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몹쓸 그립은 것아 [한주를 여는 시]
이승하의 ‘내가 읽은 이 시를’
윤후명 시인 어쩌자고 어쩌자고
민음사 「홀로 등불을 상처 위에 켜다」
언제나 예술의 원천이던 연애감정
윤상규에서 15년 뒤 윤후명으로
숨이 막혀 혀를 깨무는 그 감정
종결되지 않은 영원한 시인의 글
어쩌자고 어쩌자고
어둠이 더 짙어지기 전에
너를 잊어버려야 하리 오늘도
칠흑 같은 밤이 되면
사라진 길을 길삼아
너 돌아오는 발자욱 소리의
모습 한결 낭랑하고
숨막혀, 숨막혀, 숨막혀, 숨막
혀를 깨물며 나는 자지러지지
산 자 필(必)히 죽고
만난 자 정(定)히 헤어지는데
어쩌자고 어쩌자고 너는
어쩌자고 어쩌자고
온몸에 그리운 뱀비늘로 돋아
발자욱 소리의 모습
내 목을 죄느냐
소리죽여 와서 내 목을 꽈악
죄느냐, 이 몹쓸 그립은 것아,
「홀로 등불을 상처 위에 켜다」, 민음사, 1992
유사 이래 제일 많이 창작된 것이 연애시일 것이다. 동양에서 제일 오래된 시가집인 「시경詩經」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시가 연애시다. 「시경」은 풍風, 아雅, 송頌으로 분류되는데, '풍' 160편은 각 지방의 민요로 거의 다 남녀의 연애감정과 이별의 아픔을 다뤘다. '아'는 공식 연회에서 쓰는 의식가이며, 송은 종묘의 제사에서 쓰는 악시樂詩다.
서양에도 서정시가 많은데, 원류는 연애시만을 줄기차게 쓴 여성시인 사포(Sappho)라고 할 수 있다. 사포는 기원전 6세기 때 사람으로 시와 음악과 무용을 학동들에게 가르치면서 수강료로 살아갔다. 역사에 이름을 남긴 최초의 예능교사라고 할까.
이 땅의 고대가요 중 제일 먼저 창작된 것이 유리왕의 「황조가」이니, 연애감정이 있었기에 유리왕은 일국의 왕이면서 또한 시인이었다. 「공무도하가」와 「구지가」보다 앞서 기원전 17년에 창작된 이 작품은, 당나라에서 시집온 치희雉姬가 본국 출신 왕비 화희禾姬의 질투를 견디다 못해 자기 나라로 가버리자 유리왕이 시름에 겨워 쓴 것이다. "꾀꼬리들아 너희들은 어쩜 그리 의좋게 지내고 있느냐. 나는 아내를 잃고 이렇게 슬픔에 잠겨 있는데."
윤후명이 첫 시집 「명궁」을 '윤상규'라는 이름으로 낸 것은 1977년이었다. 15년 뒤에 두번째 시집을 필명 '윤후명'으로 내니 그 제목이 '홀로 등불을 상처 위에 켜다'였다. 그 상간에 시에서 소설로 갔다고 생각해 시 쓰기가 "종결되고 말았다"고 한 나의 평문이 못마땅했는지 윤후명은 "나는 영원히 시인이기에 내 작업은 결코 '종결'되지 않았다"고 '시인의 말'에다 썼으며, 손수 그 시집을 사인해 내게 부쳐주셨다. 아이고, 속이 뜨끔했다.
그는 역시, 뛰어난 시인이었다. 나는 세상의 무수히 많은 연애시 중에서 이 시를 제일 좋아한다. 발자욱 소리만 들어도 그 소리가 어찌나 낭랑한지 숨이 막히는 것이 사랑이란다. 숨이 막혀 혀를 깨물며 자지러지는 것이 또한 사랑이란다.
"발자욱 소리의 모습"이니 상상인가 환상인가. 그 발자욱 소리만 들어도, 그 모습만 떠올라도, 목이 꽈악 죄는 기분을 당신은 느껴보았는가. 사랑의 감정은 사람의 눈을 멀게 하고 귀가 먹게 하고 숨이 꽈악 막히게 한다.
"숨막혀, 숨막혀, 숨막혀, 숨막/혀를 깨물며 나는 자지러지지"가 이 시의 백미가 아니랴. 끝내는 "소리죽여 와서 내 목을 꽈악" 죄는 "이 몹쓸 그립은 것"을 시인은 사랑한다고 한다. 미치도록. 아아, 어쩌자고.
윤후명은 2012년에 육필시집 「먼지 같은 사랑」과 또 한 권의 시집 「쇠물닭의 책」을 펴냈다. 2017년에는 시선집 「강릉 별빛」을 펴냈다. '70년대' 동인의 일원으로서 2012년 '고래 동인'으로 다시 뭉쳐 네번째 합동 시집 「고래 2018」을 펴내기도 했다. 그는 시 같은 소설을 쓰다가 지금은 시도 쓰고 소설도 쓰고 있다.
이승하 시인
shpoem@naver.com
더스쿠프 Lab. 뉴스페이퍼
lmw@news-paper.co.kr
Copyright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