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환대출’ 빙자 전화금융사기 증가…금감원 소비자 경보 발령

오대성 2024. 1. 16. 19:3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더 싼 대출로 갈아타는 '대환대출 인프라'가 올해부터는 기존 신용대출뿐만 아니라 아파트 주택담보대출까지로 확대됐죠.

이런 상황을 틈타 금융기관을 빙자한 전화금융사기도 늘고 있습니다.

소비자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대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금융감독원이 대환대출이나 정부지원 전세자금대출을 빌미로 한 '전화금융 사기'가 급증하고 있다며 소비자 경보 '주의' 등급을 발령했습니다.

최근 대환대출 인프라 대상이 확대되고, 금융권이 상생 금융 방안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정부나 금융기관 직원 등을 사칭해 돈을 가로채는 경우가 늘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전체 전화금융사기에서 대환대출을 사칭한 피해 건수 비중은 지난해 약 13%로, 2022년의 약 5%보다 2배 넘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감원에 접수된 사례를 보면 저축은행 직원을 사칭해 저금리로 대환대출을 해주겠다고 전화를 건 뒤, 기존 대출금을 먼저 갚아야 한다면서 약 천만 원을 빼돌리기도 했습니다.

또, 캐피탈사 직원이라며 전세자금대출을 해줄 수 있다고 속인 뒤 신용등급 상향을 위한 예치금 명목으로 7천여만 원을 가로챈 사례가 있었습니다.

금감원은 정부 기관과 금융회사는 전화나 문자를 통한 광고나 개인정보 요구 등을 절대로 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대환 대출이나 정책 대출을 언급하며 자금이체 등을 요구한다면 전화는 바로 끊고 문자의 링크는 클릭하지 말고 삭제해야 합니다.

만약, 피해가 발생했다면 금융회사 콜센터나 전화 금융사기 통합신고 대응센터인 112에 전화해 즉시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하고 피해구제를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영상편집:김기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오대성 기자 (ohwhy@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