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몹쓸 그립은 것아 [한주를 여는 시]

이승하 시인 2024. 1. 15. 08: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더스쿠프 한주를 여는 시
이승하의 ‘내가 읽은 이 시를’
윤후명 시인 어쩌자고 어쩌자고
민음사 「홀로 등불을 상처 위에 켜다」
언제나 예술의 원천이던 연애감정
윤상규에서 15년 뒤 윤후명으로
숨이 막혀 혀를 깨무는 그 감정
종결되지 않은 영원한 시인의 글

어쩌자고 어쩌자고

어둠이 더 짙어지기 전에
너를 잊어버려야 하리 오늘도
칠흑 같은 밤이 되면
사라진 길을 길삼아
너 돌아오는 발자욱 소리의
모습 한결 낭랑하고
숨막혀, 숨막혀, 숨막혀, 숨막
혀를 깨물며 나는 자지러지지
산 자 필(必)히 죽고
만난 자 정(定)히 헤어지는데
어쩌자고 어쩌자고 너는
어쩌자고 어쩌자고
온몸에 그리운 뱀비늘로 돋아
발자욱 소리의 모습
내 목을 죄느냐
소리죽여 와서 내 목을 꽈악
죄느냐, 이 몹쓸 그립은 것아,

「홀로 등불을 상처 위에 켜다」, 민음사, 1992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유사 이래 제일 많이 창작된 것이 연애시일 것이다. 동양에서 제일 오래된 시가집인 「시경詩經」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시가 연애시다. 「시경」은 풍風, 아雅, 송頌으로 분류되는데, '풍' 160편은 각 지방의 민요로 거의 다 남녀의 연애감정과 이별의 아픔을 다뤘다. '아'는 공식 연회에서 쓰는 의식가이며, 송은 종묘의 제사에서 쓰는 악시樂詩다.

서양에도 서정시가 많은데, 원류는 연애시만을 줄기차게 쓴 여성시인 사포(Sappho)라고 할 수 있다. 사포는 기원전 6세기 때 사람으로 시와 음악과 무용을 학동들에게 가르치면서 수강료로 살아갔다. 역사에 이름을 남긴 최초의 예능교사라고 할까.

이 땅의 고대가요 중 제일 먼저 창작된 것이 유리왕의 「황조가」이니, 연애감정이 있었기에 유리왕은 일국의 왕이면서 또한 시인이었다. 「공무도하가」와 「구지가」보다 앞서 기원전 17년에 창작된 이 작품은, 당나라에서 시집온 치희雉姬가 본국 출신 왕비 화희禾姬의 질투를 견디다 못해 자기 나라로 가버리자 유리왕이 시름에 겨워 쓴 것이다. "꾀꼬리들아 너희들은 어쩜 그리 의좋게 지내고 있느냐. 나는 아내를 잃고 이렇게 슬픔에 잠겨 있는데."

윤후명이 첫 시집 「명궁」을 '윤상규'라는 이름으로 낸 것은 1977년이었다. 15년 뒤에 두번째 시집을 필명 '윤후명'으로 내니 그 제목이 '홀로 등불을 상처 위에 켜다'였다. 그 상간에 시에서 소설로 갔다고 생각해 시 쓰기가 "종결되고 말았다"고 한 나의 평문이 못마땅했는지 윤후명은 "나는 영원히 시인이기에 내 작업은 결코 '종결'되지 않았다"고 '시인의 말'에다 썼으며, 손수 그 시집을 사인해 내게 부쳐주셨다. 아이고, 속이 뜨끔했다.

[사진 | 민음사]

그는 역시, 뛰어난 시인이었다. 나는 세상의 무수히 많은 연애시 중에서 이 시를 제일 좋아한다. 발자욱 소리만 들어도 그 소리가 어찌나 낭랑한지 숨이 막히는 것이 사랑이란다. 숨이 막혀 혀를 깨물며 자지러지는 것이 또한 사랑이란다.

"발자욱 소리의 모습"이니 상상인가 환상인가. 그 발자욱 소리만 들어도, 그 모습만 떠올라도, 목이 꽈악 죄는 기분을 당신은 느껴보았는가. 사랑의 감정은 사람의 눈을 멀게 하고 귀가 먹게 하고 숨이 꽈악 막히게 한다.

"숨막혀, 숨막혀, 숨막혀, 숨막/혀를 깨물며 나는 자지러지지"가 이 시의 백미가 아니랴. 끝내는 "소리죽여 와서 내 목을 꽈악" 죄는 "이 몹쓸 그립은 것"을 시인은 사랑한다고 한다. 미치도록. 아아, 어쩌자고.

윤후명은 2012년에 육필시집 「먼지 같은 사랑」과 또 한 권의 시집 「쇠물닭의 책」을 펴냈다. 2017년에는 시선집 「강릉 별빛」을 펴냈다. '70년대' 동인의 일원으로서 2012년 '고래 동인'으로 다시 뭉쳐 네번째 합동 시집 「고래 2018」을 펴내기도 했다. 그는 시 같은 소설을 쓰다가 지금은 시도 쓰고 소설도 쓰고 있다.

이승하 시인
shpoem@naver.com

더스쿠프 Lab. 뉴스페이퍼
lmw@news-paper.co.kr

Copyright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