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 초등 늘봄학교가 마을 교육·돌봄으로 정착되길
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가 늘봄학교 운영으로 한시름 놓게 되었다는 기사를 며칠 전 모 일간지에서 읽은 적이 있다. 현시대의 맞벌이 부부가 자녀 교육과 돌봄에 따른 고민이 얼마나 깊은지를 잘 나타낸다. 특히 초등 1학년의 교육과 돌봄은 취학 전 보육과 연결돼 있어 중요한 지점이기도 하다.
이런 상황에서 교육부는 모든 초등생에게 맞춤형 교육·돌봄(Educare)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늘 봄처럼 따뜻한 학교’라는 의미의 늘봄학교를 정책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 정책은 작년부터 시범실시되었고, 부산은 하반기에 50개 학교가 참여한 데 이어 올해는 전체 초등학교로 확대했다.
우리나라의 낮은 출산율, 특히 전국에서도 최하위권에 있는 부산에서 양질의 교육·돌봄을 위한 정책을 전격적으로 확대해 조기 실시하는 것은 출산율을 높이는 전략적 측면에서도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볼멘소리가 나오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전담인력이 확충되지 않은 상태에서 늘봄학교가 학교로 들어오면 지금의 방과후학교, 돌봄교실(현재는 돌봄전담사가 배치되어 있음)처럼 이를 운영하기 위한 강사·업체 선정과 계약체결, 강좌 운영, 회계 처리 등이 결국 학교 구성원 중 누군가의 업무가 되어 부담된다는 것이다. 그동안 사회적 요구를 교육정책으로 받아들여 학교식당, 방과후학교, 돌봄교실 등이 학교에 들어와 있다.
이에 따라 학교라는 공간 속에 교원, 행정직원과 교육공무직원, 영양사와 학교식당 종사자, 방과후학교 강사, 돌봄전담사 등으로 함께 살아가는 구성원이 다양하다. 학교장은 이런 구성원을 학교경영의 파트너로 인정하며 이들의 역량을 결집하기 위해 격려하고 조율하는데 여기에 늘봄학교가 초등학교에 들어오면 교장, 교감 선생님의 부담이 오죽할까 싶다.
다행히 부산시교육청에서 한시적이나마 정원 외 기간제교사를 채용해 늘봄학교 업무를 전담하도록 하는가 하면 부산의 자치단체장, 대학 총장과의 협의를 통해 지역과 연계한 늘봄센터도 함께 구축하려 하는 것은 학교 구성원의 어려움을 참작한 바람직한 접근으로 보인다. 그래서 이참에 우선 4가지를 추가해 고려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오는 6월부터는 보건복지부와 자치단체가 맡고 있는 영유아 보육 업무가 순차적으로 교육부와 교육청으로 이관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부모의 양육 부담 완화, 아동의 건강한 성장 지원 및 저출산 위기 극복을 위한 ‘부산 Educare’의 큰 그림을 그릴 필요가 있다.
둘째, Educare는 보호·양육(care)과 교육(education)이 통합되어야 한다는 개념으로서 우선 어린이집과 유치원, 그리고 초등학교를 연계하는 모형을 설계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부산시가 운영하고 있는 ‘마을돌봄’의 시설과 인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마을돌봄을 부산교육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돌봄과 교육이 지역사회에서 함께 이루어지는 ‘부산마을교육공동체’와 결합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에 따라 지자체와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바, 그동안 다행복교육지구(현 희망교육지구) 사업으로 어렵사리 구축된 교육청과 지자체 협력 관계를 향후 더욱 공고히 하도록 지혜를 모아야 한다.
넷째, 현재 많은 행정동에 설치된 ‘마을건강센터’에 마을건강활동가가 배치되어 있듯이 마을교육활동가를 육성·배치하고 돌봄시설에서 활동하는 마을돌보미와 연결함으로써 ‘마을 Educare’ 환경을 구축하도록 지원하는 제도적 장치를 미리 마련할 필요가 있다.
우리 사회는 출산과 보육, 교육에 대한 여성의 역할이 강조되는 측면이 여전하고, 경쟁적인 사회구조에서 직장업무 또는 학업에 집중하는 것이 우선시되는 문화가 있기도 하다. 이러하기에 여성의 관점에서 자신을 희생하며 아이를 낳아 키운다는 것은 대단한 모험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육과 교육을 국가가 책임지는 정책은 저출산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발맞춘 늘봄학교가 그저 ‘늘 돌봄하는 학교’가 아닌 온 마을이 나서서 돌봄과 교육이 잘 융합된 Educare로 정착되기를 기대한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