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아지는 무역 장벽…‘K-농자재’ 연구·개발 지원 강화 ‘절실’

이연경 기자 2024. 1. 17. 05: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농업, 세계를 누비다] (4) ‘케이-농자재’ 위상 높이려면
동물약품 중국·유럽서 대약진
해외 온라인몰서 농기구 인기
신시장 개척 위해 박람회 참여
현지 공략할 품종 개발도 활발
여건상 외국 원료로 제품 제작
수출땐 관세 혜택 받기 어려워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해 9월 서울 드래곤시티 호텔에서 국내 농기자재 수출 활성화를 위해 ‘2023년 농기자재 해외 구매업체 초청 수출 상담회’를 열고 있다. 농식품부

대한민국이 농업강국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농자재 수출 현주소를 짚어보고 가능성을 모색해본다.

◆국산 농자재 수출, 지금까지 성과는=국산 농자재는 2022년 기준 전세계 196개국으로 수출됐다. 수출액규모는 2023년 11월 기준 농약 4억4960만달러, 비료 3억9600만달러, 종자는 4890만달러에 달한다.

수출 비중을 보면 농약은 중국·일본 같은 동아시아와 브라질 등 남미 시장이 압도적이다. 종자는 중국·미국·인도 시장이, 비료는 동남아시아 시장이 주력이다.

특히 농약분야에선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한 원제가 브라질 시장에 최초 등록되며 수출량이 크게 늘었다. 브라질은 대두·옥수수를 대량 생산하는 국가다.

동물약품 수출 성과도 지난해 두드러졌다. 동물약품은 농자재로 분류된다. 중국 시장에서 국산 동물약품이 첫 수출 허가를 받았다. 중국은 전세계에서 돼지를 가장 많이 사육하는 국가다.

유럽엔 동물용 무균 액상 주사제가 처음 수출됐다.

농작업용 소도구가 아마존 같은 국제 온라인 쇼핑 플랫폼을 통해 수출되는 현상도 나타난다. 국내 대장간에서 만든 호미 등 전통 농기구와 ‘쪼그리’로 불리는 한국산 농작업용 편의의자가 해외로 팔려나갔다.

◆농자재 수출 지원 정책은=정부의 농자재 수출 지원 정책 방향은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국내 농산물 수요가 높은 국가에 마켓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과 수출국 선호에 맞는 유망 품목을 개발하는 것이다.

특히 2017년부터 한국농어촌공사가 주축이 돼 농약, 비료, 종자, 시설자재, 친환경자재 등 농자재 기업에 해외시장 정보를 제공하고 수출 준비 비용을 지원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산업 판로 개척 수단으로 올해부터 농자재 기업의 해외 박람회 참여 기회를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농자재 수출 기업이 원활하게 제품을 홍보할 수 있도록 해외 박람회에서 한국관을 운영하고 기업의 참가를 지원한다는 것이다. 신시장 개척을 위해 해외 현지 길거리 박람회를 개최하고 수출 상담회도 늘린다.

해외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위한 품종 개발도 활발하다. 중국산 ‘샤인머스캣’, 대만산 배 등 경쟁국에서 국산 과일과 유사한 맛과 품질을 갖춘 농산물을 생산하는 상황이라서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동남아 시장을 노리기 위해 딸기 품종 ‘비타베리’ ‘하이베리’ ‘알타킹’ 등과 씨 없는 포도 품종 ‘홍주씨들리스’를 개발했다. 일부 딸기 품종은 스마트팜 시설 수출과 함께 중동·동남아 시장에 진출해 현지에서 직접 재배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도농업기술원은 베트남·홍콩·중국 시장 등을 겨냥한 붉은색 포도 ‘레드클라렛’ 등을 육종했다.

◆갈수록 강화되는 각국 규제 장벽…국가 차원 관심·투자가 답=현장에서 직접 수출시장을 개척하는 기업과 업계 관계자는 높아지는 무역 장벽에 위기감을 토로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기업 관계자는 “업계 여건상 어쩔 수 없이 중국·인도산을 원료를 사용하거나, 값비싼 일본·유럽산 화학물질을 구매해 사용하는 사례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국산 원료를 사용해 제조해야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 외국산 원료로 완성된 농자재 제품을 미국 등 FTA 체결국으로 수출하면 혜택을 받을 수 없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 역시 “일부 국가는 FTA 체결이 되지 않아 그나마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 등을 통해 관세 혜택을 받고 있긴 하지만, 제품 판매에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종섭 한국작물보호협회 이사는 “경쟁력 있는 제품을 개발해야 수출할 수 있는데, 농산업 역량 발전을 위해 연구·개발(R&D) 등 간접비용에 대한 지원책이라도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국내 반도체 산업이 국가적 지원을 통해 성공했듯이 농산업 혁신을 위해서도 국가 차원의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이사는 “특히 R&D에 예산을 확대 투입하면 전문 연구 인력이 늘어나고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