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크리처’ 한소희 “안중근 게시물 올린 진짜 이유는” [EN:인터뷰①]

이민지 2024. 1. 15. 13: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12월 22일 첫 공개된 넷플릭스 시리즈 '경성크리처'는 시대의 어둠이 가장 짙었던 1945년 봄, 생존이 전부였던 두 청춘이 탐욕 위에 탄생한 괴물과 맞서는 이야기를 그린다.

'경성크리처'에 생체실험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 가운데 한소희는 "논픽션과 픽션이 섞인 작품이다. 그렇다보니 그냥 마음으로 알고 있는거랑 시각적으로 형상화 해서 보는 것과는 완전히 다르더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한소희/넷플릭스 제공
사진=한소희/넷플릭스 제공

[뉴스엔 이민지 기자]

※ 스포일러가 포함돼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22일 첫 공개된 넷플릭스 시리즈 '경성크리처'는 시대의 어둠이 가장 짙었던 1945년 봄, 생존이 전부였던 두 청춘이 탐욕 위에 탄생한 괴물과 맞서는 이야기를 그린다.

배우 한소희는 주인공 윤채옥 역을 맡았다. 극 중 윤채옥은 죽은 사람도 찾아낸다는 소문난 토두꾼. 실종된 어머니를 찾기 위해 아버지와 함께 토두꾼이 된 윤채옥은 장태상(박서준 분)과 만나 함께 옹성병원에 잠입, 크리처가 된 어머니를 마주하게 되는 인물이다.

'경성크리처'가 첫 공개된지 시간이 좀 흐른 가운데 한소희는 "파트1,2로 공개되니까 아무래도 긴 느낌이 있어서 아직도 캐릭터에 머물러 있는 느낌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소희는 "나도 이 작품이 이렇게 길어질 줄 몰랐다. 촬영을 하다보니까 욕심이 생기고 이걸 빨리 찍어야겠다는 느낌보다 한 신 한 신 더 퀄리티 높게 찍어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시간이랑은 그렇게 관계 없었던 것 같다"고 회상했다.

한소희가 파트1 공개 후 소셜미디어에 올렸던 안중근 의사 사진과 글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한소희는 "게시물을 올렸을 때 뭔가 결과를 얻고자 올린건 아니었다. 파트1 공개 후 우리가 말하고자 하는, 드라마가 말하고자 하는 주제와 다른 쪽으로 의견이 흘러가는 것 같아서 마음이 '이런 의미로 흘러가면 안 되는데'라는 생각이 들었다. 안중근 의사 그림이 걸려있는 걸 보고 찍어놓았던 걸 올렸다"고 말했다.

이어 "내가 생각했을 때 물론 채옥과 태상의 로맨스가 있긴 하지만 그 로맨스 안에 남녀의 사랑 뿐 아니라 전우애도 있다고 생각했다. 그 시대를 살아가는 나월댁, 권준택 등 다양한 사람들이 있을거라 생각해서 그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성향, 다른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 집중해주셨으면 하는 마음에 올렸던 것 같다"고 밝혔다.

일본 팬의 댓글에 남긴 답글도 화제를 모았는데 한소희는 "나는 고마웠다. 그게 따뜻한 댓글로 느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기내서 댓글을 달아준게 고마웠다. DM으로도 '상처받지 마라라. 전체 의견은 아니다. 우리도 수용하고 있고 인신공격들은 잘못됐다는걸 알고 있다'고 따뜻하게 보내주셨다"고 말했다.

'경성크리처'에 생체실험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 가운데 한소희는 "논픽션과 픽션이 섞인 작품이다. 그렇다보니 그냥 마음으로 알고 있는거랑 시각적으로 형상화 해서 보는 것과는 완전히 다르더라"고 말했다.

그는 "군수공장에서 끌려온 아이들 구할 때 그 공간이 끔찍한 공간이었다. 진짜 어린 아이들이었다. 아이들이 이걸 봐도 될까 그런 생각이 들었다. 아무리 가짜여도 아이들이 이런 것들을 봐도 되나? 내가 봐도 끔찍한데. 아이들이 이걸 이해할까, 할 수 있을까 했다"고 밝혔다.

이어 "반대로 조선인들을 밖으로 빼내면서 축제를 열었고 내가 그 날 트럭 안에 있었는데 기분이 정말 이상하더라. 왜인지는 잘 모르겠다. 난 그 시대를 살아보지도 않았고, 그냥 말로만 들었던 시대인데도 불구하고 보조출연자 분들이 신나게 놀고 계시고 옆에 갇혀있던 조선인들도 표정이 벅차오르는 모습이더라. 이건 말로 설명을 못하는 감정이었다. 배우라는 직업에게 주어진 특권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남다른 감정을 전했다.

뉴스엔 이민지 oing@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en@newsen.com copyrightⓒ 뉴스엔.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