…” [여심야심]
- “만취 익사인 줄 알았는데”…CCTV로 드러난 진실
- AI에게 한동훈·이재명 기사 댓글 요청해보니… [취재후]
- [크랩] 인천 시민 3분의 1은 충청 출신이다?
- 한동훈, 김경율 팔 번쩍…당내 반발 “일언반구 없이” [여심야심]
- 붕괴 위험 ‘출입 통제’ 선녀탕에서 냉수마찰을…법망 사각지대?
- 2만 원 받고 3만 원 더…설날 장보기 전에 기억해야 할 것들
- “옥살이도 억울한데 왜 보상금을 차별하나요?”
- 아이브 장원영, 유튜버 ‘탈덕수용소’에 승소…“1억 배상해라” [오늘 이슈]
- 방화 현장 뛰어든 이웃들…“용기에 감사, 천만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