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시중 현금증가율 19년 만에 최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시중에 도는 현금 증가율이 19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1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화폐발행잔액은 181조947억원으로 2022년 말 174조8623억원보다 3.6% 소폭 늘어났다.
한은 관계자는 "현금을 환수하면 금고에 보관했다가 시중은행 요청을 받고 다시 내보낸다"며 "환수가 많이 되는 상황에서는 화폐발행잔액의 증가율이 높아질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2년말 대비 3.6%소폭 증가
지난해 시중에 도는 현금 증가율이 19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1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화폐발행잔액은 181조947억원으로 2022년 말 174조8623억원보다 3.6% 소폭 늘어났다. 이는 2004년 말 1.6%를 기록한 뒤 가장 낮은 수치다.
화폐발행잔액은 시중에 공급된 화폐 잔액을 말한다. 한은이 발행한 금액에서 환수한 금액을 뺀 수치로, 환수율이 높아지면 잔액 증가율도 낮아진다.
화폐발행잔액은 2016년 말 97조3823억원에서 2017년 말 107조9076억원으로 100조원을 넘어선 뒤, 2018년 말 115조3895억원, 2019년 말 125조6989억원 등으로 늘었다. 이어 코로나19 사태 이후 유동성이 커지면서 2020년 말 147조5569억원, 2021년 말 167조5719억원 등으로 불어났다.
화폐발행잔액의 전년 대비 증가율을 살펴보면 2016년 12.2%, 2017년 10.8%, 2018년 6.9%로 점차 둔화하다가 2019년 8.9%로 증가 전환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20년에는 17.4%로 급증했고, 2021년(13.6%)에도 두 자릿수를 이어갔다. 이후 2022년 4.4%로 내린 증가율은 지난해 3%대까지 떨어졌다.
한은은 최근 대면 상거래 회복세로 인한 화폐 환수율 상승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보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현금을 환수하면 금고에 보관했다가 시중은행 요청을 받고 다시 내보낸다”며 “환수가 많이 되는 상황에서는 화폐발행잔액의 증가율이 높아질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 증가율이 코로나19 사태 때 일시적으로 10%를 웃돈 것은 화폐 발행을 크게 늘린 데 따른 이례적인 상황이었다”고 했다.
올해는 고금리에 따른 현금 보유의 기회비용 증가, 신용카드·모바일 페이 등 비현금 지급수단 사용 증가로 화폐발행잔액 증가율이 3%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문혜현 기자
moon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거동 힘든 환자 머리채 잡고 때렸다…CCTV 속 끔찍한 간병인 실체
- 길 가는데 '퍽퍽'…외국인 여학생 '묻지마 폭행'한 한국인 남성
- "갑자기 이선균, 지디 튀어나왔다" 마약 파문 최초 제보자 심경 밝혀
- 쥐 잡으려다 "쾅"... 20통 뿌린 가정집 이렇게 폭발했다
- 등에 "일자리 구해요" 붙인 10대…‘이 회사’에 취업한 사연 화제
- ‘성난 사람들’ 美 에미상도 석권…‘코리안 디아스포라’가 대세가 된 이유. [2024 에미상]
- ‘청량’했던 K-팝에 매콤한 관능미…씨스타19 “멋진 언니들로 봐달라” [인터뷰]
- 술도 안 마시는데 나이 드니 ‘지방간’ 생겨…‘이것’ 섭취하면 억제!
- 박민영 “다 지겹다” 前남친 강종현 돈 2.5억 수수설에 직접 입 열었다
- 5세 때 이민간 한국계 배우 ‘최고의 한해’.. 스티븐 연, 에미상 남우주연상까지[2024 에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