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AI·수원 화합물·평택 연구 `삼각편대`

이준기 2024. 1. 15. 16: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계획 발표
K-클라우드 프로젝트, 화합물반도체, 신소자 개발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계획>

정부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내 판교, 수원, 평택 일대를 반도체 연구개발(R&D)·교육 거점으로 집중 육성한다. 판교는 'AI반도체 R&D 허브'로, 수원은 '화합물 반도체 기술 거점'으로, 평택은 '차세대 반도체 R&D 연구이자 기술·인재 중심지'로 각각 조성된다. 또한 반도체 교육과정을 통해 석·박사 고급인재를 양성하고, 해외 우수인재 유치 및 교류 활성화를 통해 반도체 인력을 기업과 연구기관 등에 적기에 공급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을 주제로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에서 이런 내용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세부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팹리스 기업이 집적해 있는 판교를 '국산 AI반도체 고도화 및 K-클라우드 기술 생태계 거점'으로 키운다. 판교에서 저전력·고성능 국산 AI 반도체를 개발·실증하는 'K-클라우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국산 AI반도체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GPU(그래픽처리장치) 대비 AI 서비스 전력 소모는 10분의 1 줄이고, AI 학습 성능 효율은 2배 높여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센터에 실제 적용·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된다. K-클라우드 프로젝트는 1조원을 투입하는 예타 사업으로 추진하겠다는 게 과기정통부의 전략이다. 아울러, 국산 AI 반도체를 2030년까지 NPU(신경망 처리장치)→저전력 PIM(지능형 반도체)→극저전력 PIM 등으로 고도화하고, 지능형 교통관제, 지능형 CCTV, AI 디지털 교과서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 우선 적용할 예정이다.

반도체 관련 대학과 화합물 반도체 인프라가 있는 수원은 '화합물 반도체 산학연 협업 거점'으로 변모한다. 이를 위해 산학연 협업을 중심으로 기술진입 단계인 화합물 반도체의 R&D부터 실증, 분석 등 전 주기에 걸친 생태계를 조성하고, 메가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통신, 광, 전력반도체 등 다른 지역의 거점들과 유기적 협력체제를 갖춘다.

아울러, 화합물 반도체에 특화된 우주·국방, 차세대 통신, 전력, 센서 등 4대 전략분야를 중심으로 미래성장동력을 창출하고, 성균관대 근처에 생기는 'R&D 사이언스 파크'를 '경기도의 실리콘밸리'로 육성할 방침이다.

평택은 차세대 소자·첨단 패키징 등 차세대 반도체 R&D 허브이자 기술·인재 육성 거점으로 도약한다. 이를 위해 2029년까지 총 5000억원을 들여 KAIST 평택캠퍼스를 새롭게 설립해 매년 1000명 규모의 반도체 핵심인재를 양성하고, KAIST 차세대 설계 연구센터와 소자 연구센터도 구축한다. 이를 기반으로 서울, 대전, 대구, 울산 등의 연구기관과 연계해 신개념 반도체, 첨단 패키징 등 미래 신기술 연구의 거점으로 육성한다. 과기정통부는 국내 반도체 연구 인프라를 연계한 팹 서비스 제공과 함께 해외 첨단 팹 기반의 공동연구와 인력교류도 추진해 세계 최고의 반도체 연구자들이 모여 함께 연구하고 인재를 양성하는 글로벌 과학기술 허브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는 복안이다.

이와 함께 미래 반도체를 이끌어 갈 우수 인재 양성과 해외 인재 유치에도 나선다. 반도체 계약학과, 반도체 특성화대학 등을 통해 학사급 실무 인재를 올해 기준 3만 명을 양성하고, AI반도체대학원 등 R&D 기반 인력양성 과정을 확대해 석박사 고급인재 3700명을 키운다. 비자기간 확대, 외국인 거주 원스톱 지원 등 제도개선을 통해 해외 연구자의 국내 유입을 촉진하고, 국내 연구자의 해외 연구기관 파견을 늘려 나간다. 올해부터 미국 국립과학재단,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등과 공동펀딩 방식으로 반도체 첨단기술 공동연구를 활성화하고, 해외 연구기관의 R&D 직접 참여 허용, 기업 매칭 연구비 부담 완화 등 국제 공동연구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가 성공적으로 구축될 수 있도록 초격차 기술과 우수한 전문인력 확보를 통해 국가간 반도체 경쟁에서 확실하게 앞서 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